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riting skills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7초

글쓰기 수업에서 음악과의 융합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the Possibilities of Convergence with Music in Writing Classes)

  • 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88-100
    • /
    • 2020
  • 본 연구는 오늘날 대학의 복합양식적 글쓰기 교양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조명한 문헌연구 성격의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음악과 글쓰기를 결합시켜 교육에 활용한 기존 연구들을 분석하여 그 교육적 함축을 찾아보고 Meyrowitz의 미디어를 바라보는 세 관점에 따라 그 연구들의 개념과 결과들을 종합 정리하여 글쓰기 교육의 입장에서 음악과의 융합 형태적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은 크게 네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는 범교과적 글쓰기의 관점, 둘째는 치유적 효과의 관점, 셋째는 글쓰기를 위한 사고 자료적 관점, 마지막은 신문식성의 관점이다. 이 개념들을 Meyrowitz의 관점으로 정리해 볼 때, 먼저는 환경으로서 음악을 활용하는 것인데 글쓰기 교육의 배경 음악으로 활용하여 음악이 가진 감성, 회상, 치유적 효과를 간접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글쓰기 도구로서 음악을 활용하는 것인데 현재 교육 현장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양식이다. 음악을 일종의 읽기자료로 활용하여 정의적, 인지적, 전략적 영역 모두에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는 음악과 서사의 융·복합적 글쓰기로 제시하였다. 음악이 독자적 언어 매체로서 서사 매체와 상호작용하면서 의미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글쓰기를 시도한다. 이 세 가지 차원은 관점은 서로 다르지만 동시에 일어나는 교육 작용일 수 있으며 서로가 결합된 형태로 진행될 수도 있다. 본고는 이러한 수업을 위해서는 글쓰기 교수자에게 음악적 역량이나 음악과의 융합 글쓰기에 대한 전문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며 팀티칭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Distribution of Skill and Encouraging Motivation to Enhance Resilience: Evidence from Accounting Personnel During COVID-19 Crisis

  • Yamuna Rani PALANIMALLY;Mohd Danial Afiq Khamar TAZILAH;Zam Zuriyati MOHAMAD;Meenah RAMASAMY;Mohamad Rohieszan RAMDAN;Dayang Rafidah SYARIFF M. FUAD;Noral Hidayah ALWI
    • 유통과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41-50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of skill evolution for accounting personnel during the health crisis and investigate the impact of accounting skills in developing resilience among accounting personne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total of 131 respondents of accounting personnel participated in a self-administered survey questionnaire. This data is analysed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accounting skills, digital skills, and writing skill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developing accounting personnel's motivation, subsequently leading to resilience. Conclusions: This study adds to the literature on the new requirements and future profiles of Malaysian organisation and the accounting profession. This will be a good reference for the practitioners to identify the relevant skills required for accountants after the pandemic. Furthermore, this study includes encouraging motivation and skills to improve resilience in the Malaysian context further to understand the push factors on skills evolution among the accountant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ith accounting courses would consider the potential future skills of accountants to meet market demands on time when updating the institutions' curricula program. Hence, the relevant skills required can be developed and practiced at the education level, especially secondary and tertiary levels.

창의적 이야기 작문용 세 그림의 동형 조사: 'Dog Owners,' 'Lost Dog,' 'Overslept' (An Investigation into the Equivalence of Three Pictures for Creative Story Writing: 'Dog Owners', 'Lost Dog', and 'Overslept')

  • 서희정;배정옥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699-719
    • /
    • 2016
  • 창의적 사고와 언어기술을 평가하는데 동형검사로 판명된 대체 그림들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의적 쓰기 과제용으로 최근 개발된 세 그림(이름: 'Dog Owners,' 'Lost Dog,' 'Overslept')이 동형 검사지가 되는지 조사하였다. 183명의 중학생들이 무작위로 배분된 세 그림 중 하나에 의거하여 영어로 이야기를 작성하였다. 작문은 네 가지 쓰기요소(유창성, 어휘 다양성, 구조 복잡성, 그리고 시간성)에 대해 Coh-Metrix와 MANCOVA로 분석되었다. 이 세 그림은 변별력에 있어 대체로 위 모든 요소에 대해 비슷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난이도는 요소별로 볼 때 반드시 같지는 않았다. Dog Owners와 Lost Dog 그림은 변별력과 난이도에 있어 동형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므로 이 두 그림은 반복 측정에서 타당한 동형 검사지로 추천된다. Overslept 그림은 다양한 어휘와 시간 연결사들을 유발시키는 데에 다른 두 그림 보다 용이하였다. 그림의 난이도가 다를 수 있다는 결과는 반복시험에서 대체 그림을 사용할 시 이들 그림이 동형 검정을 거치지 않고서는 그 타당성이 의심스러울 수 있음을 환기시켜 준다.

초등 수학 수업에서 설명식 쓰기 활동이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Expository Writing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 정다운;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35-455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 수학 수업에서 설명식 쓰기 활동이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수준 변화와 특징을 중점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설명식 쓰기 활동의 수학 수업을 14차시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설명식 쓰기에 대해 개념 및 원리 설명식 쓰기 유형과 문제해결 설명식 쓰기 유형을 적용하였다. 수학적 의사소통 분석을 위해 수학적 의사소통을 수학적 언어의 정확성, 과정과 결과의 논리성, 내용 전개의 구체성, 독자 지향의 전달성의 네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설명식 수업이 진행될수록 네 가지 의사소통 범주 각각에 대해 개념 및 원리 설명식 쓰기 유형에 대한 수학적 의사소통은 크게 향상된 반면에 문제해결 과정 설명식 쓰기에 대한 의사소통의 수준은 중기에 낮아졌다가 후기에 다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수학적 의사소통의 특징으로 수학적 언어를 통한 지식의 견고화, 쓰기에 근거한 논리의 정교화, 결과에 도달하는 사고 과정의 가치화, 자기 자신과 독자에게 전달하는 내용의 명료화를 나타내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는 수학 수업에서 설명식 쓰기 활동이 수학적 의사소통 및 수학적 사고의 과정에 유의미한 지도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손 기능 훈련이 손의 기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and Function Training on Hand Dexterity)

  • 장철;이제영;송민옥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1-21
    • /
    • 201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material about the treatment effect of hand function training and writing training being performed as a part of treatment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non-dominant hand of the patients whose dominant hand is damaged and thus need to improve their non-dominant hand's function. Method : During one month of November, 2013, this study randomly chose five study subjects for hand function training, five for writing training, and ten of control group from 20 normal male and female adults going to K Univ. in Busan. All study subjects fully understood all of the training course, agreed to take the test in this study, and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test. Each training was performed five times for two weeks, 30 minutes each time. For measurement, Purdue pegboard was used to look into the change of hand dexterity. To investigate an improvement in hand function through hand function training and writing training, this study conducted early evaluation before training, interim evaluation, and final evaluation. Result : Firs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dominant hand dexterity by group and by method during a training period, the groups of hand function training and of writing training improved dominant hand dexterit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l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non-dominant hand dexterity by group during a training period, the groups of hand function training and of writing training improved dexterit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non-dominant hand dexterity by method during a training period,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dexterity between the groups of hand function training and of writing training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 group of hand function training showed a further improvement. Thirdl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both-hand dexterity by group and by method during a training period, the groups of hand function training and of writing training improved both-hand dexterit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Fourthl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both-hand handling ability by group and by method during a training period, the groups of hand function training and of writing training improved both-hand handling abilit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Given the study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hand function training and writing training help brain damaged patients improve their hand function for their daily activity. And it will be meaningful to research brain damaged patients' motor skills after their brain damage, and the patients who have low abilities of visual perception and cogni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ecure more study subjects and perform systematic training during a sufficient test period.

대학생 의사소통능력 관련 인식 조사 연구 - A전문대학 공대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 A junior college of engineering students)

  • 손경혜;박영미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2권1호
    • /
    • pp.57-82
    • /
    • 2022
  • 본 연구는 NCS 직업기초능력의 하위능력 중 하나인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한 후에 향후 수업의 방향성을 모색하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 및 필요성, 의사소통능력 수업의 학습자와 교수자,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 의사소통능력과 글쓰기능력,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등 크게 다섯 가지 항목 아래 관련되는 질문 항목을 만들어서 비대면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본 연구자는 전문대학에서 의사소통능력 교과목이 생기기 전부터 시작하여 기초교양으로 전면 실시되는 과정을 겪었고, 지금은 선택교양으로 남겨진 상황에서 1학년을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조사 영역을 몇 개의 항목으로 나누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단체 FGI를 통해 더욱 심층적으로 분석하려고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의사소통능력이 코로나19를 겪으면서 더욱 중요해졌음을 느끼고 있었다. 또 의사소통능력의 하위 5개 능력 중 특히 말하기능력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읽기능력이 가장 덜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자기자신에 대한 의사소통능력 수준이나 소통 유형, 소통 방식에 대해 알고자 하는 희망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능력이 대학 1학년 때 배워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상시 운영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특히 의사소통능력 하위 5가지 영역에서 나머지 능력에 비해 말하기능력에 가장 기대치가 높았고 실제 희망치도 가장 높았고, 교수학습 방법면에서도 이론보다 피드백이나 연습 등을 통해 능력이 향상되기를 원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의사소통능력의 수업 내용이나 방법 등 수업의 운영 방향을 설정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 학업 성취도 수준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Science Process Skills, Logical Think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전성수;박종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47-655
    • /
    • 2014
  •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이 학업성취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64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SCST), 과학 탐구능력 검사(TSPS), 논리적 사고력 검사(GALT)를 실시하였으며, 과학교과지필 평가와 과학교과 서술형 평가, 전체교과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각각의 능력의 하위 요소별로 학업 성취도와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영향을 주고 있는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학업성취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아래세 가지 유형의 성취도평가와의 상관관계를 구조적인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 세 능력은 학습자의 과학교과 지필, 과학교과 서술형, 전체교과 학업 성취도 수준와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하위 요소별로 그 상관정도는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주고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전체 교과에 대한 학업 성취도 수준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

어머니의 문해 신념과 유아-어머니의 상호작용 및 문어의 의미 구성 전략 사용에 관한 질적 연구 (Mother's belief of literacy development, preschooler-mother interaction and strategies during literacy events)

  • 김명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05-325
    • /
    • 199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mothers' beliefs of literacy development and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to explore how the children interacted with their mother during literacy activities and how they used the strategies to develop knowledge of literacy. The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from multiple sources of naturalistic information and analyzed through triangulation of diverse methods including participant observations in the home, parental during literacy events, written logs kept by the mothers, the children's writing products, three emergent assessment forms, and photographs. The three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provided different literacy experiences to support their children's emerging conventional literacy development. Child 1's mother highly valued the rich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the child 1's initiative interactions during literacy events. Child 3's home literacy context was very similar to her Montessori classroom's phonic approach and writing skills. Child 2 was provided with an inappropriate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through direct instruction and an emphasis on correct writing. All of the children were interested and attended to story. Child 1 interacted with her mother in expanded cycles as child's initiation, mother's clarification, and child's evaluation, compared with the child 2's simple cycle and the child 3's classroom-like cycle as mother's initiation, child's response, and mother's evaluation. The children and their mothers employed a number of diverse strategies to understand knowledge of literacy. Importantly parent education need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layful one to one mother-child interaction, a functional holistic literacy environment., and strategies for expanding child's knowledge with parent as mediator.

  • PDF

Story Composition support by IGA and CBR

  • Kuriyama, Ken;Terano, Takao;Numao, Masayuki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1998년도 The Third Asian Fuzzy Systems Symposium
    • /
    • pp.485-488
    • /
    • 1998
  • Elementary school pupils frequently have difficult acquiring creative writing skills, i.e. how to develop the idea to be expressed, how to compose the materials of the outcome or contents.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problems of how to support creative writing work to arrange materials in order to formulate ideas as the stories develop. the stories develop. The basic ideas behind the method are that(1) a basic story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GA-based operations and shown to a user as sequences of pictures, (2) IGA(Interactive Genetic Algorithm) is used to evaluate and select a preferred story, (3) the results are combined with previously stored stories using case-based techniques. Based on these ideas, we have developed a computer supported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and conducted related experiments.

  • PDF

공학 수업 동영상 분석을 통한 교수전략 활용 실태 (An Analysis on Instructional Strategies of Engineering Classes)

  • 신영화;김동익;홍경선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6호
    • /
    • pp.9-18
    • /
    • 2012
  •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analyze the conditions of us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using gender sensi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at engineering classes of K University.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were adapted. To achieve the purposes, 35 hours of engineering classes from 11 professors from 9th to 20th of November 2009 were videotaped and analyzed.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by the checklists for general and gender sensitive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which were recommended for the managing the better classes. Students are influenced by professors not only knowledge and skills but also values and attitudes. Professors who take gender sensi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expected to give good influence the women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