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on Intrinsic Job Motivation : Verification of the Causal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Balance

조직지원인식이 내재적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 갈등 및 일-가정 균형의 인과관계 효과 검증

  • Received : 2023.02.25
  • Accepted : 2023.03.28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of workers in medical institutions on intrinsic job motivation, and to check whether there is significance in th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balance factors in this proces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e questionnaire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ork-family balance as well as intrinsic job motivation, and work-family bala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job motiv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work-family conflict, but work-family conflic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intrinsic job motivation. Third, in order to reduce job stress for medical institution workers, it is necessary to reduce job intensity, assign appropriate workload for ability. And in order to improve manpower operation and job efficiency, Job training and staffing in the right place are needed. Fourth, in order to improve positive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and intrinsic job motivation, It is necessary to induce long-term service by providing support and institutional devices to increase attachment to the current job and recognize organizational problems as their own problems with various incentive system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believed that an expanded analysis of medical institution workers nationwide by region, gender, medical institution, academic, and income will not only provide more valuable results, but also evaluat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impact of the work-life balance support system on each employee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uncertainty or degree of competition in the hospital to which medical institution workers belong. Thir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will be recogn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type, and organizational size and work characteristics, working years, and work types, so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is. Fourth, it is necessary to analyze various new personnel management techniques such as hospital's organizational structure, job design, organizational support method, motivational approach, and personnel evaluation method in line with the recent change in the government's medical institution policy and the global business environment. It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to analyze by reflecting recent and near future medical trends.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조직지원인식이 내재적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일-가정 갈등 및 일-가정 균형요인의 인과관계에 대한 유의성 여부도 확인해보고자 한다. 설문지를 통한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지원인식은 내재적 직무동기 뿐만 아니라 일-가정 균형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일-가정 균형은 내재적 직무동기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일-가정 갈등에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일-가정 갈등은 내재적 직무동기에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직무강도를 줄이고 능력에 적합한 업무량을 부여하며, 인력운영 및 업무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직무교육과 적재적소의 인력배치가 필요하다. 넷째, 긍정적인 조직지원인식과 내재적 직무동기 향상을 위해서는 현 직장에 대한 애착심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 유인체계로 조직의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 및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장기근속을 유도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의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지역별, 성별, 의료기관별, 학업별, 소득별 등으로 분류하여 확장된 분석을 실시하면 더 가치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가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의료기관 종사자들이 속한 병원의 환경 불확실성이나 경쟁 정도에 따라 직장에서의 일과 개인적인 삶의 균형 지원제도에 대한 영향력이 종업원마다 미치는 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조직지원인식은 조직문화와 조직형태 그리고 조직규모 및 업무특성, 근무연수, 근무유형 등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것이므로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최근 정부의 의료기관 정책에 대한 변화와 글로벌 경영환경에 발맞추어 병원들의 조직구조, 직무설계, 조직지원 방식, 동기부여 접근방식, 인사고과의 평가 방법 등 다양한 신 인사관리 기법들을 설문지에 추가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및 가까운 미래의 의료 트렌드를 반영해서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천국(2018). 병원 내부조직문화속성이 직무수행능력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6), 484-492. https://doi.org/10.5762/KAIS.2018.19.6.484
  2. 강희순,이은숙(2017).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장가정 갈등,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경로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2), 206-2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2.206
  3. 김경희(2017).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15(7), 425-434.
  4. 김라윤(2018). 외식기업 종사원의 일-가정 갈등, 가정-일 갈등, 일-가정 균형요인이 내재적 직무동기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항관계 분석 - 내재적 직무동기의 매개효과, 관광연구저널, 제32(3), 241-256.
  5. 김승희,배상윤(2017). 병원행정직의 직무만족도와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5(4), 365-375. https://doi.org/10.14400/JDC.2017.15.4.365
  6. 김진숙,윤재한,주윤황(2019). 워라벨(Work - Life Balance)이 동기, 직무만족,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창조와 혁신, 12(2), 29-58.
  7. 김현근,안성익,이종완(2018). 역할과부하와 일-가정균형만족의 관계에서 가정 친화적 조직지원인식과 가정 친화적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5(4), 19-40.
  8. 배상윤,김승희(2017). 병원행정직의 자기효능감, 직무특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5(7), 239-246. https://doi.org/10.14400/JDC.2017.15.7.239
  9. 신재열,박기찬(2018). 일-생활의 균형(WLB)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창조와 혁신, 11(3), 51-85. https://doi.org/10.22834/PDS.2018.11.3.51
  10. 전보람,노윤구(2018). 기혼 여성간호사의 직장-가정 갈등과 사회적 지지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10), 261-270. https://doi.org/10.14400/JDC.2018.16.10.261
  11. Frone, M. R. (2003). Work-family balance. In J. C. Quick & L. E. Tetrick(Eds),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43-162.
  12. Glass, J. L., & Finley, A. (2002). Coverage and effectiveness of family responsive workplace polices. Human Resources Management Review, 12(3), 313-337. https://doi.org/10.1016/S1053-4822(02)00063-3
  13. Hutchison, S., & Garstka, M. L. (1996). Source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Goal setting and feedback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6(15), 1351-1366. https://doi.org/10.1111/j.1559-1816.1996.tb00075.x
  14. Liden, R. C., Sparrowe, R. T., & Wayne, S. J. (1997). Leader-member exchange theory : The past and potential for the future.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15, 47-120.
  15. Rousseau, D. M., Sitkin, S. B., Burt, R. S., & Camerer, C. (1998). Not so different after all :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393-404. https://doi.org/10.5465/amr.1998.926617
  16. Ryan, R. M., & Deci, E. L. (2000).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1), 54-67. https://doi.org/10.1006/ceps.1999.1020
  17. Wong, S., Siu, V., & Tsang, N. (1999). The impact of demographic factors on hong kong hotel employees' choice of job-related motiva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11(5), 230-241. https://doi.org/10.1108/09596119910272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