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ajor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Stroke Survivors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 양정빈 (남서울대학교 노인복지학과)
  • Received : 2010.08.31
  • Accepted : 2010.11.30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e main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stroke survivors, and to suggest social work interventions for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The participants were 328 elderly stroke survivors over 55 years old recruited from 18 long-term care hospitals and 13 nursing care facilities in Chung-Nam Province,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direct survey method from Dec. 16, 2008 to Jan. 17, 2009.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overal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participants was relatively low, especially in the social relationships domain.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pression emerged 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elderly stroke survivo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llowed by financial burden in futur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cceptance of disability, comorbidity, and major financial supporter(spous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stroke survivo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was affected by a variety of variables from disease-related factors to environmental ones. Particularly psychosocial variables were the most powerful factors to predict HRQOL of elderly stroke survivors. Based on the results, social work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developing clinical strategies to alleviate elderly stroke survivo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Living with chronic illness and disability is a great challenge to the elderly. Most of all long-term residence in care facilities can cause deterioration of quality of life in old age. From now on, studie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with chronic illness and disability should be activated in social work field.

본 연구는 장기간 노인(전문)병원 및 요양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규명함으로써 대상자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 방안들을 제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충청지역 및 D 광역시 소재 노인(전문)병원 18곳과 요양시설 13곳에서 장기 입원(입소)하고 있는 55세 이상의 뇌졸중 생존 노인들이며 서베이 방법을 사용하여 직접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08년 12월 16일부터 2009년 1월 17일까지 실시되었고, 총 328부의 설문지가 통계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건강관련 삶의 질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특히 건강관련 삶의 질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영역 중 사회적 관계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투입된 독립변수들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우울', '향후 경제적 부담감', '일상생활수행능력', '장애수용', '중복질환', '경제적 주부양자가 배우자인 경우'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기재활 및 요양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질병관련 요인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요인, 환경적 요인 모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규명되었고, 그 가운데서도 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력이 제일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사회복지사들의 역량을 고취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