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s among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 Teacher Development Stag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유아 교사가 지각하는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발달단계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 김미경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
  • 문혁준 (가톨릭대학교 아동학전공)
  • Received : 2010.09.30
  • Accepted : 2010.12.0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teacher development stag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9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of Korea. Servant Leadership Questionnaire(Kim, 2004), Teacher Development Stage Questionnaire(Lee, 2007),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Kim, 1998),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Kim, 2007), Teacher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Noh, 2001), and Job Performance Questionnaire(Kim, 1983) wer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showed that servant leadership, teacher development stag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Variables of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 developmen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clusions suggest tha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multiply determined.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2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발달단계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향후 유아 교육기관의 리더십 방향과 유아 교사의 성장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서번트 리더십, 교사발달단계, 조직효과성의 개인특성(학력, 결혼유무, 재직기간)과 조직특성(기관유형, 교사 수)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혼인 교사와 재직기간이 4년 이상인 교사가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발달단계에서는 개인특성에서 4년제 대학졸업 이상의 교사가 능력구축과 안일안주단계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직기간이 4년 이상인 교사가 능력구축과 열중성장단계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특성에서는 어린이집 교사가 열중성장단계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서번트 리더십, 교사발달단계,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발달단계와 조직효과성은 높은 상관이 있고, 특히 교사발달단계가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발달단계에서 안일안주단계는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효과성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가 지각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며, 교사발달단계도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열중성장단계가 조직효과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나(2007). 보육시설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 증진방안 -보육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위덕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김동춘(1997).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3. 김영희(2003).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 김정란(2000). 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로서의 발달단계와 관심사 수행에 따른 직무만족.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 김정희(2007). 원장의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개인 및 조직특성 중재효과와 임파워먼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생활문화학과 아동가족학 전공 박사학위청구논문
  6. 김창걸(1983). 교장의 지도성행위, 상황 및 조직효과성간의 관계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7. 서지영.서영숙(2002). 유아교사의 조직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2), 115-136.
  8. 이상금(1989). 유아교육개념. 서울: 한국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회.
  9. 이은영(2008).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0. 이정로(2007). 학교조직 갈등과 조직효과성의 구조적 인과모형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5(3), 177-196.
  11. 이진희.김희진(1999). 유치원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와 조직 헌신성, 교육과학연구, 29(1). 197-214.
  12. 이창숙(2007). 유치원 교사발달단계별 직무능력과 직무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3. 전성희(2000). 유치원 교사의 인지양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4. 정명희(2003).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 조성종(2002). 변화되는 리더십 패러다임. 사회과학논총, 제5권.
  16. 조인숙(2005). 보육 서비스 질과 보육시설 조직문화의 관계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7. 최남례(2005).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종사자의 지각이 조직 헌신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제42집, 41-57.
  18. 최은희(1997). 유치원 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 한민좌(2002). 교사가 지각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효능감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 한인자(2005).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1. 황보영란(2001). 유아교사의 조직헌신성과 관련된 사회조직적 변인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2(1), 135-146.
  22. 황인경(2001). 중간관리자의 섬김형 리더십 형성과 팀성과.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3. Adjiboloson, S. K.(2000). The human factor in shaping the course of history and development.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24. Burke, P. J., Christensen, J. C, & Fessler, R.(1984). Teacher Career Stage: Implications for Staff Development. Blooming, IN: Phi Delta Kappa Educational Foundation.
  25. Feinman, S., & Floden, R. E.(1980). What All This Talk about Teacher Development?(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189088).
  26. Fuller, F.(1969). Concerns of Teachers: A Developmental Conceptualiz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6, 207-226. https://doi.org/10.3102/00028312006002207
  27. Girard, S, H.(2000). Servant leadership qualities exhibited by Illinois public school district superrinleralenis. Doctoral dissertation of Saint Louis University.
  28. Greenleaf, R. K.(1991). The servant as leader indiana police. The Robert K. Greenleaf Center.
  29. Hardin, F. W.(2003). Impacting Texas public schools through a stuclent servant leader model: A case study. Texas Tech University.
  30. Hubert, S. C..(1992). The rdlationship of perseived servant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from the follower's perspective. Doctoral dissertation of Capella University.
  31. Katz, L. G.(1972). Development Stages of pre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Journal, 73, 50-54. https://doi.org/10.1086/460731
  32. Katz, L. G.(1985)."Research Currents: Teachers as Learners." Language Arts, 62(7), 778-782.
  33. Laub, J. A.(1999). Assessing the servant organization Leadership Assessment(SOLA) instrument. Florida Atlantic University.
  34. Tsai, C. T.(1990). A Survey Study of Chinese Kindergarten Teacher Concer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35. Walker. P. D.(1997). A case study of servant leadership. Doctoral dissertation of the University of the University of San Francisco.
  36. Wheaton, C. E.(1999). Servant leadership and the public school superintendent. Doctoral dissertation of Gonzag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