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등학교 수학 교사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6초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통계 영역의 지도와 개선방안에 관한 교사의 의견조사 및 분석

  • 홍석강;마종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6권
    • /
    • pp.219-243
    • /
    • 2003
  •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의 통계부분은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 시점에서 고등학교 의 통계영역에 대해 고찰 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여기에서는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통계영역의 지도와 개선방안에 관한 교사의 의견조사 및 분석을 주제로 하여 먼저 제7차 교육과정의 주요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고등학교 통계부분의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을 비교 해 보면서 아울러 주요 외국의 고등학교 통계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진행중인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통계부분에 대한 현직 수학과 교사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설문결과를 살펴보고 설문결과에 대한 분석 및 지도방향을 고찰해보고, 결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통계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서술하고자 한다.

  • PDF

고등학교 미적분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임교사의 교수를 위한 전문화된 수학 내용 지식(SCKT) (An Analysis of Novice Teachers'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in High School Calculus Lessons)

  • 고희정;고상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57-185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초임교사들의 교사지식(MKT) 중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인 "교수를 위한 전문화된 수학 내용 지식"(SCKT)을 조사하여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는데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에 서로 다른 학교에 근무하는 고등학교 초임교사 두 명을 연구 참여자로 그들의 미적분 수업을 중심으로 2011년 7월부터 2012년 2월까지 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SCKT는 수학적 개념과 성질의 문제를 설명할 수 있는 지식, 수학적 개념과 성질의 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는 지식, 그리고 수학적 규칙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는 지식으로 분류되어 조사되었다. 미적분 영역에서 교사의 SCKT는 다양하게 발현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냈는데 그것은 학생의 질문에도 SCKT의 개별화된 수학 지식을 제시하지 못하고 교과서의 내용을 그대로 반복하는 모습에서 알 수 있었다. 교사 스스로는 수학내용지식을 가지고 있으나 그 하위구조의 지식을 차별화하여 제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사범대학의 교사교육에서 현장의 수학수업의 실제와 연계된 학교수학을 중심으로 하는 SCKT가 더욱 개발되고 실천될 수 있는 방안을 꾸준히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수학 교사교육 연구와 실천과제: 효과적인 수학 수업의 다섯 가지 필수 측면 프레임으로 분석한 고등학교 수열 단원 수업과 교사 전문성 신장에 대한 소고 (Connecting Research and Practice: Teaching for Robust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Framework in a Korean Mathematics Classroom Context)

  • 김희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4호
    • /
    • pp.639-66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수학 교실 수업 관찰 프레임인 "효과적인 수학 수업의 다섯 가지 필수 측면 프레임"을 한국어로 소개하고, 이 프레임을 이용하여 한국의 고등학교 수업을 분석한 결과를 논의한다. 교사의 교수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교사를 평가를 하였던 기존의 많은 수업 관찰 프레임에서 보여졌던 것과는 달리, "효과적인 수학 수업의 다섯 가지 필수 측면 프레임"은 교실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어떤 질 좋은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그 기회에 학생들이 참여하게 하는 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본 고에서는 단순히 이 프레임을 번역하여 소개하는 것이 아닌, 연구 수업 및 교사 공동체가 학교와 교사의 문화로 자리매김한 한국 상황에 맞게 적용하여 한국 고등학교 수업을 케이스 스터디로 분석한 것으로, 한국의 학교 문화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고의 말미에서는 "효과적인 수학 수업의 다섯 가지 필수 측면 프레임"의 다른 버전인 교사 전문성 신장 가이드를 이용하여 교사들과 교사 연수자들이 수학 교실 수업 개선을 목표로 하는 교사 전문성 신장에 관한 실천적 측면의 함의점을 논한다.

고등학교 수학 교사가 학생 지도에서 겪는 어려움 (Difficulties of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 Guiding Students)

  • 유기종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47-61
    • /
    • 2019
  • 본 연구는 6개 시 도 36명의 고등학교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학생 지도에서 겪는 어려움을 탐색하고, 교사의 성별, 직위별, 경력별로 어려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 결과 수업 요인 중 학생 지도에서 겪는 교사들의 어려움은 학생 평가, 교수 학습 방법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집단별 평균 차이 검증은 대체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학 교과 내용학과 교육학이 학생 지도에 도움이 된 정도는 선행연구와 달리 두 가지 모두 다소 낮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수학 교사 인식에 나타난 과정 중심 평가와 수행 차이 및 어려움 (Difficultie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performance on process-based assessment for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

  • 오서영;권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2호
    • /
    • pp.239-256
    • /
    • 2022
  • 이 연구는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행, 어려움 및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인천 지역 고등학교 수학 교사 6명을 대상으로 과정 중심 평가 경험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눈 뒤 심층 그룹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의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행에 대한 생각에 차이가 나타났고 평가 경험의 많고 적음에 따른 차이도 확인되었다. 그리고 교사들이 과정 중심 평가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느끼는 어려움을 네 가지 차원의 제약(물리적, 교사의 전문성, 학교 문화, 사회 문화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안한다.

수학의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A Survey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s)

  • 김동원;박경미;박미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1호
    • /
    • pp.99-118
    • /
    • 2015
  • 최근 수학교육에서는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익히는 것을 넘어서서 수학을 실행하기(doing mathematics) 그리고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과 수학과 각론 모두 핵심역량의 강조, 정의적 성취의 신장을 중핵적인 개념으로 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이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어 있는지 간략히 살펴보고,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우리나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전국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학교급, 교직 경력, 학교의 소재지, 학교의 유형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이 어떻게 다르게 인식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네 가지 경향성을 도출하였다. 첫째,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의 각 요소마다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들보다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의 중요성을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직 경력이 길수록,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들은 교직 경력이 짧을수록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대도시 교사가 읍면지역 교사보다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중요성을 더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중학교 교사들은 소재지에 따라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특성화고 교사는 다른 유형 학교의 교사들보다 일부 핵심역량 요소들의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고 있으나,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의미와 교수-학습법

  • 고영미;이상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09-216
    • /
    • 2004
  • 제 7 차 수학과 교육 과정에서 이산수학이 수학과 선택과목으로 채택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와 학생의 이산수학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또한 교수-학습법에 대한 기준과 표본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현재 고등학교에서 이산수학을 선택하는 학교와 학생의 수는 미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이산수학 교육의 상황 개선을 위한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본연의 의미와 제 7 차 수학과 교육 과정에서의 이산수학 교육의 취지 및 목표 등을 고려하여 교육학적으로 보다 의미 있고 효과적인 교수-학습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사범대학의 이차곡선 영역 교육에 대한 교수 및 교사의 인식 (The Perception of the Professors and Teachers about the Education on Quadratic Curves in Various Universities)

  • 이승훈;조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4호
    • /
    • pp.827-84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차곡선에 관한 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의 교육이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이에 대한 교수,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3개 대학의 수학교육과와 1개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이차곡선이 강의되는 강좌의 강의담당 교수와 그 강좌를 수강했던 예비교사, 그리고 경기도 소재 1개 고등학교의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교육내용과 이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차곡선에 관한 사범대학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범대학 교육과정에는 이차곡선에 관한 내용이 강의되는 강좌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강좌에서 이차곡선에 관한 학교수학과 연결된 학문적 수학 내용이 충분히 강의되고 있으며, 그 강의를 수강한 학생들의 66.1%가 이차곡선에 관한 이해도가 좋아졌다고 인식했으며, 현직교사들 또한 대부분의 내용에 대하여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실제 고등학교 교육 현장과의 연결성 강화가 요구된다.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이차곡선에 관한 내용은 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이 크고, 사범대학에서 이에 대하여 배울 필요성 또한 큰 것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사범대학에서 학습하는 내용들이 현장에서의 활용과는 유리되어 배우고 있다는 인식과 함께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셋째, 이차곡선에 관한 내용지식의 범위를 학교수학과 연결된 학문적 수학의 범위로 확대하려는 자발적 노력을 촉진, 장려하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과 지원이 요구된다.

  • PDF

탐구-중심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에 관한 사례연구: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Teacher's Role in Inquiry-Oriented Mathematics Instruction: Centered o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김익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77-199
    • /
    • 2008
  • Streefland(Elbers, 2003)는 네덜란드에서 11세에서 13세 사이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탐구-집단(community of inquiry)의 구성과 활동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에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교사가 도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했다. Goos(2004)는 오스트레일리아의 고등학교 3학년 수학교실에서는 당연한 것으로 여겨진 탐구 문화를 고등학교 2학년 교실에서 교사가 어떻게 형성시키는지를 관찰과 인터뷰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에서는 대학입시 제도를 포함한 다양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탐구-중심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과 관련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탐구-중심 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탐구-중심 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탐구-중심 수업 모델을 바탕으로 소집단별로 문제를 선정하고 해결하면서 학생 스스로 수학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조력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에 관하여 탐색한다.

  • PDF

수학교사들의 내용지식이 학생들의 기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고상숙;장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445-452
    • /
    • 2005
  •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교사 50명에 대하여 기하 문제의 논증기하적 또는 해석기하적 문제해결 전략이 학생들의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한 것이다.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면 도형의 문제에 대한 해석기하적인 문제해결 능력은 교육과정 상 대단히 중요하게 가르쳐야 할 내용이다. 유클리드 기하에 바탕을 둔 논증기하의 지식은 좌표평면의 도형을 방정식으로 나타내고 연구하는 해석기하의 기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은 논증기하적 문제해결을 선호하는 반면 해석기하적 문제해결은 어려워한다. 또한 논증기하적 문제 형태에는 논증기하적 문제해결 전략, 해석기하적 문제 형태에는 해석기하적 문제해결 전략을 구사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교사들의 기하 문제에 대한 내용 지식이 학생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