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d-vehicle-bridge system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7초

DGPS 기법을 이용한 자정식 현수교의 정동적 변위응답 측정 및 분석 (Application of Differential GPS for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of Self-anchored Suspension Bridge under the Static and Dynamic Loading Cases)

  • 김형태;서주원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11호
    • /
    • pp.1126-1132
    • /
    • 2009
  • Bridge structures are designed to support ordinary loadings such as vehicles, wind, temperature and current as well as unexpected loadings like earthquakes and storm. Especially, the displacement of Flexible bridges like an suspension bridge under ordinary loading conditions is necessary to be monitored. In case of long span bridges,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monitoring the displacement of center of the main span using traditional laser displacement sensors. In this study, the static and dynamic displacement responses due to vehicle loadings were measured by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technique. The displacement response data were compared with data obtained from traditional laser displacement sensors so that the static and dynamic behavior of the bridge under vehicle loadings was examined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displacement response measurement using DGPS technique was verified. The static and dynamic loading test for an self-anchored suspension bridge, So-rok Bridge, was performed using vehicles. The displacement response from DGPS technique and that from laser displacement sensors of the bridge monitoring system were compared. The amplitude of white noise from DGPS based measurement was about 7 mm and that of laser displacement sensor based measurement was about 3 mm. On the other hand, dynamic behavior of the center of main span from DGPS based measurement showed better agreement with influence line of the bridge than that from laser displacement sensors. In addition, there were some irregular and discontinuous variation of data due to the instability of GPS receivers or frequent appearance of GPS satellites. Post-processing via the reference station close to an observation post provided by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will be a counter-plan for these defects.

강풍시 도로의 주행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종합적인 방풍대책 (An overall wind shielding program for enhancing driving stability)

  • 권순덕;정운용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통권76호
    • /
    • pp.263-27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강풍을 받는 차량의 주행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일련의 종합적인 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세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로 차종별 속도제한 및 통행제한 기준을 마련하였다. 두 번째는 방풍대책의 필요여부를 판단할 설치 기준을 작성하는 것으로, 국부적인 지형의 보정을 통한 기상자료의 확률적인 모델을 이용하여 위험도를 판단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는 풍속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풍벽을 제안하는 것으로 전산유체해석과 풍동실험을 통하여 풍속감소 효과, 경제성, 시각적 개방성을 고려한 방풍벽을 설계하였다. 아울러 현장실험을 통하여 4가지 방풍벽의 성능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Vibration-Monitoring of a Real Bridge by Using a $Moir\'{e}$-Fringe-Based Fiber Optic Accelerometer

  • Kim, Dae-Hyun;Lee, Jong-Jae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556-562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the use of a novel fiber optic accelerometer system to monitor ambient vibration (both wind-induced one and vehicle-induced) of a real bridge structure. This sensor system integrates the $Moir\'{e}$ fringe phenomenon with fiber optics to achieve accurate and reliable measurements. A low-cost signal processing unit implements unique algorithms to further enhance the resolution and increase the dynamic bandwidth of the sensors. The fiber optic accelerometer has two major benefits in using this fiber optic accelerometer system for monitoring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One is its immunity to electromagnetic (EM) interference making it suitable for difficult applications in such environments involving strong EM fields, electrical spark-induced explosion risks, and cabling problems, prohibiting the use of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accelerometers. The other is its ability to measure both low- and high-amplitude vibrations with a constantly high resolution without pre-setting a gain level, as usually required in a conventional accelerometer. The second benefit makes the sensor system particularly useful for real-time measurement of both ambient vibration (that is often used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and strong motion such as earthquake. Especially, the semi-strong motion and the small ambient one are successfully simulated and measured by using the new fiber optic accelerometer in the experiment of th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a real bridge.

해상교량의 풍하중을 고려한 제한 속도 도출 방안 (A Study on Variable Speed Limit Considering Wind Resistance on Off-Shore Bridge)

  • 이선하;강희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5-87
    • /
    • 2004
  • 우리나라 해안지역은 강풍의 빈도가 높고 세기도 크지만 아직까지 바람을 고려한 적정속도를 안내하는 시스템은 전무한 상태이다. 강풍이 부는 곳에서의 무리한 주행은 핸들 조작의 어려움으로 인한 사고 위험과 풍속을 고려하지 않은 과속으로 인한 전복사고 등의 위험이 크다. 이러한 측면에서 바람 잦은 곳 중 주요지점에 기상정보센서(WIS:Weather Information Sensor)를 설치하고 이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된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구동력과 주행저항의 크기를 극대화하는 적정속도를 VMS를 통하여 제공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목포시에 건설예정인 목포대교를 대상으로 풍속별 적정 속도를 산출한 결과, 연중 평균 풍향인 남풍일 경우 교량의 입지(정남-북)에 따라 남측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대하여 풍속이 8m/h이상일 경우에는 평상시와 달리 돌풍을 대비한 여유구동력이 큰 60km/h의 속도를 안내해 주는 것이 바람직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3년도에 발생한 태풍 매미 시 목포시의 풍속인 18m/s 일 경우 시속 40km/s에서의 주행저항은 1131N으로써, 이미 변속 4단에서의 구동력(약 1054N)으로는 극복할 수 없으므로 3단 이하에서 변속을 하여야 하며, 이때의 적정속도는 주행저항과 구동력간의 차이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40km/h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An integrate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the Xijiang high-speed railway arch bridge

  • He, Xu-hui;Shi, Kang;Wu, Teng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21권5호
    • /
    • pp.611-621
    • /
    • 2018
  • Compared with the highway bridges, the relatively higher requirement on the safety and comfort of vehicle makes the high-speed railway (HSR) bridges need to present enhanced dynamic performance. To this end, installing a health monitor system (HMS) on selected key HSR bridges has been widely applied. Typically, the HSR takes fully enclosed operation model and its skylight time is very short, which means that it is not easy to operate the acquisition devices and download data on site. However, current HMS usually involves manual operations, which makes it inconvenient to be used for the HSR. Hence, a HMS named DASP-MTS (Data Acquisition and Signal Processing - Monitoring Test System) that integrates the internet, cloud computing (CC) and virtual instrument (VI) techniques, is developed in this study. DASP-MTS can realize data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automatically. Furthermore, the acquired data can be timely shared with experts from various locations to deal with the unexpected events. The system works in a Browser/Server frame so that users at any places can obtain real-time data and assess the health situation without installing any software. The developed integrated HMS has been applied to the Xijiang high-speed railway arch bridge. Preliminary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efficacy of the DASP-MTS as applied to the HSR bridges. This study will provide a reference to design the HMS for other similar bridges.

해상교량 통행안전을 위한 IoT 기반 재난 정보 제공 스마트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IoT-Based Disaster Information Providing Smart Platform for Traffic Safety of Sea-Crossing Bridges)

  • 박상기;김재환;서동우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05-113
    • /
    • 2023
  • 전라남도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25곳의 연륙·연도교가 있으며, 다도해와 이를 잇는 해상교량을 중심으로 해양 및 관광 자원이 풍부한 지자체이다. 그러나, 해상교량의 경우 강풍, 태풍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교량의 구조적 안전성과는 별개로 교량의 과대진동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와 지역주민들의 불안감이 증대되는 현안이 있다. 실제로 최근 2019년에 개통한 신안군의 천사대교의 경우, 강풍과 과대 진동으로 인한 차량 통행 제한이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그로인한 지역주민 및 운전자의 불안감 증대로 민원이 속출되고 있다. 따라서, IoT계측기술을 이용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량적이고 정확한 교량의 풍황상황과 통행과 관련된 교량의 진동수준을 실시간으로 지역주민에서 제공함으로써 해상교량의 안전관리에 대한 지역주민 불안감을 해소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계측시스템 및 IoT센서를 이용하여 해상교량의 풍속 상황과 진동을 상시적으로 관측하고 이를 지역주민 및 관리자에게 전파함으로써 해상교량의 안전 및 통행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강풍 및 대형 재난재해에 대해서도 사전대응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무인수상선을 위한 경유점 추적 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Study on a Waypoint Tracking Algorithm for Unmanned Surface Vehicle (USV))

  • 손남선;윤현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5-41
    • /
    • 2009
  • 워터젯이 탑재된 RIB(Rigid Inflatable Boat)형태의 무인수상선을 인한 경유점 추적 제어 알고리즘을 설계하였고, 성능 검증을 위해 실해역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RIB형 무인수상선의 경유점 추적제어를 위해서는 방향제어를 위해 버킷각을 제어하여야 한다. 우선, 육상 관제소에 미리 입력된 경유점들의 위경도 등의 위치정보들을 바탕으로, 목표 방향각을 실시간 계산한다. 그리고, 무인수상선에 탑재된 마그네틱 콤파스 등의 센서로부터 받은 선수각 및 선수각속도의 값과 PD 제어기법을 이용하여, 버킷각 명령을 실시간 계산한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 등의 외력으로 인한 표류각을 보정하기 위해 일정속도 이상에서는 실침로(Course Of Ground, COG)를 사용하였다. 또한, 설계된 경유점 추적 제어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부산 광안대교 근처 해역에서 육상관제소를 설치하고, 실선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설계된 무인 경유점 추적 제어 알고리즘의 시험결과를, 유인으로 제어한 결과 및 상용추적제어기로 제어한 결과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국지지역에서의 안전운전 지원을 위한 경보정보 설계 (Amber Information Design for Supporting Safe-Driving Under Local Road in Small-scale Area)

  • 문학룡;류승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38-48
    • /
    • 2010
  • 이상기후는 도로교통 사고 위협요소로써 빈번하게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도로교통에서 기상변화 또는 재해에 의한 영향은 장대교량, 터널, 사면 및 결빙 지역에서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이들 지역에 대한 관심 있는 관리가 필요하며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도 집중적인 도로 관리와 도로 기상 정보 제공 및 조기 경보, 도로 순찰, 교통통제와 같은 요소들이 필요하다. 도로의 눈과 결빙은 제설로 위험을 줄일 수는 있으나, 강풍은 피할 수 없는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기상 정보와 기후, 재해 정보를 활용하여 국지 지역에서 안전운전을 위한 경보 정보를 설계를 하고자 한다. 극한 기상에 노출된 운전자를 위한 최상의 경보 정보 설계는 도로 상황 감시 개선, 도로 기상정보 감시, 정확한 사용자 정보전달들이 될 것이며, 또한 바람 및 재해 상황에 대한 통계, 표면 조건 통계, 차종 및 차종에 따른 바람에 의한 사고 통계와 조기 경보 정책과 교육들도 이를 위해서는 수반되어야 할 요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