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무원 교육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4초

충청남도 정예공무원의 사이버교육 인식과 발전방안 (The Recognition of Cyber Education and Development Plan of Chungcheongnam-do Civil Servants)

  • 송승훈;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184-2190
    • /
    • 2017
  • 지식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은 학교, 기업교육, 군 장병교육, 평생교육시설은 물론 공무원 교육훈련제도까지 도입이 되었다. 국가공무원의 경우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사이버교육센터의 주관으로 실시되는 교육과 지방공무원은 15개 시 도 공무원교육원 주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08년 공무원 상시학습제도의 도입으로 연간 일정시간 이상 교육 훈련받는 것을 의무화하였고 사이버교육이 공무원교육훈련에 활성화를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 교육훈련제도의 관점에서 사이버교육 운영의 인식을 사이버 교육 참여했던 충청남도 정예공무원 교육생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교육의 발전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충청남도 공무원 사이버교육의 운영 실태와 발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Situation and Development Plan of Cyber Education in Chungcheongnam-do Local Civil Servants)

  • 송승훈;김의정;강신천;김창석;정종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87-390
    • /
    • 2017
  • 지식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은 학교, 기업교육, 군 장병교육, 평생교육시설은 물론 공무원 교육훈련제도까지 도입이 되었다. 국가공무원의 경우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사이버교육센터의 주관으로 실시되는 교육과 지방공무원은 15개 시 도 공무원교육원 주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 교육훈련제도의 관점에서 지방공무원 사이버교육 운영의 실태를 사이버교육 참여했던 충청남도 공무원 정예반 교육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사서직 공무원 인사체계의 문제점: 1996 교육법전에 근거하여 (Problems on personnel management of civil-servant librarians.)

  • 조찬식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6년도 제3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7-110
    • /
    • 1996
  • 사서직 공무원에 대한 법적 근거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계속되어 왔다. 본 논문은 1996년 교육법전에 근거하여 사서직 공무원의 전문성 및 자격에 대한 제도적 문제점을 분석하고, 사서직 공무원의 직급 및 임용시험에 따른 인사체계의 법적인 모순을 지적한뒤, 사서직 공무원의 전문성과 공무원 신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사서직 공무원의 인사체계에 대한 합리적 운영을 도모하고자 한다.

  • PDF

공무원 역량 개발 관점에서 MOOC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MOOC in terms of Civil Servant Competency Development)

  • 송승훈;김의정;강신천;김창석;정종인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61-62
    • /
    • 2018
  • 공무원 교육시스템에서 역량 개발의 관심은 공공부문의 우수인재 양성의 측면과 개인의 역량 개발을 통한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행정서비스를 위해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인터넷과 통신 기술에 기반을 두어 대규모 학습자에게 무료로 제공되고 있는 MOOC의 도입과 2015년 한국형 무크(K-MOOC)의 시작으로 평생교육, 대학교육, 기업교육은 물론 공무원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도 MOOC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의 역량 개발의 관점에서 K-MOOC의 활용방안과 현재 진행 중인 Gov-MOOC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토대로 공무원 교육훈련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PDF

보건복지전담 공무원과 민간 보건복지종사자의 교육요구 비교 (Comparative Study of Educational Needs between Public Officials and Private Employees for Health and Welfare)

  • 송윤희;엄미리;진선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07-21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 공무원과 민간종사자의 교육 요구사항을 비교해 봄으로써 향후 교육개선점 및 운영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보건복지 공무원 2,290명과 민간종사자 1,991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및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충분한 교육훈련정도와 집합교육 수강 횟수는 공무원보다 민간종사자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참여 시 공무원과 민간종사자 모두 업무관련성과 교육내용을 고려하였다. 또한 교육지원에서는 상사의 업무배려, 동료 참가의지, 제도적 여건은 공무원보다 민간종사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새로운 정책에 대한 정보공유 및 교육제공은 민간종사자보다 공무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개선 측면에서는 적정교육일수는 공무원은 3일, 2일을 선호하는 반면, 민간종사자는 1일, 2일을 선호하였다. 또한 공무원과 민간종사자 모두 효율적인 교육유형으로 집합교육과 혼합교육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건복지교육의 활성화와 운영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사회복지 공무원을 위한 사회복지가치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Social Welfare Officials' Social Welfare Values)

  • 진선미;김예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9-18
    • /
    • 2017
  • 본 연구는 신규 사회복지 공무원과 배치전환 공무원의 복지가치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현재 근무중인 사회복지 공무원의 복지마인드, 복지가치에 대한 인식 수준을 확인하고, 전문가 및 현업 공무원 인터뷰를 통하여 교육 필요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복지가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 내용은 사회복지 가치의 세 가지 요소를 직접적으로 공유하고 현업에서의 실 사례 등을 함께 생각해보며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둘째, 교육 방법은 토론 및 발표를 통해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고 피드백을 주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사회복지 공무원이 기본적으로 가져야 할 복지가치가 내면화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신규 직부터 직급별에 맞춰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다.

공무원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ants of Training Effectiveness in Public Sector)

  • 홍길표;임효창
    • 산학경영연구
    • /
    • 제19권2호
    • /
    • pp.95-116
    • /
    • 2006
  • 공무원 조직에 있어 교육훈련은 구성원의 역량을 개발함으로써 조직 역량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국가행정역량의 강화로 이어진다. 교육훈련의 효과성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민간 부문에서 많이 이루어진 반면, 공공부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공무원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피훈련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공무원 교육훈련의 효과성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교육기획, 교육내용, 강사 자질, 학습동기 등이 교육효과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민간부문에서의 교육훈련 연구와 맥을 같이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 연구결과에 대한 토론과 연구한계,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PDF

신규 임용공무원의 인식을 통한 소셜 미디어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Social Media Curriculum through Recognition of New Civil Servants)

  • 송승훈;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78-181
    • /
    • 2019
  • 본 연구는 공무원의 업무처리의 대부분이 정보화기술로 대체하면서 대국민서비스를 지원할 신규임용 공무원의 미래핵심역량인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수준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신규 임용자, 예정자, 실무수습 등 180명을 연구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5개 항목으로 나눠 기술 리터러시, 코드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뉴스 리터러시,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등에 대한 인식과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선된 소셜 미디어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로 공무원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방향이 전환 될 수 있도록 제언한다.

  • PDF

지방공무원 사이버 교육훈련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충청남도 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 the Learning Effect of Cyber Education and Training in Local Civil Servants - Focusing on the Recognition of Chungnam Civil Servants -)

  • 고승희;류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66-171
    • /
    • 2008
  • 본 연구는 최근 행정환경 및 행정수요의 변화에 대처하고자 공무원 교육훈련 패러다임의 전환 요구와 함께 사이버교육이 급격하게 요구받고 있는 실정에서, 충청남도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지방공무원 사이버 교육훈련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 아울러 지방공무원 사이버 교육훈련의 개선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사이버 교육 학습효과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보통이라고 인식하는 응답자가 많았다(평균 3.0726). 사이버 교육효과에 대해 연령과 직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즉,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이버 교육훈련의 학습효과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급수가 높아질수록 마찬가지로 사이버 교육훈련의 효과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교수와 학습자간 커뮤니티가 사이버 교육훈련의 학습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다음으로 교육 구성 컨텐츠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향후 사이버 교육 학습효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내용 제시가 다양화 되어야 하고, 아울러 사이버교육 접근성의 확대와 사이버교육 전담인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건의료담당 공무원을 위한 빅데이터 교육콘텐츠 (Big Data Education Contents for Healthcare Officials)

  • 김양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36-242
    • /
    • 2020
  • 빅데이터 기술이 미래 보건의료 패러다임변화를 선도할 핵심기술로 부각되면서, 보건의료 담당 공무원들에 대한 빅데이터 교육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 전국민 건강보험데이터 등 세계적 수준의 빅데이터 보유국으로서, 데이터 기반의 미래 예측과 정책수립을 통해 보건정책의 성과향상 및 지속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현업에서 보건의료를 담당하는 공무원을 위한 보건의료 데이터 자원 활용 전문인재양성교육 콘텐츠에 대한 수요는 증대되고 있으나, 현장에 적합한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보건의료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이나 학습모듈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보건업무 담당 공무원들의 빅데이터 직무 역량강화를 위해, 타분야 빅데이터 관련 NCS를 고려하여, 현업에서 보건의료분야 공공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공무원양성을 위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교육모듈과 콘텐츠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