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in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by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and its effect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an online university

온라인대학에서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에 따른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의 차이 및 이들의 관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이의길 (고려사이버대학교 평생교육학과) ;
  • 김윤정 (고려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02.02
  • Accepted : 2015.05.01
  • Published : 2015.05.29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by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the effects of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er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Data including subjects' demographic information, interactions,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social presence of the course,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collected from 119 adult learners in an online university in Korea.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was higher in the higher-aged group or active group on intranet message board than the lower-aged group or inactive group on the board. Second,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increased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However, the active group on the board has shown the highest level of perceived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without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Third,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and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while the variables affecting learning satisfaction were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and social presence of the cours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s be provided systematically for those who are not active in social interaction to enhance their learning satisfaction.

본 연구는 온라인 대학의 성인 학습자들이 지각한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이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며, 이것이 궁극적으로 학습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와 관련된 학습자 변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4학년도 2학기 국내 한 온라인대학 재학생 119명으로부터 수집된 인구학적 정보, 상호작용,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 및 과목 전반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 학업만족도에 대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은 연령이 높은 집단에서, 자유게시판 활동에 참여한 집단에서 높았다. 둘째,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은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나, 자유게시판 활동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개입이 없이도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이 높았다. 셋째,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은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으나 학습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은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과 과목 전반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에서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소극적인 학습자들에게 보다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이 제안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Plante, K. & Asselin, M. E. (2014). Best practices for creating social presence and caring behaviors online.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5(4), 219-223) https://doi.org/10.5480/13-1094.1
  2. Shea, P., Hayes, S., Vickers, J., Gozza-Cohen, M., Uzuner, S., Mehta, R., Valchova, A., & Rangan, P. (2010). A re-examination of the CoI framework: A social network and content analysis.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13, 10-21. https://doi.org/10.1016/j.iheduc.2009.11.002
  3. Caudle, A. (2013). Using a sociocultural perspective to establish teaching and social presences within a hybrid community mentor teachers. Adult Learning, 24(3), 112-119 https://doi.org/10.1177/1045159513489112
  4. Garrison. R. (2009). Implications of online learning for the conceptual development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23(2), 93-104.
  5. 권성연(2011).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특성, 토론효과 및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교육과학연구, 42(3), 55-82
  6. 강명희, 정혜윤, 김민정, 기혜정, 엄소연, 박효진(2009).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상호작용과 성취도에 대한 학습실재감의 예측력 검증. 교과교육연구 13(4), 937-960.
  7. 이의길(2010). 온라인토론의 주제 유형에 따른 인지적 학습참여와 사회적 실재감의 차이.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6(4), 505-523
  8. Picciano, A. (2002). Beyond student perceptions: Issues of interaction, presence and performance in an online course.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6(1), 21-40.
  9. Schutt, M., Allen, B., & Laumakis, M. (2009). The effects of instructor immediacy behavior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The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10(2), 135-148.
  10. Swan, K., & Shih, L. (2005). On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social presence in online course discussion. JALN, 9(3), 115-136.
  11. Whipp, J. L., & Lorentz, R. A. (2009). Cognitive and social help giving in onine teaching. Education Tech Research Dev, 57, 169-192. https://doi.org/10.1007/s11423-008-9104-7
  12. Guerrero, L., & Miller, T. A. (1998). Associations between nonverbal behaviors and initial impressions of instructor competence and course content in videotaped distance education courses. Communication Education, 47(1), 30-42. https://doi.org/10.1080/03634529809379108
  13. Mehrabian, A. (1967). Attitudes inferred from non-immediacy of verbal communication.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6, 294-295. https://doi.org/10.1016/S0022-5371(67)80113-0
  14. Christophel, D. M., & Gorham, J. (1995). A test-retest analysis of student motivation, teacher immediacy, and perceived sources of motivation and demotivation in college classes. Communication Education, 44, 293-306.
  15. 김수현, 김민정(2006). 웹기반 동기적 토론에서 토론촉진전략의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 만족도,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3), 299-321.
  16. Wise, A., Chang, J., Duffy, T., & del Valle, R. (2004). The effects of teacher social presence on student satisfaction, engagement, an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31(3), 247-271. https://doi.org/10.2190/V0LB-1M37-RNR8-Y2U1
  17. 김현아, 김현진(2011). 원격교육 성인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학업지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평생학습사회, 7(3), 51-78.
  18. 임연욱 (2007). 사이버대학 학습자관련 변인과 중도탈락 간 관계 규명을 위한 실증적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1(2), 205-219.
  19. 이의길(2014).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모바일러닝 활용실태 분석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모바일러닝 관련 인식의 영향 탐색.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3), 65-74
  20. Lear, J. L., Isernhage, J., LaCost, B. A., & King, J. (2009). Instructor presence for web-based classes. Delta Phi Epsilon Journal, 51(2), 86-98.
  21. 한동욱, 강민채(2014). SNS를 활용한 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사회적 실재감, 학업만족도, 학업성취도의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2), 494-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