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실재감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8초

비대면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실재감의 영향 분석 (Analysis of Presence Impacting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in Non-face-to-face Programming Courses)

  • 김지심;안유정;김경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303-30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문대학의 프로그래밍 수업을 수강하는 42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과 만족도, 학습지속의 향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만족도에는 교수실재감과 인지적 실재감이, 학습지속의향에는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비대면 환경의 프로그래밍 수업에 대한 설계 및 운영전략을 시사하였다.

  • PDF

교수실재감 및 학습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Ontact PBL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Case study of Ontact PB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o Improve Teaching Presence & Learning Presence)

  • 이성아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0권
    • /
    • pp.303-33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간 대면 접촉이 없는 환경에서 교수-학생간 실재감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상호작용적 요소를 강화한 Ontact PBL을 구현하여 이제 갓 대학을 입학한 대학생들이 1학년 1학기 교양 교과목에서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 학습자가 중심의 협력학습을 수행해야 하는 PBL 수업을 통해 교수실재감 및 학습실재감이 향상되었는지 살펴보며, 실재감이 향상된 수업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 수업은 2021년 1학기 Ontact PBL을 설계 및 개발하여 운영하였으며, 해당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실재감 및 학습실재감을 진단하여 실제로 수업을 통해 교수실재감은 평균 0.95점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학습실재감보다 많이 향상되었고, 이는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성찰 저널에서도 관련 의견이 많아 교수실재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학습실재감도 효과가 있었는데, 학습실재감의 하위요소인 감성적 실재감은 0.7점, 사회적 실재감은 0.5점, 인지적 실재감은 0.6점 가량 유의미하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학습실재감 또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성찰을 확인하여, Ontact PBL이 실재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향후 Ontact PBL의 실재감 향상 요인 연구, Ontact PBL을 통한 학생 역량 향상 연구 등을 후속 연구로 제안한다.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규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 in Cyber University)

  • 주영주;하영자;유지원;김은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75-187
    • /
    • 2010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사이버교육의 개발 및 운영전략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려고 한다. 2009년 1학기, W사이버대학생을 802명을 대상으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성과를 조사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수실재감과 인지적 실재감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실재감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대학에서의 사이버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요구되는 교수설계 및 운영전략을 제언하였다.

  • PDF

이러닝 서비스의 e-CRM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CRM on the Reuse Intention of e-Learning Service)

  • 홍규정;강민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83-396
    • /
    • 2021
  • 본 연구는 e-CRM이 이러닝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e-CRM과 이러닝 재이용 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CRM(e-마케팅, e-서비스, e-커뮤니케이션)은 이러닝 재이용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실재감의 하위요인들인 교수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또한, 이러닝 재이용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e-CRM이 교수 실재감을 매개로 이러닝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e-마케팅과 e-서비스는 교수 실재감을 매개로 재이용 의도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쳤지만, e-커뮤니케이션은 교수 실재감을 매개로 재이용 의도에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e-CRM이 교수 실재감을 매개로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e-마케팅과 e-서비스는 교수 실재감을 매개로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였으나 e-커뮤니케이션과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 교수 실재감의 매개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e-커뮤니케이션의 경우 이러닝 성과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였다.

온라인대학에서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에 따른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의 차이 및 이들의 관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Differences in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by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and its effect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an online university)

  • 이의길;김윤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69-78
    • /
    • 2015
  • 본 연구는 온라인 대학의 성인 학습자들이 지각한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이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며, 이것이 궁극적으로 학습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와 관련된 학습자 변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4학년도 2학기 국내 한 온라인대학 재학생 119명으로부터 수집된 인구학적 정보, 상호작용,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 및 과목 전반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 학업만족도에 대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은 연령이 높은 집단에서, 자유게시판 활동에 참여한 집단에서 높았다. 둘째,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은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나, 자유게시판 활동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개입이 없이도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이 높았다. 셋째,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은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으나 학습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은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과 과목 전반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에서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소극적인 학습자들에게 보다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이 제안되었다.

비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지하는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ing Reality and Learning Realit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Non-face-to-face Classes)

  • 박경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75-181
    • /
    • 2021
  •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해 갑작스럽게 진행된 전면 비대면 수업의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의 영향을 분석하여, 실재감의 유형에 따라 비대면 수업의 질을 개선 및 발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H대학교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습만족도와 교수실재감(학습설계, 직접촉진), 학습실재감(인지적실재감, 사회적실재감)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학습실재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실재감의 학습내용이해(𝛽=.589, p<.001), 교수실재감의 하위요인인 직접촉진(𝛽=.420, p<.001), 학습설계(𝛽=.397, p<.01)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이는 갑자기 변화된 수업방식에 긍정적인 감정의 교환이나 상호작용 등이 동반된 교수자와 동료 학습자와의 친밀감을 향상시키려는 자세를 가져야 하겠으며, 교수자는 질 높은 학습설계를 위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는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통해 시·공간적 한계를 극복하는 노력을 하되 학습자의 신체적 피로감을 고려한 학습매체와 학습방식이 개발되어야 한다.

플립러닝 기반 비대면 수업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참여 및 실재감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Learning Participation and Presence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lipped Learning-based Non-Face-To-Face Classes)

  • 김경아;김지심;안유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139-140
    • /
    • 2022
  • 코로나 팬더믹의 장기화에 따른 비대면 환경에서 대면 수업의 실재감을 제공하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대면수업과 다른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준과 특성에 맞는 수업 설계의 필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한 비대면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 참여 수준과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하여,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강의 동영상 수업과 상호작용을 포함한 플립러닝 기반 실시간 수업을 혼합하여 수업한 후 설문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 수준, 교수 실재감과 학습 실재감을 조사한 결과, 학업성취도 가장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 참여도 높고, 다음 수준의 학습자들이 교수 실재감과 학습 실재감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학업성취도에 기반하여 학습자별 맞춤형 교수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대학 온라인 튜터링 학습환경에서 교수실재감,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a University Online Tutoring Learning Environment)

  • 변소연;추성경;윤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814-825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 온라인 튜터링 학습환경에서 교수실재감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및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를 위해 2021학년도 1학기 부산시 소재 D학교 OO연구소 튜터링 프로그램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교수실재감, 학업성취도 그리고 학습만족도를 조사하여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실재감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와의 관계분석에서는 학습활동의 학습관리, 참여관리, 내용구조화 순으로 높은 상관이 나타났으며, 교수실재감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튜티의 학습활동 하위영역인 학습관리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초하여 온라인 튜터링 교수설계시에 교수실재감을 반영한 운영과정과 방법에 대한 방향성을 시사하였고,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경험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관리 방안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제공하였다.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자기조절능력과 학습참여, 교수실재감에 대한 학습몰입의 매개 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on Learning Engagement, and Teaching Presence in Online programming classes)

  • 박주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597-606
    • /
    • 2020
  • 최근 전세계가 언택트 환경에 놓임에 따라 학생들의 프로그래밍 수업도 온라인으로 이루어지게 되었고,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을 성공으로 이끌 수 있는 영향요인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웹기반 시뮬레이션 툴을 활용하여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참여와 교수실재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자기조절능력과 학습 몰입을 상정하고 예측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참여, 교수실재감과 학습자의 자기조절능력 사이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자기조절능력과 학습몰입이 학습참여와 교수 실재감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몰입은 자기조절능력과 학습참여, 교수실재감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참여와 교수실재감을 높이기 위해 자기조절능력과 학습몰입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초등 혼합형학습에서 자기결정성 동기, 교수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Identifying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Determination, Teaching Presence, Learning Outcomes of Elementary Students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 강명희;박남수;유은진;김유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11
    • /
    • 2013
  • 본 연구는 사이버 학습과 면대면 학습의 장점을 결합한 초등 혼합형학습에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교수실재감, 학습성과(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지) 간의 구조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A기업의 혼합형 수학학습서비스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5, 6학년생 1,39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이 높았고, 학습지속의지와 학습만족도도 높았다. 교수실재감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학습만족도는 학습지속의지에 영향을 주었다. 이에 혼합형 학습환경에서 초등학생의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지를 높이려면 자기결정성 학습동기를 높여주는 전략이 우선 처방되어야 하고, 다음으로 학습과정(학습내용의 구조화와 학습활동)을 효과적으로 설계하여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을 향상시켜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