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의 리더십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초

민간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셀프리더십과 원장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Teachers' Self-leadership and Principals' Leadership on Teachers' Efficacy)

  • 민성혜;김온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111-12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민간 어린이집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원장 리더십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의 선정한 민간 어린이집 36개소 보육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원장 리더십에 대해 과업중심, 인화중심 리더십을 모두 높은 수준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원장리더십을 군집분석한 결과 인화형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과업형, 리더형, 부족형 순이었다. 교사의 셀프리더십 유형은 리더형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제한형, 보상형, 과업형 순이었다. 셋째, 교사의 효능감에 교사 셀프리더십 그리고 원장 리더십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교사효능감중 일반적 효능감에는 원장 과업중심 리더십, 원장 인화중심 리더십이, 교사 셀프리더십은 자기비판, 자기설정목표, 자기관찰, 그리고 자기존중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고, 개인적 효능감과 관련해서는 원장 인화중심 리더십, 교사셀프리더십 중 자기비판, 자기설정목표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다.

분산적 리더십이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Distributed Leadership upon Kindergarten Teachers' Commitment of Teachers)

  • 하정윤;김진화;정민진;나민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15-12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분산적 리더십이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과 교직헌신 수준을 확인한 후,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 변인들이 교사의 교직헌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남도 지역의 유치원 교사들로 2016년 7월 12일부터 26일까지 온라인과 우편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최종 14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치원 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른 분산적 리더십 및 교직헌신의 인식 차이는 차이검정을 통해 확인하였고, 분산적 리더십과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과의 관계는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치원에서 분산적 리더십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직경력과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교직헌신은 교직경력과 학력, 유치원 규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유치원에서 분산적 리더십 하위요인과 교사들의 교직헌신 하위요인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분산적 리더십 하위요인 중 유치원 상황과 교사 리더십이 교직헌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유치원에서 분산적 리더십이 교직헌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원장의 리더십 보다는 교사 자신이 리더라는 생각과 책임과 영향력, 권한 등을 충분히 인식할 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들이 더 많은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원장의 각종 책임과 권한을 적절히 위임할 필요가 있다.

유아 교사가 지각하는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발달단계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 Teacher Development Stag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김미경;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53-174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2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발달단계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향후 유아 교육기관의 리더십 방향과 유아 교사의 성장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서번트 리더십, 교사발달단계, 조직효과성의 개인특성(학력, 결혼유무, 재직기간)과 조직특성(기관유형, 교사 수)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혼인 교사와 재직기간이 4년 이상인 교사가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발달단계에서는 개인특성에서 4년제 대학졸업 이상의 교사가 능력구축과 안일안주단계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직기간이 4년 이상인 교사가 능력구축과 열중성장단계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특성에서는 어린이집 교사가 열중성장단계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서번트 리더십, 교사발달단계,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발달단계와 조직효과성은 높은 상관이 있고, 특히 교사발달단계가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발달단계에서 안일안주단계는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효과성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가 지각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며, 교사발달단계도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열중성장단계가 조직효과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조직 내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s Leadership on Human Relationship)

  • 마지순;안라리;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40-24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조직 내 인간관계와 교사리더십의 관계를 알아보고 인간관계에 미치는 교사리더십의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바람직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15명에게 5점 척도의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리더십과 조직 내 인간관계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조직 내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리더십과 인간관계는 모든 하위 변인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리더십이 높게 나타날수록 조직 내 인간관계가 바람직하게 형성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조직 내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리더십은 과업주도성, 공동체성, 목표지향성 순으로 나타났다.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의 정서적 안정감 관계에서 담임교사신뢰의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Trust in Homeroom Teacher in the Relationship of his Transformation Leadership and the Students' Emotional Stability)

  • 이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26-440
    • /
    • 2020
  • 본 연구는 조직론적 관점에서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실 구성원인 학생의 정서적 안정감 관계에서 담임교사신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서울지역 중등학생 290명의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리더 신뢰에 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담임교사의 리더 신뢰는 학습자의 정서적 안정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학습자의 정서적 안정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습자의 정서적 안정감의 관계에서 교사신뢰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조직의 말초 단위로서 교실 운영을 위해 담임교사가 지향해야 하는 리더십은 어떤 것이며, 그러한 리더십이 조직원인 학생에게 어떠한 정서적, 심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객관적으로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중학교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s of Distributed leadership on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commitment in middle school teacher)

  • 박진희;유평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67-47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전체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J지역 중학교 교사 460명을 대상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t/F 검증을 하고, 일원변량분석과 Dunca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관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분산적 리더십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인식 수준은 여교사, 평교사, 21년 이상 교사, 사립학교 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산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도 간에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사효능감이 교직헌신도보다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도 전체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41%). 결론은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와의 하위요소에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의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 요소, 교직헌신도의 교육애 요소를 긍정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설명력은 학교상황이 27%, 학교장의 리더십이 28%, 교사의 리더십이 28%, 교사의 상호작용이 28%로 나타났다. 추후 교사들의 능력을 학교에서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교육환경개선을 위한 교육정책수립이 필요하다.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 및 교직윤리의식의 매개효과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Role Performance in Nursery School :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ing Ethics)

  • 김미송;신승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365-371
    • /
    • 2022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어린이집 조직문화와 교직윤리의식이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민간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AMOS 24.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은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역할수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조직문화와 교직윤리의식은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은 조직문화와 교직윤리의식을 순차적으로 거쳐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장의 서번트리더십뿐만 아니라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

  • 엄세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97-60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변수로 셀프리더십, 행복감, 직무만족도를 예측하고,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행복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직무만족도, 행복감의 인식 정도를 살펴본 결과, 셀프리더십, 직무만족도, 행복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직무만족도,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세 변인간의 정적 상관이 보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하며, 유아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사 리더십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and Teacher's Leadership)

  • 마지순;안라리;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559-456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사리더십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이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리더십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과 대전광역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1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교사리더십이 높게 나타났고, 특히 과업주도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풍토조성효능감은 리더십 전체와 가장 높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이 교사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에서는 교수효능감, 부모참여효능감, 훈육효능감, 의사결정효능감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 간 차이 (The effect of the shared leadership on the job satisfaction: Difference between principals and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

  • 최경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455-461
    • /
    • 2019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가 인식하는 공유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이 원장과 교사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A지역에 소재한 120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2017년 11월 1일부터 12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93명의 원장과 101명의 교사의 응답내용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SPSS 21.0 version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와 t-test를 부수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원장과 교사 모두 공유리더십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공유리더십이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어린이집에서 공유리더십의 적용 필요성을 알게 한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공유리더십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