References
- 김민경, 김혜원 (2011). 설문 조사 활동에서 나타난 아동의 통계적 사고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13(1), 207-227.
- 김상미 (2013). 초등학교 수학과와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을 통한 통계 그래프 관련 교육내용 비교 연구, 교원교육, 29(3), 363-392.
- 김윤미 (2007). 한국교과서와 미국교과서(MiC)의 통계 단원에 대한 비교.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남승인, 신준식, 류성림, 권성룡, 김남균 (2004). 초등 교사 교육을 한 수학프로그램 적용확산 연구. 서울: 교육인자원부
- 박영희 (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이 통계 영역 내용 분석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17-34.
- 배혜진, 이동환 (2016).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서 통계 지도 방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55-69.
- 송정화, 권오남 (2002). 6차와 7차 교과서 분석을 통한 그래프 지도 방안, 학교수학, 4(2), 161-191.
- 우정호 (2000). 통계교육의 개선방향 탐색. 학교수학, 2(1), 1-27.
- 이경화, 지은정 (2008). 그래프의 교수학적 변환 방식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18(3), 353-372.
- 이봉우, 이성균 (2008).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그래프의 유형 및 특징 분석, 국제과학영재학회지, 2(2), 123-128.
- 최선희, 이대현 (2012). 우리나라 초등 교과서와 MiC 교과서의 통계 단원 비교.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지 C, 15(1), 41-52.
-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 한형주 (2005). 미국의 Mathematics in Contex 교과서와 한국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현미 (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현미, 방정숙 (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실태 조사, 학교수학, 9(1), 45-64.
-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2014). The Australian Curriculum Mathematics. Sydney: The Author.
- Baroody, A. J,. & Coslick, R. 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 권성룡 외 11인 (역) (2005).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서울: 경문사.
- Curcio, F. R. (1987). Comprehension of mathematical relationships expressed in graph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8(5), 382-393. https://doi.org/10.2307/749086
- Department of Education (2013). Mathematics programmes of study: key stages 1 and 2. Manchester: The Author.
- Friel, S. N., Curcio, F. R., & Bright, G. W. (2001). Making sense of graphs: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comprehension and instructional implication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2(2), 124-158. https://doi.org/10.2307/749671
- Gal, I., Rothschild, K., &Wagner, D. A. (1990). Statistical concepts and statistical reasoning in school children: Convergence or divergenc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Boston.
- Konold, C., Higgins, T., Russell, S. J., & Khalil, K. (2015) Data seen through different lens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8, 305-325. https://doi.org/10.1007/s10649-013-9529-8
- Konold, C., & Lehrer, R. (2008). Technology and mathematics education: An essay in honor of Jim Kaput. In L. English (Ed.),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nd ed., pp. 49-72). New York: Routledge.
- Ministry of Education (2009). The New Zealand Curriculum: Mathematics Standards for years 1-8. Wellington: Learning Media.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역)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 Reys, R. E., Suydam, M. N., Lindquist, M. M., & Smith, N. L. (2001).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Danvers, MA: John Wiley Sons, Inc. 강문봉 외 19인 (역) (2009). 초등 수학 학습 지도의 이해. 파주: 양서원.
- Wainer, H. (1992). Understanding graphs and tables. Educational Researcher, 21(1), 14-23. https://doi.org/10.3102/0013189X021001014
- Watson, J. M., & Moritz, J. B. (2000). The longitudinal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of average.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2(1), 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