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가직무능력표준 적용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2초

AHP 기법을 활용한 항만물류기업의 직업기초능력 우선순위 분석 (A Study on Priorities of the Key Competence of Port Logistics Enterprise using AHP Method)

  • 박두진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9-173
    • /
    • 2014
  • 본 연구는 항만물류기업의 직업기초능력 평가 요인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해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국가직무표준의 직업기초능력 지표를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총 10개의 1계층 요인과 34개의 제 2계층 요인에 해당하는 요소를 AHP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우선순위 분석을 실시하였다. 항만물류기업의 직업기초능력에 따른 AHP 분석결과 우선순위로 문서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 정보능력, 자원관리능력, 자기개발능력, 기술능력, 수리능력의 순위로 나타났다. 특히 2계층 요인의 최종 순위에서 대인관계 능력의 갈등관리능력(2 순위), 리더십능력(3 순위), 팀 능력(7 순위), 고객서비스능력(9 순위), 협상능력(10 순위) 등의 5개의 능력이 상위 10 순위 안에 들었다. 이러한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항만물류기업의 특성 상 각 화주와 운송사 등의 고객사와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함으로써 갈등관리능력, 리더십능력, 팀워크능력, 고객서비스능력 및 협상능력 등의 대인관계능력을 우선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항만물류 관련 문제 발생 시 실시간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대안을 선택하여 적용하고 평가할 수 있는 문제처리능력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의사소통능력에서 조직내부의 문서처리를 위한 기본적으로 문서이해능력이 중요시 여기고 있음을 상대적 평가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항만물류기업의 업무의 우선순위 파악하여 업무활동을 계획하고 결과 평가하는 조직이해능력의 업무이해능력 역시 항만물류기업에서는 직무 수행에 필요한 요인으로 판단을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항만물류기업에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교육과정을 선정하고 설계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현장 중심의 직무교육과정 개발의 문제점을 최소화하는 직업기초능력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미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주제에 대한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U.S.)

  • 최상희;하유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3-71
    • /
    • 2019
  • 최근 대학에서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실무현장과 학술연구분야를 반영하여 교과과정을 개편하자는 요구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편에 필요한 해외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세 가지 측면에서 미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교과목 분석에 적용된 기준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문헌정보관리 직무단위, 한국연구재단의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와 학술연구분야 분류표에 나타난 문헌정보학 주제 분류이다. 세 가지 측면으로 분석한 결과 공통되게 나타난 현상은 시스템 구축설계 및 정보기술분야의 교과목 수가 많은 것이며 도서관 및 정보센터 경영과 이용자서비스도 교과목이 많은 주제 분야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정이수형 자격제도 운영 학과의 NCS 기반 교육과정 설계모형 연구 - 전문대학 사회복지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urriculum Design Modelling Focused on the Combin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the Already-Accredited Course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in the Junior College)

  • 박용운;김경미;유태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52-665
    • /
    • 2016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은 산업현장에서 직무 수행에 필요한 능력들을 체계화 및 표준화한 것으로서 전문직업인 양성이 교육목적인 전문대학에 NCS를 적절히 적용할 수만 있다면 현장 중심의 인력 양성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인문사회계열 학문인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실기보다는 이론 숙지가 주를 이루며 또한 사회복지사 2급 자격을 위한 과정이수형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자격제도 변화없이 NCS를 교육과정에 도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정이수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전문대학 사회복지과 교육과정에 NCS를 적용하기 위한 교육과정 설계모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NCS 능력단위 중심의 교육과정 설계가 아닌 기존 교과목에 NCS 능력단위를 매핑하는 역공학적 접근을 시도한다. 둘째, 주 취업시장의 직무능력 함양을 위하여 노인, 아동, 장애인 등 대상에 따른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에 관한 능력단위를 개발 추가한다. 셋째, NCS 능력단위를 주 취업시장의 직무와의 연관정도에 따라 유형 1,2,3 등 3 유형으로 분류하여 적용한다. 넷째, NCS 직업기초능력 중 사회복지 분야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4개 요소를 추출, 독자적인 과목으로 개설한다. 다섯째, 주 취업시장에서의 직무능력 함양을 위한 능력단위들의 조합을 하나의 가상 능력단위로 간주하고 유형 1, 유형 2, 유형 3 등의 순으로 3단계에 걸쳐 유기적으로 배치한 다음 학습 범위를 주 취업시장에서의 직무 수준으로 조정하여 3단계에 공통적으로 적용한다.

민간경비 인사업무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한 고찰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HRM Factors in Private Security)

  • 권정언
    • 시큐리티연구
    • /
    • 제56호
    • /
    • pp.55-8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경비업에서 내적 역량에 비해 급격한 외적 성장으로 야기된 성장통을 해소하는 적극적인 활동을 인사업무에서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사업무를 민간경비 인사업무에 적용하여 계층구조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통해 상대적인 중요도를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 인사업무의 대분류 구성요소의 중요도 순위는 모집단계, 운용단계, 복지단계, 퇴직단계 순으로 나타났다. 모집단계의 상대적 중요도가 63.8%에 이르렀다. 둘째, 대분류를 다시 14개 능력단위를 중분류로, 그리고 능력단위요소 46개를 소분류로 구분하여 복합중요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모집단계의 인사기획과 인력채용이 가장 집중해야할 분야로 선정되었다. 또한 교육과정 기획하기와 교육과정 운영하기가 각각 8위와 10위에 해당하여, 교육훈련의 운영에도 역량을 집중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민간경비업의 발전을 위해 인사업무 중 역량을 집중해야 할 분야를 제언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연구방향과 기법도 제안하였다.

NCS기반 가상훈련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A Atudy on NCS-based Virtual Training Content Analysis)

  • 송은지;이석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651-656
    • /
    • 2017
  • 가상훈련(Virtual Training)은 특정한 훈련을 목적으로 훈련에 필요한 환경이나 상황을 가상으로 구현하여 실제상황처럼 진행하는 교육 훈련으로서 최근 가상현실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현실세계에서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실감적으로 체험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대하고 있다. 특히, 가상훈련 시스템은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몰입감과 상호작용 제공을 통한 학습 효과가 높아 직접 관찰이 어렵거나 텍스트와 2D 자료로 설명하기에 어려운 학습내용, 가시화하기 어려운 내용, 추상적인 학습개념, 고위험 및 경비가 많이 드는 시험 등의 교육 분야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요를 반영한 가상훈련 시스템 개발을 위해 최근 교육의 패러다임인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National Competency) 교육 분야를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가상훈련 콘텐츠를 제안한다. 향후, 제안한 가상훈련 콘텐츠들이 개발되어 NCS 교육과정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폴리텍 대학등 대학 교육에 적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 교수자의 교육경험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Major Courses Operation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cusing on Educational Experience of Instructor)

  • 권선영;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29-149
    • /
    • 2016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의 교육과정에서 NCS를 적용한 교과목을 실제로 운영한 교수자들의 경험을 FGI 조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NCS 기반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는 첫째, 교육현장에 도입된 NCS에 대해 교수자들은 전반적으로 NCS의 취지와 배경을 잘 알고 있었고, 문헌정보학 NCS 교과과정에 대해 직무요소 도출의 비 적절성, 실제 교육 및 실무현장의 의견 미반영, NCS 분류체계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NCS 교과 운영 경험에서는 산출물 서류 작업의 부담감, 평가의 방법이나 시기의 차별성, 학생과의 의사소통 필요성에 대한 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NCS 교과 운영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적절한 수업인원 및 교육시간의 부여 필요성, 추가 교육시간 및 재평가의 필요성, NCS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시스템의 구축 필요성, 실습기자재의 구비 필요성, 상대평가제도와 NCS 평가제도와의 불일치 문제, 교육현장 및 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능력단위와 수행준거의 보완 필요성 등을 제기하였다. 넷째, 향후 NCS 교과의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수업인원의 적절한 배정, 실습기자재의 충분한 지원, 문헌정보학 분야의 특수성 및 현장 실무와 경험을 반영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전공에서 향후 NCS에 기반을 둔 적절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BL(Problem-Based Learning) 기반 교육이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학교 시스템프로그래밍 수업 적용 방안을 중심으로 (Effects of PBL (Problem-Bas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Job Essential Skills: Focused on Application Practices in Computer System Programming Education)

  • 이만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11
    • /
    • 2017
  • 본 연구는 문제 해결식 수업(PBL)을 대학교 컴퓨터 시스템프로그래밍 교육에 적용하고 이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직업기초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교과목 분석을 통해 과목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의 교육을 위해 한 문제씩을 출제하였다.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2014년 학생들과의 성적을 비교하였고,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주관중인 대학생 핵심역량진단시스템(K-CESA)를 활용하여 PBL 교육전과 후에 진단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성취도와 직업기초능력 모두 유의미한 향상 효과가 있었다.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 구성요소의 중요도 및 활용도 평가를 통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NCS Duty Componen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by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 차성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5-247
    • /
    • 2016
  • 본 연구는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 구성요소인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중요도 및 활용도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를 도서관 실무에 적용했을 때 현장 사서들이 실질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첫째,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의 구성요소(능력단위)에 대한 중요도 및 활용도를 평가한 결과, '이용자 정보서비스',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능력단위는 중요도와 활용도가 동시에 높게 나타났고, '문헌정보 실무 연구수행', '문헌정보 큐레이션', '문헌정보시스템 운영' 능력단위는 중요도와 활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 구성요소(능력단위)에 대한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이용자 정보서비스', '문헌정보수집'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문헌정보 큐레이션', '문헌정보시스템 운영', '문헌정보 실무 연구수행' 구성요소는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 수준이 공통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어 요구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직무 구성요소(능력단위)의 우선순위 분석결과,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이용자 정보서비스', '문헌정보수집', '문헌정보 서비스 마케팅', '문헌정보 보존', '문헌정보 이용분석'의 6개 능력단위가 최우선순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NCS를 활용한 교육과정 개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by using NCS)

  • 백진욱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4호
    • /
    • pp.217-224
    • /
    • 2021
  • 인공지능 등의 4차 산업 기술의 발전과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최근의 대학 사회는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대학의 입시 환경도 심각하게 어려워지고 있어 대학 내에서 학과와 전공이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의 학과는 학과의 내·외부 환경에 따라 새로운 전공 또는 융합 전공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과정을 정확하게 개발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긴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사용한 교육과정 개발 방법과 적용 사례를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육과정 개발 방법은 전통적인 3단계 방식, 즉 분석, 설계, 그리고 개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에서 NCS를 활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교육과정 개발의 시간을 줄이는 것에 중점을 두었으며,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보여주기 위해서 교육과정 개발의 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직무분석의 상황론적 접근과 활용방안 (A study on a contingent approach of job analysis and implications)

  • 신수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072-2078
    • /
    • 2012
  • 본 논문은 직무분석에 대한 제 이론을 상황론적 관점으로 접근함으로써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진 직무분석 기법을 통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상황론적 관점에서는 최상의 방법이 한 개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공존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직무분석의 대표적인 기법(작업중심 vs. 사람중심)을 양자택일이 아닌 통합적 접근으로 시도하였다. 그 결과, 직무특수적인 정보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작업분석기법을 사용하고, 우수인재의 노하우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사람중심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두 가지 기법의 장점을 모두 살릴 수 있는 통합적 직무분석 프로세스를 설계하였다. 통합형 직무분석기법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국가직업능력표준개발사례를 분석하여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