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d symbol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19초

인공지능 기반 플랜트 도면 내 심볼 객체 자동화 검출 (Automatic Recognition of Symbol Objects in P&ID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신호진;전은미;권도경;권준석;이철진
    • 플랜트 저널
    • /
    • 제17권3호
    • /
    • pp.37-41
    • /
    • 2021
  •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는 플랜트의 장치 및 계장 정보를 집약적으로 담고 있는, 엔지니어링 핵심도면이다. 한 장의 P&ID에는 심볼로 표현된 수백 여개의 정보들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디지털 전산화 작업이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기존 연구들은 CNN 모델을 이용하여 도면 객체 검출에 성공하였으나, 도면 한 장당 약 30분, 인식률은 90% 정도로 현장에서 구현하기에는 부족한 성능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역 검출과 객체 인식을 동시에 처리하는 1-stage 객체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미지 레이블링 오픈소스 툴을 이용하여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고 딥러닝 모델 학습을 통해 도면 내 심볼 이미지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언어성에서 본 포스트모더니즘 실내디자인의 특성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Post-Modernism Interior Design inAttri Language bute)

  • 이춘섭
    • 디자인학연구
    • /
    • 18호
    • /
    • pp.15-23
    • /
    • 1996
  • 실내 공간은 공간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질료로서 결정되는 허공간으로 이 공간이 쓰임새가 가치를 결정한다. 따라서 실내가 형성하는 공간의 추상성과 각 요소들이 연합하여 하나의 공간을 이루는 특이성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표현되는 어휘와 상징체계는 다분히 전체성의 특징을 갖는다.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의 실내를 언어의 과학성을 기초로 하여 상징체계를 전체성으로 분석함에 있다. 내용은 크게 3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제 1장에서는 서론 부분, 제 2장에서는 실내디자인의 특징, 제 3에서는 어휘와 코드의 정의, 어휘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과 포스트모더니즘 실내를 성격 짓는 언어학적 은유의 내용을 고찰하였으며, 제 4장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 실내디자인의 일반적인 특성과 이 특징을 이루고 있는 실내요소들 중에 근간을 이루는 전통성과 장식성 대중성을 이루는 데 필요한 실내 어휘들의 언어 성을 어휘, 코드, 은유를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끝으로 제 5장에서는 찰스 젱크스(Charles Jencks)의 시 메틱 하우스(Thematic House)서재 실내 공간을 하나의 모델로 선정하여 언어학적 분석하였다.

  • PDF

메시지 표현방법으로서의 기호-광고 디자인을 중심으로- (Semiology as a Way of Expression for Message-focused on the advertising design-)

  • 박영희
    • 디자인학연구
    • /
    • 18호
    • /
    • pp.113-121
    • /
    • 1996
  • 현대의 소비자들은 어떤 상품을 구매할 때 상품의 효융성을 기초로한 사용가치보다 상징적, 혹은 기호적 가치에 더 열중한다. 그런 경향은 단지 상품만이 아니고 사라으 이별 등 추상적 심리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 상품을 만드는 생산자나 상품을 팔기 위해 광고를 집행하는 송신자에게 많은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그간의 소비자는 상품의 기능, 효율성, 가격을 요리조리 견주고 따져서 구매를 하였다. 그래서 생산자는 상품의 기능및 효능에 대하여 많은 비중을 두고 철저히 연구를 하였으며 상품의 부가가치를 올리는 디자인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두었었다. 그러나'90년대 이후의 소비자는 기능, 효율성은 물론이고 그 상품과 자신과의 새로운 장면을 만들어낼 기능이외의 부가가치에 관심을 표출하기 시작했다. 그 장면 속에서 자신과 제품과 의 관계를 연출해 본 후 제품의 의미를 구매하는 것이다. 이는 상품의 부가가치 즉 외관디자인, 분위기에 많은 치중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송신자는 소비자의 마음을 읽는 감성 마케팅 또는 감성 디자인을 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시각디자인의 표현방법에 있어서 디자인 요소 즉 Typo Geaphy,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다이아그램 등과 같은 시각적인 표현만이 아닌 소비자들의 감성기호 즉 기쁨, 즐거움, 화려함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고 느끼게 할 수 있는 의미론적인 방법에 대해 서술하고 또 그방법들은 어떤 효과를 가져 오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영화 <클레오파트라> 이미지의 패션디자인 연구 (A Study on Fashion Design and Image of the Movie )

  • 윤덕훈;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1호
    • /
    • pp.51-6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shion-design the image of Cleopatra on the basis of Cleopatra's characteristic, clothing and its symbolic meaning shown in movie . In movie , Cleopatra(69B.C-30B.C) is described as passionate, intelligent, dignified person and even as enchantress. Costume that Cleopatra wears compound the type of ancient Egyptian costume in New Kingdom, the change of it, and the trend in the 1960's. Their color and pattern also symbolizes religion by adding ancient Egyptian myths to show the absolute royal authority. Therefore, design concepts, determined on the base of Cleopatra's characteristic and symbol meaning, are applied to make creative costume with Cleopatra's image of God Isis. In order to show Cleopatra's dignity, confidence, territorial ambition, black is used as a general base color. To represend Cleopatra's passion and the image of Isis, red is used. And the word 'Kemeto' represents all these symbols. As a whole, dress named 'Kemeto of Cleopatra' is designed and created.

갈로이스 부분장 변환을 이용한 새로운 고속의 경제적 치엔탐색기의 설계법에 대하여 (New Fast and Cost effective Chien Search Machine Design Using Galois Subfield Transformation)

  • 안형근;홍영진;김진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3호
    • /
    • pp.61-67
    • /
    • 2007
  • 리드솔로몬 복호기에서 4중 오류 이상의 오류치와 위치를 발견해 정정시는 보통 치엔탐색기를 사용한다. 이때 기존의 방법은 회로량이 많고 지연시간이 길어 비효율적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갈로이스 부분장을 이용 이 탐색기를 속도도 빠르고 회로량도 대폭 줄인 새로운 효율적 탐색기회로 설계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4중 오류위치를 정확히 추출함을 보였으나, 이새 설계된 탐색기회로는 5중이상의 오류위치도 정확히 찾을 수 있는 설계이다. 새로운 회로는 정확히 오류위치를 발견할 수 있음이 예를 통해 검증되었다.

Performance Analysis of Space-Time Codes in Realistic Propagation Environments: A Moment Generating Function-Based Approach

  • Lamahewa Tharaka A.;Simon Marvin K.;Kennedy Rodney A.;Abhayapala Thushara D.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7권4호
    • /
    • pp.450-461
    • /
    • 2005
  • In this paper, we derive analytical expressions for the exact pairwise error probability (PEP) of a space-time coded system operating over spatially correlated fast (constant over the duration of a symbol) and slow (constant over the length of a code word) fad­ing channels using a moment-generating function-based approach. We discuss two analytical techniques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exact-PEPs (and therefore, approximate the average bit error probability (BEP)) in closed form. These analytical expressions are more realistic than previously published PEP expressions as they fully account for antenna spacing, antenna geometries (uniform linear array, uniform grid array, uniform circular array, etc.) and scattering models (uniform, Gaussian, Laplacian, Von-mises, etc.). Inclusion of spatial information in these expressions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physical factors determining the performance of a space-time code. Using these new PEP expressions,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enna spacing, antenna geometries and azimuth power distribution parameters (angle of arrival/departure and angular spread) on the performance of a four-state QPSK space-time trellis code proposed by Tarokh et al. for two transmit antennas.

온라인 게시글의 콘텐츠 특성과 조회 수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s Characteristics of On-line Review and Reference Rate)

  • 이원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41-249
    • /
    • 2010
  • 온라인을 중심으로 마케팅 패러다임이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기업과 소비자들의 온라인 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 분석법(contents analysis)을 통하여 게시 글의 주요한 특성인 총 13개의 변수들을 도출하고, 이들 변수에 따른 조회 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차이 분석 결과, '브랜드 언급', '말머리 기호', '긍정성', '정보 제공' 등 총 4개의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점을 보였다. 유의한 변수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 나무 분석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한 결과, 그중에서도 '정보 제공'과 '브랜드 언급'이 조회 수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기업이 소비자의 온라인 구전 활동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더불어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홀로그래픽 저장장치에 대한 GS 인코딩의 정수계획법 모형 및 휴리스틱 (Integer Programming Model and Heuristic on the Guided Scrambling Encoding for Holographic Data Storage)

  • 박태형;이재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8호
    • /
    • pp.656-661
    • /
    • 2013
  • 홀로그래픽 저장장치의 Guided Scrambling (GS) 인코딩에서는 소스비트에 제어비트를 추가하여 스크램블링된 코드워드에서 변조 제약식을 만족하는 최적의 코드를 선택한다. 본 연구에서는 GS 인코딩 과정을 선형식으로 수식화하여, 제어비트를 직접 계산하는 0-1 정수계획법 모형을 소개한다. 또한 정수계획법의 계산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제어비트를 결정하는 이웃탐색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개발된 모형은 다양한 코드 행렬 및 제어비트를 갖는 문제들에 적용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코드 레이트가 높은 시스템에 있어서의 비이진코드의 디코더 설계 (Decoder Design of a Nonbinary Code in the System with a High Code Rate)

  • 정일석;강창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53-63
    • /
    • 1986
  • 본 논문은 코드레이트가 R, 에러 정정 능력이 t일때, R>1/t를 만족하는 비이진 코드의 디코더 설계에 관한 연구이다. 에러 트래핑 디코딩 방식으로 설계하기 위해 카버링 단항식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실제 이를 이용하여 (15, 11) Reed-Solomon코드의 디코더를 구현하였다. 이 디코더 시스템은 Galois Field 곱셈 및 나눗셈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간단히 구성할 수 있었으며,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이 디코더는 하나의 코드 위드를 디코딩하는데 60클럭이 소요되었으며 2개의 심볼 에러와 8개의 이진 버스트 에러를 정정할 수 있으며, 성능을 채널 에러 확률이 $5{\times}10^-4$~$5{\times}10^-5$정도일 때 가장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주택 가사작업공간의 관련용어변화와 그의미에 관한연구 - 부엌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sition of Terminology and its Meaning of Support Spaces Foucused on the Kitchens in Korean Houses)

  • 서귀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7권3호
    • /
    • pp.117-13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ransition of meaning and terminology of support spaces in Korean houses based on preliminary studies and analysis of Korean novel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lanning and location of the kitchen and its support spaces developed slowly until the 1970s. Buok has been the terminology of support spaces that appeared often and continuously in novels. The word Bongdang was mentioned only before the 1900s. The new words such as Sikdang. Buokaband appeared after the 1960s,. Jubang appeared after the 1980s. The meaning of kitchen space described in novels were various. Thpically the kitchen was used for cooking washing dishes keeping kitchen utensils foods and miscellaneous goods. Exveptionally the kitchen was the place for quarreling with others weeping secretly hiding washing clothes etc. The kitchen was also a symbol of the wealth of the family but many kitchens were usually described in novels as the unpleasant places. Even though most users of the kitchen in novels were women men also used the kitchen in novels were women men also used the kitchen without any restrictions. however the activities of men and women of the upper class in the kitchen were never described in any nove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