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riting assessment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3초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Writing)

  • 송윤미;양일호;김주연;최현동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88-800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처음 도입된 과학 글쓰기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되어 나온 3-4학년 과학 교과서를 사용하는 교사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과학 글쓰기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과학 글쓰기에 대한 이해, 과학 글쓰기 지도 현황, 과학 글쓰기 지도의 어려운 점을 중심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 가이드를 구성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별로 1회의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 내용을 모두 전사하여 프로토콜을 생성한 후 인터뷰 가이드를 중심으로 교사들의 응답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들은 과학 글쓰기라는 용어를 생소하게 느끼고 있으며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도입된 과학 글쓰기의 목적에 대하여 과학적 사고력 향상, 학습한 과학 내용의 이해, 창의적 사고력의 향상으로 서로 다르게 인식하였다. 또한, 과학 글쓰기의 정의에 대하여 과학 지식을 활용한 글쓰기, 과학적 상상력을 발휘하는 글쓰기, 과학적 사고력을 구체화하는 글쓰기라고 생각하였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이 과학 교육에서 과학 글쓰기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지 않았다. 둘째, 과학 글쓰기 지도 현황에서 교사들이 한 학기 동안 과학 글쓰기를 지도한 횟수는 0회에서 4회까지 교사마다 달랐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사들이 과학 글쓰기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지도 방법 및 자료의 부족 등으로 과학 글쓰기 지도 계획이나 준비를 하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별도의 과학 글쓰기 과정 및 방법에 대한 지도 없이 학생들이 스스로 과학 글쓰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였으며, 한 차시 시간의 1/3을 과학 글쓰기 활동에 할애하고, 학생들이 작성한 글을 평가하지 않거나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았다. 이러한 지도 현황은 앞서 논의한 교사들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이해와 관련이 있다. 교사들이 과학 글쓰기의 의미, 목적, 필요성 등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구체적인 지도 방법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올바른 과학 글쓰기 지도 및 평가를 기대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셋째, 과학 글쓰기 지도 시 어려움에서 10명 중 7명의 교사는 과학 글쓰기에 대한 생소함과 지도 및 평가 방법의 부재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 간의 과학 글쓰기 능력 개인차와 지도 시간의 부족 등으로 지도에 더 많은 어려움을 느꼈다. 연구 결과를 통해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과학 글쓰기가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교수 및 평가 자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현 교육 현장에서는 과학 글쓰기 교육이 수행되지 않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과학 교육에서 과학 글쓰기가 바르게 수행될 수 있도록 과학 글쓰기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교수 능력 향상에 필요한 지도 및 평가 도구의 개발, 교사 연수 등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균형 있는 초등수학과 수행평가 과제 개발에 대한 연구 - 1, 2단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Balanced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for Primary School Mathematics -Focused on 1, 2 Stage in the Primary School-)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3권2호
    • /
    • pp.325-354
    • /
    • 2001
  • The study aims to develop balanced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for primary school mathematics which can be implemented in the primary school easily. In order to these purposes, I suggest the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and the framework of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balanced performance assessment with describing the procedures of developing tasks and rubrics. The types of task are journal writing, problem posing, constructed task, and descriptive task. In the framework of assessment standards, I suggest holistic scoring which are classified as four levels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cellence which students perform totally concerning about the criterion of implication, reasoning, accuracy, and communication. Also I analyse the responses of children to the task “make a beautiful pattern” and suggest its assessment rubric and anchor papers for each level for illustrat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a rubric in holistic scoring. In order to reflect the viewpoints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concerning about the tasks, the responses in self assessment and parent assessment are analysed. Finally, methods of implementing the assessment tasks and considerations are discussed.

  • PDF

Polya의 문제해결 단계에 따른 쓰기 활동이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riting activities Based on Polya's Problem solving Stages on Learning Accomplishment and Attitudes)

  • 이정혜;안병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7-103
    • /
    • 2013
  • 본 연구는 Polya의 문제해결 4단계에 따른 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한 P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실험집단 : 27명, 비교집단 : 27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집단은 Polya의 문제해결 단계에 따른 쓰기 활동을 구안하여 문제해결이나 탐구활동 단계를 선별하여 수업에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은 같은 활동을 전통적인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업성취도 사전검사는 G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에서 개발한 5학년 2학기 서술형 평가에서 영역별로 5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사후검사는 6학년 1학기 내용 중에서 서술형 평가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수학적 태도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모두 동일한 문항을 이용하였다. 학기 초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동일한 검사지를 한 학기간의 실험 처치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업성취도는 t-검정한 결과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수학적 태도는 t-검정한 결과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olya의 문제해결 단계에 따른 쓰기 활동이 학업성취나 수학적 태도의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루브릭(RUBRIC) 쓰기에 나타난 수학적 모델링 연구 (An Analysis of Students'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RUBRIC Writing)

  • 김혜영;김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263-28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Mason 외(2010)가 제시한 루브릭(RUBRIC) 쓰기를 교수-학습에 적용하였을때 학생들의 수학적 모델링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교수-학습 및 평가 방안으로서의 루브릭 쓰기의 가능성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고등학교 1학년 23명의 학생을 루브릭 쓰기를 실시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어 10회에 걸쳐 18문항을 해결하도록 하였고 이 중 수학적 모델링과 관련된 7문항에 대한 학생 답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루브릭 쓰기를 사용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문항의 정답률이 높았을 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보다 더 다양한 표현과 모델을 사용하고 실재와 수학간의 원활한 번역과 해석을 할 수 있는 등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차이를 보였다. 더 나아가 학생들의 문제해결과 수학적 사고의 확장으로도 나타남을 알 수 있어 본 연구 결과는 루브릭 쓰기가 효과적인 교수-학습 및 평가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함수 단원 평가 과제의 실천예시 (Exemplary Mathematics Assessment Tasks in Quadratic Functions)

  • 고상숙;이석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2호
    • /
    • pp.163-175
    • /
    • 2004
  • We believe new assessment strategies and practices need to be developed that will enable teachers and others to assess students' performance in a manner that reflect the 7th Korean curriculum reform vision for school mathematic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assessment tasks based on the current literatures such a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9) and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KICE, 2002, 2003) in quadratic functions of the secondary school and to find the effect of these tasks by classifying students' responses. The research instrument were composed of three criteria, the previous knowledge, the application of quadratic functions, and the general properties in functions.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32 high school students in a suburb of Seoul and sorted by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athematical understanding. Through the research, we could know more than ever before about how the students learned mathematics and about how to improve teachers' mathematical instruction.

  • PDF

대학 수업에서 누적 동료평가 점수를 활용한 성적 산출 방법의 타당성 (The validity of using cumulative peer assessed scores for final grades in college courses)

  • 배수정;박주용
    • 인지과학
    • /
    • 제27권2호
    • /
    • pp.221-245
    • /
    • 2016
  • 동료평가 (peer assessment)란 통상 교수자가 주관하는 평가를 학생들로 하여금 서로에 대해 하도록 하는 활동을 가리킨다. 동료평가는 고등교육에서 글쓰기를 훈련시키기 위한 도구 혹은 배운 지식을 적용하거나 확장하는 학습 활동을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Park(2016)은 최근 동료평가를 예습 활동의 한 부분으로 확장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학생들은 매주의 수업에 앞서 스스로 공부하고,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대답할 수 있는 질문에 대해 한 페이지 글을 쓰고 다른 학생들의 글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스템을 S 대학의 학부수업에 두 학기에 걸쳐 적용한 결과가 분석되었다. 학생들 간의 채점 신뢰도와, 학생들의 채점 결과와 교수자에 의한 최종 보고서 평가 간의 상관이 분석되었다. 매주의 동료평가에서 학생들이 부여한 점수간의 신뢰도는 그리 높지 않았지만, 이들이 누적된 점수와 교수가 평가한 기말 보고서 점수간의 상관은 두 수업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논의에서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 예습을 위한 동료평가의 결과를 성적에 반영하는 방안의 확장 가능성이 다루어졌다.

백색소음의 적용에 따른 지적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Changes of the Writing Ability and Hand Function of the Children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White Noise)

  • 손성민;곽성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5-275
    • /
    • 2019
  •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백색소음을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의 변화를 분석하여 백색소음의 적용에 따른 지적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손 기능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아동 12명이며, 백색소음을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적용 전, 후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을 분석하였다. 백색소음의 제공은 백색소음 발생기를 통해 연속적이며, 균일하게 제공하였다. 쓰기 능력의 분석은 KNISE-BAAT(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s) 도구를 활용하여 표기능력, 어휘구사력, 문장구사력을 평가하였다. 손 기능의 분석은 Manual Function Test(MFT) 도구의 세부항목인 Pegboard 항목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쓰기 능력 분석결과 대상자들의 표기능력과 어휘구사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문장구사력에서는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손 기능 분석결과 양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장애 아동들의 저하된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상적 접근방법으로 백색소음의 적용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지적장애 아동들의 수행수준과 학습수준,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생활공간 및 학습공간에서 백색소음의 제공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예비 영어교사 주도에 의한 영미시 평가표 제작 및 평가 수행에 관한 연구 (Engagi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the rubric development and the evaluation of a creative English poetry)

  • 이호;전소연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339-356
    • /
    • 2011
  • This study explored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of a rubric and examined evaluation of their own English poetry. The current study would investigate: 1)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erception as a rubric developer and self-evaluator, 2) the number of analytic area that the participants included in their rubrics and the scoring scheme that they designed in their rubrics, and 3) the inter-rater differences between self-assessemnt and expert-assessment across analytic areas. Twenty-four EFL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learners' own English poetry, their field notes which contained the process of their writing, their rubrics, scores of self-assessment, and expert raters' sco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learners showed positive responses on learner-directed assessment, that 'content' is the most important area, and that inter-rater difference is small across all analytic areas.

  • PDF

기술제안서의 개발조직 부문에 관한 정량적 평가 (A Quantitative Evaluation on Developmental Organization of Technical Proposals)

  • 추경균;권영갑;류성열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1-41
    • /
    • 2004
  • The technical proposal suggested and published by MIC(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enceforth MIC) contains too general assessment elements, which causes qualitative and subjective assessment of technical proposals. Thus, in terms of the technical proposal assessment. It lacks In fairness, validity and accuracy. Furthermore, it has a great deal of difficulty in assessment caused by the inconsistency between proposal planning and assessment methods. Also, each company has different writing format, so it is impossible to make use of its maneuvering data for the assessment. To overcome these weaknesses, our research focused on a quantitative evaluation on development organization, which is a part of organizational and administrative part of the technical proposal suggested and published by MIC. In this research, we divided development organization for the technical proposal into organization, teams, and team members, and then studied addition, deletion and merging for the assessment criteria. For the related study, we chose especially CMM(Capability Maturity Model) from a lot of international and national references, which is a model measuring the maturity of organization, and then we focused on Small-CMM which is available in the small-sized organization. We also suggested input form, description method, assessment elements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in the chosen developmental organization, and finally we proposed standard referencing criteria for the assessment. Our study concludes that our assessment method are valid and available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Delphi method through a validity evaluation test.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및 협의절차 개선방안 (Improvement of EIS Documentation and Consultation Process through Expert Survey Method)

  • 반영운;주경선;정헌근;황규환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2호
    • /
    • pp.141-151
    • /
    • 2010
  •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Korea has been less of equity and balance between stakeholders, and less of objective validity in writing impact statement and in holding consultations. Thus this study has intended to find improvement measures regarding the processes of EIS documentation and holding consultations between stakeholders dur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ces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carried out expert survey method to analyze validity and suitability of suggested measures in accordance with the problems found through reviewing related literatures. This study has found major improvement measures including transferring the responsibility to write impact statement and to hold consultations from project promoters to the third party (impact assessment committee) composed of related stakeholders without project promoters. The developers need to pay for all expenses to proceed impact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