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12.175

The Effects of Teaching Reality and Learning Realit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Non-face-to-face Classes  

Bak, Kyeong-Won (호남신학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and develop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classes according to the types of presence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resence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the non-face-to-face classes that have been suddenly conducted due to COVID-19. For this purpose, a survey on online classes of H Universit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as conducted to analyze learning satisfaction, teaching presence (learning design, direct promotion), and learn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social pres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learning contents of cognitive presence, which is a sub-factor of learning presence, were understood (=.589, p<.001), the direct promotion (=.420, p<.001), and the learning design (=.397, p<.01),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eaching presence, were influential in order.This means that the suddenly changed teaching method should have an attitude to improve the intimacy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fellow learners with positive emotional exchange or interaction. The instructor should tr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through blended learning that is both online and offline for high quality learning design, but the learning medium and learning method considering the physical fatigue of the learner should be developed.
Keywords
Non-face-to-face Class;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Learning Satisfa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규동, 고유정, 최고은, 박인우,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교육학연구, 제18권, 제1호, pp.169-188, 2012.
2 두민영, 권회림, 문은경,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교육방법연구, 제29권, 제1호, pp.185-210, 2017.   DOI
3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회의자료, 2020.03.16.
4 임종훈, 사이버대학 온라인 학습에서 실재감과 학습성과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5 전현진, "플립러닝의 협력적 자아효능감과 학습실재감이 미용관련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85-200, 2020.
6 김지심, 기업 이러닝에서 실재감과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7 M. J. Kang, J. Kim, and M. S. Park, "Investigating presence as a predictor of learning outcomes in e-Learning environments. EdMedia Innovate Learning,"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AACE), 2008.
8 김나연, 사이버대학생의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강주현, 의과대학의 문제기반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의 역할이 상호작용 및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0 임지은, 이민혜, "온라인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이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를 매개로 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제32권, 제3호, pp.461-485, 2020.
11 M. Wang and M. Kang, "Cybergogy for Engaged Learning: A Framework for Creating Learner Engagement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Engaged Learning with Emerging Technologies (pp.225-253), Springer, Dordrecht, 2006.
12 문용승, PBL(Problem-Based Learning) 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문제해결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3 J. B. Arbaugh and A. Hwang, "Does "teaching presence" exist in online MBA Courses?," The I nternet and H igher E ducation, Vol.9, No.1, pp.9-21, 2006.
14 김은경, 원격대학생의 실재감, 유용, 용이성, 학습성과간의 구조적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5 권성연,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접근, 만족도 및 학습효과 인식간의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27권, 제3호, pp.535-560, 2011.
16 임지연, 학습자의 실재감 유형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7 박효성, 비대면 원격강의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18 강명희, 구한나, 문소영, 정지윤, 김지심, "온라인 강의에서 내용제시유형이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 제13권, 제4호, pp.155-181, 2007.
19 K. Swan, "Building learning communities in online courses: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Education, Communication & Information, Vol.2, No.1, pp.23-49, 2002.   DOI
20 이영,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전략, 교수실재감,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