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관계 만족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2초

노인요양병원 환자보호자의 소비가치와 병원 만족도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tient Caregiver's Consumption Value and Hospit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Geriatric Hospitals)

  • 임태영;임왕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61-76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자보호자를 대상으로 소비가치와 병원 만족도 및 환자보호자의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한 민간노인요양병원 10개소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55부의 자료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도 분석, 신뢰성 검토와 다중회귀분석법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요양병원의 소비가치 중에서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가 병원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진귀적 가치는 병원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만족도는 환자보호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가족지지가 기능적 가치와 병원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였고, 환자보호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의 함의를 논의하고, 환자보호자의 병원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병원경영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자연사 박물관 관람객의 관람유형과 관람만족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s and Satisfactions of Visitors at Natural History Museum)

  • 최지은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15-326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사 박물관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들의 관람 유형과 관람 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전국 소재 초, 중, 고 학생, 교사, 학부모, 그리고 대학생들 204명이었고, 연구 결과는 교차 분석과 카이 제곱 검증 등을 통해 검증되었다. 구체적으로 자연사 박물관 관람의 지배적인 행동 유형을 알아본 후, 그 다음 이것과 관람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지배적인 관람 행동 유형은 '가족 단위'의 관람, '여가와 단순 관람'의 목적, '설명카드'를 읽으면서 관람하는 방식, 그리고 평균 '2시간 이상'의 관람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행인이 가족과 혼자인 경우, 과학에 대한 관심으로 관람하는 경우, 설명카드나 설명을 들으면서 하는 관람 등은 관람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다. 셋째, 학교 단체 관람객, 여가 및 단순관람의 목적, 과제탐구의 목적 그리고 전시물만 보는 관람방식은 관람 만족도가 낮은 편이었다. 넷째, 관람 시간이 길수록 관람 만족도가 높았다.

노인의 가족결속력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f Family Cohesion on Self-Regulation Ability of the Elderly)

  • 정명희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6호
    • /
    • pp.51-60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의 가족결속력과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노인의 가족결속력과 가정 만족도, 종교 사회활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노인들이 가정을 이용하는데 가족결속력과 자기 조절능력의 영향에 대하여 분석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가족결속력의 요인이 여가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가족결속력 하위변인인 가족 응집성, 가족 화합성, 가족 적응성이 높아지면 여가 사회활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의 가족결속력의 요인이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가족결속력 하위변인인 가족 응집성, 가족 화합성, 가족 적응성이 높아지면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의 자기 조절능력이 여가 사회활동,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이 높아지면 여가 사회활동,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의 가족결속력 요인이 여가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족결속력이 강해지면, 자기 조절능력도 좋아지고, 여가 사회활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정의 가족결속력 요인이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족결속력이 강해지면, 자기 조절능력도 좋아지고,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점차 증가하는 노인들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세부적으로 이용 중요 전체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차후에 노인의 사회활동에 필요한 요인들로서 활동가능하다. 향후에는 표본 대상을 세분화하여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사회활동의 범위를 세분화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조사를 토대로 앞으로의 본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해보고자 한다. 첫째, 점차 고령화 사회가 되어가는 현실에서 노인 삶의 질과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녀와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자녀와의 가족결속력에 심리적 행복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 노인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도 영향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녀와의 진실한 대화를 통한 유대를 형성하는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노부모와 자녀들 간의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상담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까지의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연구가 노인이 생각하는 생활만족, 노부모가 느끼는 자녀와의 결속에만 치우쳐 있다. 앞으로의 연구는 자료수집과 분석에 어려움이 다소 예상되나 노부모와 자녀 모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특성을 각각 파악하고 노부모가 느끼는 자녀와의 결속과 자녀가 느끼는 노부모와의 결속에 어떤 일치와 차이점이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의 가족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자녀의 노부모 부담 및 돌봄의 짐을 덜어주기 위한 현실적 정책제안이 필요하다. 즉, 노인을 돌보는 자녀들에 대한 지원 정책뿐만 아니라 장기요양서비스가 필요한 노인들이 언제든 자녀와의 만남을 가질 수 있도록 시군구의 직영 요양시설의 증가가 필요하다. 또한 거주지의 주소지 소속에 대한 혜택을 전국 어디서든지 자녀들의 주소지의 요양시설에도 혜택을 받을 수 있게 국가가 책임지고 재정적, 행정적인 지원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하며,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과 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의 표집대상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7개의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경로대학에 출석하는 대상자만을 선정하였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를 지닌다. 둘째, 설문조사과정에 있어서 응답자의 개인변인 등을 고려하여할 때 향후에는 표본 대상을 세분화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학부모의 교육 참여, 부모효능감,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 간 관계: 가족 유형 및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and Parental Efficacy on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chievement According to Family Type and School Level)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71-8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학부모의 교육 참여, 부모효능감,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가족유형 및 학교급에 따라 구조적 관계의 차별적인 특징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의 2,497가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t검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부모/조손 가정보다는 양부모 가정,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가정보다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가정의 학부모의 교육 참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모형 분석 결과, 학부모의 교육 참여 수준은 부모효능감을 매개로 자녀의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이 지지가 되었다. 셋째, 가족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교육 참여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경로, 교육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에서 가족 유형에 따른 경로계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경로 모두 한부모/조손 가정보다 양부모 가정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교육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 부모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에서 학교급에 따른 경로계수 크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는 초등학생 집단이 더 큰 영향을 미치지만, 부모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는 중/고등학생 집단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족 유형 및 학교급에 따라 학부모의 교육 참여가 부모 및 자녀 특성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중학교 가정과교육에서 행복교육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실행: '가족의 이해'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ing-Learning Plans Using Happiness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Unit of Understanding Families in a Middle School)

  • 임홍순;최새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5-50
    • /
    • 2019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족의 이해'단원에 행복교육을 적용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한 후 가정교과 수업에 실행함으로서 학생들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개발은 ADDIE에 따라 2009개정 교육과정과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행복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후 교육목표와 수업목표를 설정하고 학습주제와 학습내용을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행복교과서의 9가지 행복 구성요소를 적용하여 15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학습 활동지13개, 읽기자료 6개, 파워포인트 자료 13개, 동영상 8개)를 개발하고 수업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2017년 3월 13일부터 7월 7일까지 충청북도 소재의 M중학교 3학년 4개 학급의 남녀 71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수업에 적용하고, 70명의 학생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교수·학습 과정안의 수업 후 학생들의 주관적 행복감과 교우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가족관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교수·학습 과정안의 수업운영 방식에 대한 학생평가는 행복연습의 학생활동과 모둠활동의 수업방식을 만족하였고, 이런 학생 참여 수업 방식이 본 수업에 가장 적합한 수업방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행복교육을 적용한 '가족의 이해'단원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과 실행이 학생들의 행복 역량을 기를 수 있는 태도를 함양하여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에게 가족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가치관 및 관점을 갖게 하였으며, 교우관계 증진에도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교과에서 행복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학교교육현장에서 더욱 다양하게 개발되고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중년남성의 가족지지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Men)

  • 강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44-353
    • /
    • 2016
  • 본 연구는 중년남성의 가족지지와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중년남성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C시에 거주하는 중년남성 188명이었으며, 자료는 2014년 7월 27일부터 8월 11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가족지지,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 정도는 중간이상이었고, 이는 학력, 결혼상태, 직업, 평균소득, 경제수준, 고용형태, 동거형태, 건강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가족지지,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가족지지와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를 51.5% 설명하였다. 따라서 중년 남성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계획 시에는 대상자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고 가족지지, 사회적 지지를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타심과 자기통제에 의한 또래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Verifying Moderated Mediation of Peer Relations Mediated by Altruism and Self-Regulation)

  • 허미정;노미화;최연실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9-49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mong adolescents, and to verify moderated mediation of peer relations mediated by altruism and self-regulation. Method: The study referred to the 2015 Annual Report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More precisely, report on the fourth year research process of the study cohort comprising 2,091 subjects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Overall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8.0 program and specifically, moderated mediation were verified by using SPSS Macro, as suggested by Preacher, etc. (2008). Results: As a result, firstly, the peer relation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mong adolescents. Secondly, altruism and self-regulation ha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betwee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 among adolescent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esteem a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by mediation of peer relations among adolescents and altruism and self-regulation agent is applied positive adjustment to further promote the peer relations and increase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Through these study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대상노인 및 부양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향점수매칭(PSM)과 이중차이(DD) 결합모형을 이용한 분석 - (The Effects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Family Relationships - The DD Method Combined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

  • 권현정;조용운;고지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4호
    • /
    • pp.301-326
    • /
    • 2011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제도성과를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확한 제도성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준실험적 방법인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 결합모형을 이용해 타당성을 저해할 수 있는 요인들을 제거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사회적 성과변수인 대상노인과 부양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복지패널 3-4차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성향점수추정을 통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매칭한 후, 정책시행 이전과 이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성과의 차이를 추정하기 위해 패널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한 이중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대상노인과 부양가족의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가족관계 만족도는 제도시행 이전에 비해 제도시행 이후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실시되고 제도가 충분히 성숙된 시점에 이루어진 평가가 아니라는 한계점을 가지지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최종 목표인 대상노인과 부양가족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정책의 목표실현과 향후 제도개선에 있어서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 PDF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역할모호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Role Ambigu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Superviso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 김경화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3호
    • /
    • pp.165-18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ole ambigu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superviso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s were 243 visiting superviso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5.0 using Cronbach's ${\alph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both self-efficacy and role ambiguity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superviso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Furth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was mediated by role ambiguity. The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superviso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 PDF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자아정체감, 가족기능과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well-being, Self-identity and Family function of Nursing Students)

  • 김효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76-386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자아정체감, 가족기능의 관계를 파악하고 고찰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K, C도에 소재한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583명을 대상으로 2011년 3월 1일부터 2012년 3월 31일까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결과 주관적 안녕감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 학년, 종교, 경제상태, 학교생활 만족도,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정체감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종교, 경제상태, 학업성적, 학교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족기능은 경제상태, 전공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관적 안녕감, 자아정체감, 가족기능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주관적 안녕감, 자아정체감, 가족기능을 고려한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