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life balance policy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9초

유연근무가 조직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 (M사 시차출퇴근 제도 도입 사례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positive impact of flexible work on organization and job performance (The case of introduction of M company time difference commuting system))

  • 이희;이만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53-260
    • /
    • 2017
  • Due to dramatic changes in the trend of corporate management in economics, labor and government, companies are being asked to adapt creative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in order to keep sustainability. Under the circumstances, flexible working hour becomes one of very effective method for organization culture improvement. Recently, M company has introduced the new policy of working hours that employees can choose a couple of different time options depending on their personal situations. And it turns out to be very effective to work & life balance, increasing organizational vitality, improving efficiency of business and productivity, recruitment of core human resources, and prevention of deviation; both team and personal performance levels has significantly improved. Therefore, it is highly recommended to adapt flexible working policies for companies seeking for a long term, sustainable corporate vision.

Data resource profile: the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 Yoonho Cho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
    • 제35권
    • /
    • pp.49.1-49.7
    • /
    • 2023
  • The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is a state-approved statistical survey that has been conducted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OSHRI) every 3 years since 2006 to monitor changes in the working conditions of Koreans. This cross-sectional national survey involves a sample of 50,000 employed people aged 15 or older. KWCS measures various working conditions through > 130 survey questions, including questions regarding working hours, labor intensity, work-life balance, degree of exposure to risk factor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Professional survey interviewers visit households and conduct face to face interviews. KWCS provides data and statistics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olices and research in Korea. Furthermore, OSHRI holds academic conferences every year, awards high-quality academic papers, and supports researchers using data. Microdata is publicly available through the OSHRI website (https://oshri.kosha.or.kr).

전일제 임금근로자의 퇴근시간과 일과 후 생활시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Quitting Time and Subsequent Time Allocation of Full-time Workers in Korea)

  • 이승호;박미진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1호
    • /
    • pp.117-151
    • /
    • 2017
  • 일-생활 균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른바 '저녁이 있는 삶'을 위해 근로시간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장시간 근로가 생활만족도를 낮추고 특정 범주의 생활시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지만, 퇴근시간이 가지는 특정 시점으로서의 의미에는 주목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자료를 이용하여, 어린 자녀를 둔 전일제 임금근로자 집단을 대상으로, 근로자의 퇴근시간과 일과 후의 범주별 생활시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퇴근시간 집단별 생활시간 구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이른 시간에 퇴근한 집단은 추가로 확보한 생활시간의 대부분을 가사와 돌봄에 사용하였고, 퇴근이 늦어진 근로자 집단에서는 일차적으로 가사와 적극적 여가시간을 줄이고, 퇴근이 더 늦어지면 추가로 돌봄과 소극적 여가 관련 시간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퇴근이 빠를수록 일과 후 생활에서 가사와 돌봄, 적극적 여가의 비중이 증가하였지만, 시간대에 따라서 야근 후 퇴근하는 집단에서는 소극적 여가가, 정시에 퇴근하는 집단에서는 돌봄이, 이른 시간에 퇴근하는 집단에서는 가사와 적극적 여가가 근로자의 퇴근시간과 더 분명한 부적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근시간을 앞당기는 조치는 가사와 돌봄에서의 젠더 격차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퇴근시간의 조정은 일-생활 균형의 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젠더 격차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제약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일-삶 균형(WLB)이 조직몰입, 주관적 경력성공,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he Work-Life Balance (WLB) of Flight Attendan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urnover Intention)

  • 박혜영;김효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211-21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형항공사에 근무하고 있는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일-삶 균형(WLB)이 조직몰입, 주관적 경력성공,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유효표본 199명을 대상으로 SPSS 20.0과 AMOS 20.0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타당성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제시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WLB가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고, 둘째, WLB가 객실승무원들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도 채택되었다. 셋째, 승무원들의 조직몰입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도 채택되었으며, 넷째,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도 채택되었다. 하지만, 다섯째, 주관적 경력성공이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마지막으로 WLB가 이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 관계 : 워라벨(일과 삶의 균형)의 매개효과 (Relationships among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Work-Life Balance)

  • 곽윤복;김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263-272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워라벨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일과 삶의 균형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20년 10월 5일부터 10월 30일까지 편의추출하였고, 3개의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방법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워라벨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Z=-3.55, p<.001). 따라서 간호사의 이직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개선하고 워라벨을 증진하기 위한 조직 차원의 인적자원관리 전략과 더불어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워라벨을 향상시켜 간호사의 이직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경상남도 간호사의 직장선택, 직무수행의 어려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Workplace Selection, Job Performance Difficulties,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Gyeongsangnam-do)

  • 홍현미;김혜원;이승근;김민주;김영수;정백근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7-71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imary data for policy alternatives by identifying the problem of the nursing workforce shortage. Methods: For quantitative data, 446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for content description. ANOVA analysis and Scheffe? test were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hospital level. For qualitative data, 1:1 in-depth and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ix participants. Results: The factors nurses prioritized when choosing a workplace were salary, commuting distance, and work-life balance. Clinical nurses cited low wages, heavy workloads, and burnout as the most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ir duties. Factors influencing nurse's turnover intention were low wages, unmanageable workload, and rotation to unwanted departments in that order. New nurses tend not to apply to small-medium-sized hospitals, experienced nurses in their 30s-40s leave hospitals due to childcare and shift work difficulties, and nurses in their 50s and older tend to move to nursing homes rather than acute hospital settings. Conclusion: In this study, wage and workload were mention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s in nurses' workplace selection, job performance difficulties, and turnover intention, so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is aspect when improving treatment for nurses.

조직지원인식이 내재적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 갈등 및 일-가정 균형의 인과관계 효과 검증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on Intrinsic Job Motivation : Verification of the Causal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Balance)

  • 유준수;강창완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1호
    • /
    • pp.181-198
    • /
    • 2023
  •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조직지원인식이 내재적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일-가정 갈등 및 일-가정 균형요인의 인과관계에 대한 유의성 여부도 확인해보고자 한다. 설문지를 통한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지원인식은 내재적 직무동기 뿐만 아니라 일-가정 균형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일-가정 균형은 내재적 직무동기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일-가정 갈등에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일-가정 갈등은 내재적 직무동기에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직무강도를 줄이고 능력에 적합한 업무량을 부여하며, 인력운영 및 업무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직무교육과 적재적소의 인력배치가 필요하다. 넷째, 긍정적인 조직지원인식과 내재적 직무동기 향상을 위해서는 현 직장에 대한 애착심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 유인체계로 조직의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 및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장기근속을 유도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의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지역별, 성별, 의료기관별, 학업별, 소득별 등으로 분류하여 확장된 분석을 실시하면 더 가치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가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의료기관 종사자들이 속한 병원의 환경 불확실성이나 경쟁 정도에 따라 직장에서의 일과 개인적인 삶의 균형 지원제도에 대한 영향력이 종업원마다 미치는 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조직지원인식은 조직문화와 조직형태 그리고 조직규모 및 업무특성, 근무연수, 근무유형 등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것이므로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최근 정부의 의료기관 정책에 대한 변화와 글로벌 경영환경에 발맞추어 병원들의 조직구조, 직무설계, 조직지원 방식, 동기부여 접근방식, 인사고과의 평가 방법 등 다양한 신 인사관리 기법들을 설문지에 추가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및 가까운 미래의 의료 트렌드를 반영해서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ICT와 경영을 융복합적으로 활용한 스마트워크 도입 기업의 시·공간 제약 극복과 조직 성과 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s Adopting Convergence-based Smart Work for Overcoming Constraints and Achieving Performance)

  • 오상조;김용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113-124
    • /
    • 2015
  • 정보통신기술(ICT)과 경영을 융복합적으로 활용한 스마트워크는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통한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할 목적으로 2010년 시작되었다. 5년여가 경과한 현재까지 대부분의 스마트워크 관련 연구는 조직에서 스마트워크를 수용하기 전이나 초기 수용 단계에서 진행되었다. 이 때문에 수용 기업에서 스마트워크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관리의 노력, 추진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 활용하면서 얻는 성과 등을 제시하는 데 한계가 있다. 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실질적인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입 자체보다는 지속적 사용이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사용 빈도가 낮고, 사용 방법이 적절하지 못하고, 사용의 효과가 없을 경우, 해당 정보시스템의 도입은 실패로 규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크를 성공적으로 도입하여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에서 시 공간 제약을 극복해 가는 과정과 이를 통해 조직적 성과를 달성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간지리학과 수용 모델에 기반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도입 기업의 시 공간 제약 극복 과정과 조직 성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일-가족 조화를 위한 가족친화적 기업정책의 발달단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ges of Development of Corporate Family-Friendly Policies and Programs)

  • 최성일;유계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4호
    • /
    • pp.51-7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evolution of corporate family-friendly policies and programs, a recent business issue throughout the worl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a corporate reference guide to work-family policies and programs by provid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ypical stages of development of U.S. corporate family-friendly policies and programs, and by presenting model initiatives of Korean and American family-friendly companies. Just as technological changes at the tim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lt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and their work, more recent technological advances have again transformed this relationship, offering the promise of a society in which work demands a smaller portion of the worker's time and permitting the worker more freedom and control over work conditions. These new work arrangements have the promise of producing a new paradigm for work and family, based on which many industrialized nations have developed family-friendly policies already. Family-friendly policies and programs can be grouped into four discernable stages in the evolution of a corporate work-family agenda. According to these stages, most companies in Korea are in the predevelopment stage or stage 1. Development of scales to assess company family-friendliness is needed to create a family-friendly workplace environment, policies, and programs. It is critical that companies have champions who have the vision to step out in kent, and the determination to ensure that the family-friendly programs are solidly grounded. Companies should develop their work-family initiatives as an integral part of a program for managing diversity focusing on needs of women and minority employees.

비대면 근무에 대한 근로자와 관리자의 인식에 관한 상호지향성 분석 (Co-orientation Analysis of Workers' and Managers' Perceptions on Untact Work)

  • 권호중;민대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83-92
    • /
    • 2021
  •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확산에 따라 비대면 근무가 불가피하게 시행되고 있는데,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있어 구성원의 인식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근무에 관한 기존 문헌 검토 후 쟁점들을 도출하고, 비대면 근무를 경험한 근로자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정성적으로 내용을 분석하고,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두 집단 공통으로 '소통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고, 직무만족, 소속감, 일과 삶의 균형 등에 대한 근로자와 관리자의 인식 차이는 발견하지 못했으나, 인사고과 시 불이익에 대해 인식(객관적 일치도, 근로자의 정확도)의 차이를 보였고, 업무 생산성에 대한 인식(근로자의 주관적 일치도)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기존 연구는 비대면 근무의 일반적인 쟁점들을 논의하였지만, 본 연구는 근로자와 관리자의 인식 차이에 초점을 맞추어 조사하고 인식 차이를 완화시킬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한 점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더 많은 근로자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량적 연구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