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관련 삶의 질

검색결과 817건 처리시간 0.032초

중국인 유학생의 흡연경험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융합적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moking Experienc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 장경애;허성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30-138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거주 중국인 유학생의 흡연경험 유무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부산시내에 위치한 지역대학 내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4.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한 결과 흡연 비경험자가 흡연 경험자보다 칫솔질과 구강건강관리 관련 자기효능감,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점수가 각각 높게 나타나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칫솔질 자기효능감은 구강건강관리 관련 자기효능감과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었고, 구강건강관리 관련 자기효능감은 구강건강 삶의 질과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흡연경험의 유무는 외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한 유학생활을 위해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전달하여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고혈압 노인의 질병관련 특성과 구강건강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State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Hypertension)

  • 정윤경;유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05-514
    • /
    • 2022
  • 본 연구는 고혈압 노인의 질병관련 특성과 구강건강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K시의 보건소에 등록된 65세 이상의 고혈압 노인 108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1월 부터 2월까지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관적 건강상태(β=.351, p=.002), 체질량지수(BMI)(β=.271, p=.024), 나이(β=-.260, p=.028)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46.0%(F=9.02, p<.001)였다. 즉, 주관적 건강상태와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나이가 적을수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혈압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구강건강 유지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A Study on the Major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Stroke Survivors)

  • 양정빈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239-1261
    • /
    • 2010
  • 본 연구는 장기간 노인(전문)병원 및 요양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규명함으로써 대상자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 방안들을 제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충청지역 및 D 광역시 소재 노인(전문)병원 18곳과 요양시설 13곳에서 장기 입원(입소)하고 있는 55세 이상의 뇌졸중 생존 노인들이며 서베이 방법을 사용하여 직접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08년 12월 16일부터 2009년 1월 17일까지 실시되었고, 총 328부의 설문지가 통계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건강관련 삶의 질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특히 건강관련 삶의 질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영역 중 사회적 관계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투입된 독립변수들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우울', '향후 경제적 부담감', '일상생활수행능력', '장애수용', '중복질환', '경제적 주부양자가 배우자인 경우'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기재활 및 요양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질병관련 요인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요인, 환경적 요인 모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규명되었고, 그 가운데서도 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력이 제일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사회복지사들의 역량을 고취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정도와 영향요인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arly Childhood of Premature Children)

  • 임은희;주현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37-45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와 정상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고,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유아기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 방법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인터넷 카페에서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부모 80명과 정상아 부모 83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TNO-AZL에서 개발한 TAPQOL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삶의 질 점수는 100점 만점에 80.6점(${\pm}9.9$)이었으며, 정상아로 태어난 유아의 삶의 질 점수는 85.0점(${\pm}8.3$)으로, 미숙아 집단이 정상아 집단에 비해 삶의 질 점수가 4.4점(${\pm}1.4$) 낮았다. 미숙아 집단이 정상아 집단에 비해 삶의 질 점수가 낮은 영역으로는 운동기능, 불안, 긍정적 기분, 활기참 및 의사소통 등이었다. 두 집단간 삶의 질 점수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운동기능과 의사소통이었다.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신생아실 입원기간(7일 이상)'과 '출생체중(1,000 g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수의 설명력은 17%였다. 즉, 신생아실 입원기간이 7일 미만이고, 출생 시 체중이 1,000 g 이상인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가 높았다. 결론 미숙아로 태어난 아동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이들의 출생 시 체중 및 신생아실 입원기간 등이 영향을 미치므로 미숙아 추후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출생체중, 재태기간 및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기간 등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서비스종사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 (The Influential 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ervice Employees)

  • 윤요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365-37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종사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건강관련 및 만성질환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13년 1월1부터 2014년 12월31까지 실시된 제6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2차 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서비스종사자의 607명의 자료를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삶의 질이 낮았으며 (${\beta}=-.074$, p=.050), 연령이 많을수록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beta}=307$, p=.000). 주관적 건강상태는" 매우나쁨"(${\beta}=186$, p=.027),보다 "좋음"(${\beta}=196$, p=.001),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활동제한은 일상생활 활동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beta}=-.222$, p=.000)). 스트레스 인지가 "많이 느낌" (${\beta}=-.123$, p=.003),보다 "적게 느낌"(${\beta}=-.176$, p=.000)이 삶의 질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수는 서비스 종사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24.6%를 설명하였다. 결론: 따라서 서비스 종사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활동제한은 일상생활 활동정도를 높여 주며, 주관적 건강생태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심리적 방안도 함께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한국 중·장년의 저작문제와 삶의 질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Mastication Problem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Korean)

  • 이혜진;김영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15-222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 중·장년의 저작 문제와 삶의 질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만 40세 이상 64세 이하의 중·장년 중 건강관련 삶의 질을 알아보는 EQ-5D 지수 및 구강건강 상태에 대한 설문에 응답한 7,125명이 최종 분석대상이 되었다. 대상자의 삶의 질의 평균은 0.96점이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삶의 질이 낮은 그룹과 높은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작문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저작문제가 있는 그룹에서 낮은 삶의 질의 비율은 41.9%로 저작문제가 없는 그룹(24.4%)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저작문제가 없는 그룹을 기준으로 문제가 있는 그룹에서의 낮은 삶의 질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구강건강상태를 보정했을 때 저작문제가 있는 그룹에서 낮은 삶의 질의 비율은 1.77배(95% CI: 1.53-2.06)로 분석되어 저작 문제는 삶의 질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구강의 요인들을 반영한 연구가 필요하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폐기능, 주관적인 호흡곤란정도 및 SGRQ와의 상관관계 (Pulmonary Function, Dyspnea and SGRQ in Patients With COPD)

  • 강인순;전정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134-2140
    • /
    • 2009
  • 본 연구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주관적인 호흡곤란 정도 및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의 측정 필요성을 확인하고, 객관적인 지표인 폐기능과의 관련성을 규명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질문지 작성과 폐기능 검사를 실시하여 조사하였다. FEV1에 따라 분류한 질병의 중증도에서 중등증과 중증 대상자가 경증 대상자에 비해 호흡곤란이 심하며 (BDI F=5.452, p=.007; MRC F=4.925, p=.011), 중증 대상자가 경증 대상자에 비해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았다 (F=3.778, p=.030). FEV1과 주관적 호흡곤란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의 상관성(BDI r=.471; MRC r=-.403; SGRQ r=-.476)은 낮았으나 주관적 호흡곤란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상관성(BDI r=-.752; MRC r=.645)은 높았다. 또한 질병의 중증도가 중등증과 중증 대상자들에서는 FEV1과 주관적 호흡곤란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의 상관성은 없었으나 주관적 호흡곤란과 건강관련 삶의 질은 역시 높은 상관성(BDI r=-.719; MRC r=.607)을 보였으며, 특히 BDI는 MRC보다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상관성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임상에서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상태를 평가할 때 객관적인 폐기능 검사와 함께 BDI로 주관적 호흡곤란을 측정함으로써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농촌지역 노인들의 사회경제적인 요인 및 건강습관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 최정숙;권성옥;백희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9권1호
    • /
    • pp.29-41
    • /
    • 2004
  •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403명을 대상으로 HRQOL(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의 핵심 4문항을 이용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및 건강습관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2002년7월부터 2003년 7월에 걸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건강일수는 평균 15.0일이었으며,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별로 남자 노인은 건강관련 삶의 질이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노인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건강일수는 적고 활동제한 일수와 신체적 장애일수는 증가하였다. 비만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건강일수에 있어서 과체중군이 남녀 각각 13.5일, 13.9일로 가장 짧았다. 사회경제적인 요인에 따라서 남녀노인 모두 교육수준이 높고 직업이 있으며. 혼자 사는 것보다는 가족들과 함께 살수록 건강일수는 유의하게 길었으며 활동제한 일수, 신체적 장애일수, 정신적 장애 일수는 짧아서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습관에서 남녀 모두 흡연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차이가 없었으나 음주에 대하여 남자노인은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이 여자노인은 음주를 하다가 끊은 사람이 활동제한 일수와 신체적인 장애일수가 유의하게 길었다. 또한 현재 앓고 있는 질환이 적거나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거나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경우에 건강일수가 높고 활동제한 일수 신체적 장애일수, 정신적 장애 일수가 짧았다.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응답한 그룹이 50.2%로 절반에 해당하였다.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다고 응답한 그룹의 건강일수가 남녀 각각 21.8일 19.6일로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유의하게 더 길었으며. 그렇지 못한 그룹은 활동제한 일수와 신체적 장애 일수가 2배 이상, 정신적 장애일수는 4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농촌 지역 노인들의 사회경제적 수준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 주관적으로 평가된 건강상태 등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 및 지역사회 차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들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건강관련 삶의 질이 취약한 집단을 규명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지속적인 삶의 질의 조사를 통하여 노인대상의 지역사회 프로그램들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한국 생산직 근로자의 초과근무 여부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vertime Work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Korean Blue-Collar Workers)

  • 박윤희;채덕희;김수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99-20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소규모 산업장에 근무하는 생산직 근로자의 초과근무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본 서술적 조사연구는 2015년 10월부터 11월까지 6개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생산직 근로자 2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융합적 관점으로 다양한 변수들의 영향을 고려한 상태에서 생산직 근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초과근무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과근무를 투입하였을 때 설명력 변화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생산직 근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초과근무(${\beta}=.152$, p=.025), 우울(${\beta}=-.192$, p=.003), 야간근무(${\beta}=-.201$, p=.032)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한국의 생산직 근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최적 근로시간 기준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대 이상 성인의 치주질환 여부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Periodontal Diseas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Over 40s)

  • 유지수;황수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49-56
    • /
    • 2021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8)의 자료를 활용하여 40세 이상의 성인 중 삶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악성종양을 가진 자를 제외한 8,035명을 대상으로 치주질환의 여부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건전치주군에 비해 치주질환군에서 1.32배 삶의 질 저하가 될 위험이 더 높았으며, 영향 요인으로는 50세 이상의 연령, 2개 이상의 만성질환이 동반되는 경우 등으로 확인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치주질환을 가진 성인의 경우 만성질환을 적게 가지고 있음에도 부정적인 삶의 질을 인식하는 시기가 빨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성인대상의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