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ast Pichia farinosa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 of Pichia farinosa SKM-1, Pichia anomala SKM- T, and Galactomyces geotrichum SJM-59 on Extending the Shelf Life of Kkakdugi

  • Mo, Eun-Kyoung;Ly, Sun-Yung;Sung, Chang-Ke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193-197
    • /
    • 200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chia farinosa SKM -1, Pichia anomala SKM-T, Galactomyces geotrichum SJM-59,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on extending the shelf life of kkakdugi, 4 kinds of lyophilized yeasts adding kkakdugis were prepared and stored at $4^{\circ}C$ for 30 days. Except S. cerevisiae adding group, 3 kinds of yeast adding groups were maintained their desirable levels (ca. pH 4.2 and 0.6% acidity) during the fermentation. The hardness of yeast adding groups was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during the experiments. The number of yeast and the ratio of lactic acid against to total bacteria in P. farinosa SKM-1, P. anomala SKM-T, and G geotrichum SJM-59 adding groups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 and/or S. cerevisiae adding group. Based on acidity, kkakdugi made with P. farinosa SKM-1, P. anomala SKM-T, and G geotrichum SJM-59 remained edible about 10 days longer than the control product.

된장에서 분리한 효모(Pichia farinosa NASS-2)의 돈분 악취감소효과 (Decrease efficiency of Offensive Odor from Pig Excreta by Yeast Strain, Pichia farinosa NASS-2 Isolated from Soy Bean Paste)

  • 유재홍;박인철;김완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54-257
    • /
    • 2012
  • 경기도 지방의 된장 시료로부터 악취감소 효과 미생물 중에서 효모가 분리되었으며 rDNA염기서열분석에 의하여 Pichia farinosa로 동정 되었다. 공시균주 P. farinosa NASS-2로 대량배양조건 확립 및 미생물처리제를 제조하였다. 분리한 효모로 제조한 악취저감효과 처리제의 실내 시험결과 돈분에 미생물제를 처리하고 15일 경과 후 악취가스 감소율을 조사한 결과, 암모니아가스($NH_3$ gas)는 처리 전 19.49 ppm에서 처리 후는 1.38 ppm으로, 황화수소가스($H_2S$ gas)는 처리 전 5.89 ppb에서 처리 후는 0.32 ppb으로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박테리아가 악취저감효과 미생물로 사용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된장에서 분리한 효모 특히 산막효모인 P. farinosa NASS-2의 악취효과(암모니아가스, 황화수소 가스)는 처음 보고이다.

Bacillus subtilis FWC1, B. amyloliquefaciens NAAS1 및 Pichia farinosa NAAS2의 산업적 생산을 위한 배양 조건 (Growth Media Conditions for Large-Scale Fermentation of Bacillus subtilis FWC1, B. amyloliquefaciens NAAS1, and Pichia farinosa NAAS2)

  • 유희섭;윤용희;오세종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87-93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growth characteristics under large-scale fermentation at 35℃ of three microorganisms with the ability to reduce odor-producing substances in livestock. The three microorganisms (Bacillus subtilis FWC1, Bacillus amyloliquefaciens NAAS1, and Pichia farinosa NAAS2) evaluated in this study have been proven effective in reducing odor-inducing substances. Bacillus subtilis FWC1 exhibited the highest viable cell count when using 2% maltodextrin as carbon source, 0.05% soy-peptone as nitrogen source, and 0.3% yeast extract. The optimum media composition for B. amyloliquefaciens NAAS1 was 1.2% modified-starch with 0.8% yeast extract. The spore formation rate in the mass production of the Bacillus strains was over 90%, indicating that optimal growth medium composition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case of P. farinosa NAAS2, our optimized growth medium [2% (w/v) glucose and 1% (w/v) yeast extract] improved biomass production.

누룩으로부터 스트레스 내성이 우수한 Pichia farinosa 균주의 분리 (Isolation of Stress-tolerant Pichia farinosa from Nuruk)

  • 권훈주;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49-354
    • /
    • 2016
  • 누룩으로부터 44℃에서 성장할 수 있는 효모 균주를 분리하고 상대적으로 성장속도가 가장 우수한 MBY/L1569 균주를 선별하였다. MBY/L1569 균주는 Pichia farinosa로 동정되었으며, 대조구인 P. farinosa KCTC27412 균주에 비하여 내열성,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P. farinosa MBY/L1569 균주는 46℃에서 0.37 ± 0.05 h−1의 비성장속도를 나타내었으며, 배양온도 37℃, 초기 pH 7.0, 포도당 농도 50 g/l 조건에서 0.50 ± 0.02 h−1의 가장 빠른 비성장속도를 나타내었다. 최적 호기적 배양조건에서 P. farinosa MBY/L1569 균주는 50 g/l 포도당으로부터 19.66 ± 0.68 g/l 에탄올을 생산하여 약 40%의 수율을 나타냈다. P. farinosa MBY/L1569 균주는 한국미생물자원센터에 KCTC27753 균주로 기탁하였다.

Identification of Phenylethyl Alcohol and Other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Yeasts, Pichia farinosa SKM-l, Pichia anomala SKM-T, and Galactomyces geotrichum SJM-59

  • Mo, Eun-Kyoung;Kang, Hyo-Jin;Lee, Chang-Tian;Xu, Bao-Jun;Kim, Jae-Hoon;Wang, Qi-Jun;Kim, Jae-Cheon;Sung, Chang-Ke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5호
    • /
    • pp.800-808
    • /
    • 2003
  • Three strains of yeasts, Pichia farinosa SKM-1, Pichia anomala SKM-T, and Galactomyces geotrichum SJM-59, produced volatile flavor compounds during fermentation. To investigate these volatile flavor compounds, the liquid culture broth of the three yeast strains were extracted with methylene chloride, and then GC and GC-MS analyses were conducted. Flavor analyses revealed that 5, 12, and 15 kinds of volatile compounds were isolated, and 4, 8, and 11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respectively. Phenylethyl alcohol was identified with the common volatile flavor compound of Pichia farinosa SKM-1, Pichia anomala SKM-T, and Galactomyces geotrichum SJM-59. 1H-indole-3-ethanol, a precursor of plant growth hormone, was identified from Pichia anomala SKM-T.

Effect of Pichia farinosa SKM-1, Pichia anomala SKM-T, and Galactomyces geotrichum SJM-59 on Ammonia Reduction and Laying Performance

  • Mo, Eun-Kyoung;Lee, Jeong-Hyun;Xu, Bao-Jun;Lee, Bong-Duk;Moon, Young-Ja;Sung, Chang-Ke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22-28
    • /
    • 2004
  • Livestock industry requires alternatives of antibiotics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o maintain public health. We herein report on an effective method to reduce ammonia from livestock manure, and confirmed environmentally-friendly livestock production by adding three types of yeast probiotics, Pichia farinosa SKM-1, Pichia anomala SKM-T, and Galactomyces geotrichum SJM-59, into the feed stuff, separately and/or mixed, and these three types of yeasts were administered to the Hy-line brown layers for 8 weeks. Compared with control, the laying performance, the egg quality, and the number of intestinal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of the treated group were improved and/or increased significantly. Pichia anomala SKM-T potently reduced ammonia production from poultry manure, and the other strains were also able to reduce the ammonia from it.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reduction of ammonia with Pichia farinosa SKM-1, Pichia anomala SKM-T, and Galactomyces geotrichum SJM-59 was obtained by using the augmented centroid-simplex design. The ratio of optimum condition was Pichia farinosa SKM-1:Pichia anomala SKM-T:Galactomyces geotrichum SJM-59=0.295:0.209:0.080, and the estimate was -123.36 (p=0.0l38). An ability to reduce the ammonia production from livestock manure was maintained at $30^{\circ}C$ for 15 weeks.

효모 Pichia farinosa의 첨가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능력, 장내미생물 변화 및 분의 암모니아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Yeast Pichia farinosa on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and Fecal $NH_{3}$ Emission in Laying Hens)

  • 김상호;박수영;유동조;이상진;최철환;성창근;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5-211
    • /
    • 2002
  • 본 연구는 산란계에 대한 생효모 첨가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1주령 ISA Brown 160수를 공시하여 9주 동안 사양하면서 산란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회장 및 맹장내 미생물, 계란 품질 및 계분내 암모니아 가스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첨가된 생효모는 Pichia farinosa SKM-1였으며, g당 $10^{6}$ cfu를 함유한 건조 생효모를 사료에 4수준 (0, 0.1, 0.3 및 0.5%)으로 첨가하였다. 각 처리는 반복당 10수씩 4반복으로 하였다. 산란율은 생효모 0.1 및 0.3%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평균난중은 처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일 산란량은 0.3% 첨가구가 다른 처리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사료섭취량은 생효모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약간 적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난생산 사료효율은 0.3% 생효모 첨가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소화율은 생효모 첨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계란 품질은 25주령에는 0.3% 첨가구에서 산란율이 높았던 관계로 난각질이 유의하게 떨어졌으나, 29주령에서는 다시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회장 내 유산균은 생효모 첨가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모와 혐기성 미생물은 차이가 없었다. 맹장내 미생물은 처리간에 비슷하게 나타났다. 계분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은 배분 후 3일차부터 6일차까지 최대로 발생하였는데, 이 시기에 생효모 첨가구가 무첨가에 비하여 발생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산란계에 대한 효모Pichia의 첨가는 산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경제성을 고려한 적정첨가수준은 0.1%수준으로 나타났다.

한국 전통 발효식품에서 분리한 인산가용화 효모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hosphate Solubilizing Yeasts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 박인철;김정선;정주애;유재홍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18-224
    • /
    • 2013
  • 한국 전통 발효식품에서 분리한 효모로부터 인산 가용화 활성이 우수한 5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균주 중 2균주는 Pichia anomala로 동정되었고, 3균주는 각각 Pichia farinosa, Candida versatilis, Pichia subpelliculosa로 동정되었다. 인산 가용화 효모는 $20{\sim}35^{\circ}C$의 온도에서 잘 자라는 중 온성 효모였으며 P. farinosa Y669는 $45^{\circ}C$의 고온에서도 생장하였다. C. versatilis Y907 균주는 pH 5~6의 좁은 pH 범위에서 생장하였고 15%의 NaCl 농도까지 내성을 나타내는 호염성 균주였다. 그 외 4균주는 pH 4.0~8.0에서 생장하였으며 NaCl 10% 농도에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인산 가용화 균주는 토양에서도 8주 동안 $10^7{\sim}10^8$ cfu/g의 밀도를 유지하며 생존하였다. 분리균주 중 인산 가용화 활성은 P. subpelliculosa Y1101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배양 11일 후 697.2 ug/mL의 유리인산을 생성하였다.

Successful Treatment of Catheter Related Blood Stream Infection By Millerozyma farinosa with Micafungin: A Case Report

  • Hong, Sun In;Suh, Young Sun;Kim, Hyun-Ok;Bae, In-Gyu;Shin, Jong Hee;Cho, Oh-Hyun
    • Infection and chemotherapy
    • /
    • 제50권4호
    • /
    • pp.362-366
    • /
    • 2018
  • Millerozyma farinosa (formerly Pichia farinosa) is halotolerant yeast mainly found in food and ubiquitous in the environment. It was a rare yeast pathogen, but it has recently emerged as a cause of fungemia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Optimal therapy for invasive fungal infection by this pathogen remains unclear. We report a case of catheter related blood stream infection caused by M. farinosa in a 71-year-old patient who recovered successfully after removal of the central venous catheter and treatment with micafungin.

된장의 발효숙성에 관여하는 효모의 분포와 가스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Yeast Flora and Gas Generation during Fermentation of Doenjang)

  • 오남순;이남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4호
    • /
    • pp.255-259
    • /
    • 1996
  • 된장의 발효 숙성 과정중 경시적으로 분리친 180주의 효모를 동정한 결과 Candida rugosa, Candida zelyanoides, Pichia farinosa, Sacccharomyces cerevisiae, Zygosaccharomyces rouxii 등 4속 5종으로 분리 동정되었다. 이들 효모 중 가스 및 알콜 생성능이 높은 효모는 S. cerevisiae와 Z. rouxii였으며, 특히 Z. rouxii는 속성 14일째 26%, 30일째는 76%의 분리빈도를 보여 된장의 발효숙성에 주로 분포되는 효모로 나타났다. 된장 발효숙성중의 효모수는 숙성초기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숙성 14일 경과시 초기보다 약 30배 증가하여 최고수준에 이르렀으며,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숙성 60일째는 숙성초기 효모수 보다 낮게 나타났다. 발효 속성중 에탄올은 숙성 30일째 1.87%가 생성되었고, 이후 60일째 까지 2.19%로 완만히 증가하였다. 가스생성은 숙성 14일의 시료 된장에서 가장 많았으며 보존중 최대 가스 생성량은 9.75ml/g이었으며 30일째의 시료 된장에서는 4.5ml/g로 가스 생성이 감소되었고, 숙성 45일과 60일째의 시료에서 가스생성이 억제된 것은 발효숙성시 생성된 에탄올로부터 기인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