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s

수학의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 Received : 2015.02.10
  • Accepted : 2015.02.23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s. For this purpose,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s of three core competencies including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and two affective aspects including good human nature and attitudes. The survey results were further analyzed based on school level, teaching experience, location of schools, and types of high schools. As a result, four findings were identified.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nd to put more emphasis on core competencies and affective aspects than secondary school teachers do. Second, in elementary school level, longer teaching experience is correlated with more positive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affective aspects. However, there was an opposite tendency in secondary school level. Third, teachers working at schools in metropolitan cities tend to emphasize core competencies and affective aspects more than those at schools located in mid-sized cities and rural areas. Fourth, the school types in high school didn't seem to affect the teachers' perception on core competencies and affective aspects.

최근 수학교육에서는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익히는 것을 넘어서서 수학을 실행하기(doing mathematics) 그리고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과 수학과 각론 모두 핵심역량의 강조, 정의적 성취의 신장을 중핵적인 개념으로 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이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어 있는지 간략히 살펴보고,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우리나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전국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학교급, 교직 경력, 학교의 소재지, 학교의 유형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이 어떻게 다르게 인식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네 가지 경향성을 도출하였다. 첫째,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의 각 요소마다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들보다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의 중요성을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직 경력이 길수록,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들은 교직 경력이 짧을수록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대도시 교사가 읍면지역 교사보다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중요성을 더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중학교 교사들은 소재지에 따라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특성화고 교사는 다른 유형 학교의 교사들보다 일부 핵심역량 요소들의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고 있으나,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 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2. 김도한, 박혜숙, 이재학, 김홍종, 백석윤, 박경미, 송용진, 방정숙, 이정례, 나귀수, 도종훈, 손 흥찬, 홍진곤, 하길찬, 김재완, 최지선, 최혜령, 이환철, 이문호(2009).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3. 박경미, 권오남, 박선화, 박만구, 변희현, 강은주, 서보억, 이환철, 김동원, 김선희, 안종선 (2014). 문․이과 통합형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최종보고서. 교육부.
  4. 박선화, 김명화, 주미경(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윤현진, 김영준, 이광우, 전제철(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 핵심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7-1.
  6. 이광우, 민용성, 전제철, 김미영(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I): 핵심 역량 영역별 하위 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8-7-1.
  7. 이광우, 박지만, 박민정(2013).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3-17.
  8. 이광우, 전제철, 허경철, 홍원표, 김문숙(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한국교 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10-1.
  9.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2012). 미래 사회 대비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4.
  10. 이근호, 이광우, 박지만, 박민정(2013).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3-17.
  11. 이영준(2000). 분산분석의 이해. 서울: 석정.
  12. 최상기, 목연하(2011).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문제 만들기 문항 -수학 7의 대수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2), 163-178.
  13. 최승현, 곽영순, 노은희(2011)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학습과 교사교육 방안: 중학교 국어, 수학,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1-1.
  14. Ministry of Education Taiwan(2008). Taiwan Secondary Framework. Taiwan: Ministry of Education.
  15. OECD(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DeSeCo). OEC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