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8.088

Exploratory Study on the Possibilities of Convergence with Music in Writing Classes  

Lee, Ran (케이씨대학교 교양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which examined the possibilities and necessities of multimodal writing curriculum for liber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which utilized the teaching methods associating music and writing, and to fi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inally in terms of writing education, to suggest the possibilities of writing classes' convergent forms with music extracted from the results of the existing studies. Those studies were categorized to four patterns: WAC, effects of therapy, materials for writing, and new literacy. Based on Meyrowitz's perspective, firstly music can be utilized as a circumstance, which means a teacher can indirectly take the emotional, reminding, and healing effects of background musics. Secondly, music can play an important role of materials in thinking and writing, which is the most generally utilized pattern today. The effects are found in all of affective, cognitive, and strategic domains by utilizing music as a sort of reading materials. Thirdly, the convergent writing of music and narrative is suggested. Music is an independent language that can interact with narrative and construct text meanings in this kind of writing classes. These three dimensions of convergence have different perspectives, but sometimes occur at a same time or as a connected pattern. This study proposes that writing teachers need to improve their competence in music as well and to have professional concerns and efforts to develop their convergent writing teaching skills with music for these classes. Finally, this study stresses that team teaching can be an alternative for them.
Keywords
Writing Education; Convergence with Music; Multimodal Writing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란, 현은자, "한국형 미디어교육 모형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pp.462-473, 2017.   DOI
2 서울대학교,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2, 아카넷, 2018.
3 김재욱, 김지형, 김현진, 박동호, 허용, 한국어 교수법, 형설출판사, 2010.
4 D. Buckingham, Media Education, Poity, 2014.
5 윤여탁, "국어교육의 융복합적 특성과 문식성," 국어교육학연구, Vol.53 No.1, pp.37-57, 2018.   DOI
6 강희천, "기독교대학과 교양교육," 신학논단, Vol.29, pp.349-375, 2001.
7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교양교육연구, Vol.9, No.1, pp.181-212, 2015(5).
8 김영도, "사진을 활용한 문학적 글쓰기 연구," 교양교육연구, Vol.9, No.3, pp.473-512, 2015.
9 송선령, "창의적 글쓰기 수업 연구," 이화어문논집, Vol.30, pp.29-54, 2012.
10 이상금, "영화매체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의 학습모형," 독어교육, Vol.43, pp.117-143, 2008.
11 김인경, "영상매체 활용을 통한 설명하는 글쓰기 연구-KBS <다큐 3일>을 중심으로-," 사고와 표현, Vol.7, No.1, pp.189-206, 2014.
12 임지원, "창의적인 글쓰기 전략을 위한 사고 모형으로 서 인지적 의미 분석 모델의 제안-광고매체 메시지를 중심으로," 비평문학, Vol.49, pp.293-331, 2013.
13 임지원, "참여적 글쓰기를 위한 복합양식 리터러시 기반의 매체언어 연구," 사고와 표현, Vol.8, No.2, pp.279-307, 2015.
14 엄현섭, "인문교양과 매체융합의 상관성-디지털 매체의 활용과 <글쓰기>," 대학작문, Vol.13, pp.163-189, 2015.
15 박정희, "대학 글쓰기 교육과 WAC 운영 체계, 사고와 표현," Vol.12, No.1, pp.7-38, 2019.
16 D. Mahala, "Writing utopias: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and the promise of reform," College English, pp.773-789, 1991.
17 원만희, "왜 범교과 글쓰기(WAC)인가?," 철학과 현실, Vol.82, pp.161-175, 2009.
18 안상희, "범교과적 글쓰기를 통한 대학 글쓰기 교육," 작문연구, Vol.24, pp.113-134, 2015.
19 김병길, "교과과정 연계방안으로서 WAC 프로그램도입 사례 연구," 새국어교육, No.80, pp.49-72, 2008,
20 S. McLeod, WAC: An introduction. In S.H. McLeod, & M. Soven (Eds.),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A guide to developing programs, pp.1-8.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92.
21 최원선, "음악분석, 그리고 분석을 위한 글쓰기 - 음악분석을 WAC의 시각에서 바라보기," 음악이론포럼, Vol.25, No.2, pp.105-134, 2018.
22 이지현, 글쓰기를 활용한 음악 수업 지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3 정성미, "한국어교육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글쓰기치료적 접근," 어문논집, No.45, pp.193-212, 2010.
24 정성미, "여성결혼이민자의 치유의 글쓰기-인문치료 사례연구," 다문화콘텐츠연구, Vol.10, pp.75-116, 2011.
25 이정숙, 박진영, "문화예술교육을 접목한 노인 자서전쓰기의 의미,"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6, pp.1-28, 2015.
26 윤영미, 박혜영, "노래자서전 음악활동이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1, pp.27-46, 2018.
27 이숙, "고통 속에서도 행복한 내 삶의 여정: 종말기환자의 음악자서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8, No.2, pp.22-44, 2006.
28 김경희, 노래자서전 활동을 통한 말기 암환자의 죽음 수용에 대한 질적 연구,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2010.
29 이은정, "음악자서전 활동이 척수손상환자들의 자기지각 및 자기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3, No.1, pp.67-84, 2011.
30 C. B. Kenny, The Mythic Artery: The Magic of Music Therapy, Atascadero, CA: Ridgeview Publishing Company, 1982
31 최병철, 음악치료학, 학지사, 2005.
32 정현주, 음악치료학, 학지사, 2005.
33 윤대선, "새로운 융복합시대의 지식문화와 대학의 글쓰기-통섭적 내러티브 글쓰기에 있어 자기표현의 문제," 철학논총, Vol.78, pp.385-408, 2014.
34 김혜진, 황혜영, "꿈이 있는 음악과 인문학 융합 코티칭 수업 사례 연구," 문화와 융합, Vol.40, No.3, pp.553-378, 2018.
35 고선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노래가사 지도방안: 스토리 구성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Vol.54, No.4, pp.561-572, 2015.
36 김혜진, "초등 음악 감상학습 제재곡 주제를 활용한 지도 방안 연구," 음악교육, Vol.8, pp.129-152, 2007.
37 김경애, "대중가요를 활용한 읽기 및 글쓰기 교육 방법 모색," 현대문학이론연구, Vol.51, pp.55-83, 2012.
38 조상우, "대중 문화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싸이월드와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Vol.27, pp.559-587, 2006.
39 임수진, "대중가요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시 쓰기 활동의 교육적 효과," 국어교육연구, Vol.42, pp.133-194, 2018.
40 임수진, "대중음악 텍스트 활용한 패러디 시 창작교육의 가능성 탐색," 교육논총, Vol.18, No.1, pp.309-371, 2000.
41 이란, "미디어교육모형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 교육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pp.282-290, 2018.   DOI
42 신원선, 정종진, "UCC 제작, 발표를 활용한 발표와 토론 교육: 표현의 확장과 퍼블릭 액세스 개념을 중심으로," 사고와 표현학회 8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09.
43 오수진, 극영화에서 음악과 내러티브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44 R. M. Prendergast, Film Music: a neglected art: a critical study of music in films, W.W.Norton, 1992.
45 J. Meyrowitz, "Multiple Media Literacie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8, No.1, pp.96-108, 1998.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