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ology as a Way of Expression for Message-focused on the advertising design-

메시지 표현방법으로서의 기호-광고 디자인을 중심으로-

  • 박영희 (서울산업대. 호서대학교 시각디자인 학과)
  • Published : 1996.12.01

Abstract

Persuasion is one of the attractive channels to enhance the relation between markerters and consumers and deliver the true communication on products to the consumers. This arctic tried to examine the symbolic meaning system as a way of maximizing the visual communicational effect of persuasion, the efforts of marketers who are trying to utilize the psychology of the mass that consume the symbol rather than products and the symbol system as a mean of propaganda were analyzed as well. People in modern age, in general, place more value on the emotional assoessibility than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 As a result, the ways of expression of propaganda approaching the mass are in the process of gradual change, which was another theme this article tried to explore. Ames sied that the human preoeption has a tendency to perceive things in some organized pattern, which can be applied to even untransparable and meaningless image. Human beings don't perceive what there is but what, thery believe there to be, and his peroeption are channelized by the opportunity of the past, his peroeption are channelized by the opportunity of the past, his experience of the environment, and the history of learning. To say another word, people not only recognize the objective form but also accept the inside meaning of the visual object. Their reponse to the visual object, therefore, include personal cognition, judgment, and attitued. The communication in visual design reveals the culture, society, and art in a complex symbol, and make synthetic cultural interpretation possible. It's pretty attractive, effective, and reasonable method to use symbolic meaning system as a way of persuasion. It is because communication means whole process from receiving and delivering the information and message to making common meaning system, to measuring the effect of the behavior change.

현대의 소비자들은 어떤 상품을 구매할 때 상품의 효융성을 기초로한 사용가치보다 상징적, 혹은 기호적 가치에 더 열중한다. 그런 경향은 단지 상품만이 아니고 사라으 이별 등 추상적 심리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 상품을 만드는 생산자나 상품을 팔기 위해 광고를 집행하는 송신자에게 많은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그간의 소비자는 상품의 기능, 효율성, 가격을 요리조리 견주고 따져서 구매를 하였다. 그래서 생산자는 상품의 기능및 효능에 대하여 많은 비중을 두고 철저히 연구를 하였으며 상품의 부가가치를 올리는 디자인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두었었다. 그러나'90년대 이후의 소비자는 기능, 효율성은 물론이고 그 상품과 자신과의 새로운 장면을 만들어낼 기능이외의 부가가치에 관심을 표출하기 시작했다. 그 장면 속에서 자신과 제품과 의 관계를 연출해 본 후 제품의 의미를 구매하는 것이다. 이는 상품의 부가가치 즉 외관디자인, 분위기에 많은 치중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송신자는 소비자의 마음을 읽는 감성 마케팅 또는 감성 디자인을 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시각디자인의 표현방법에 있어서 디자인 요소 즉 Typo Geaphy,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다이아그램 등과 같은 시각적인 표현만이 아닌 소비자들의 감성기호 즉 기쁨, 즐거움, 화려함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고 느끼게 할 수 있는 의미론적인 방법에 대해 서술하고 또 그방법들은 어떤 효과를 가져 오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