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ge gap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초

전국 병원간호사의 임금구조와 임금수준 결정요인 분석 (Nurse Wage Structure and Its Determinants in Hospital Industry)

  • 김진현;하상근;박영우;김연희;이선미;권현정
    • 임상간호연구
    • /
    • 제25권3호
    • /
    • pp.294-302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ge structure of hospital nurses in Korea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level of nurses' wages. Methods: First, a mobile survey on nurses' wages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742 nurses working in hospitals. A literature review was also done. Second, a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nurses' wages. Results: The average monthly wage of 3,742 nurses based on the survey was KRW 3,588,000 and the standardized monthly income of 3,742 nurses was estimated to be KRW 3,364,000 as of the end of 2018.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R2=61.7%) showed that gender, nursing experience, designated night duty, ownership, and number of bed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for nurses' wages at 1% significance level. The monthly wage of nurses working in total nursing care ward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working in other wards at 5% significance level. Conclusion: The substantial difference in nurses' wages according to job career, hospital size, region, etc may result in the low proportion of nurses with more than three to five years of service experience and the high turnover of less-experienced worker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adjust the gap in wage level and a standard nurse wage system could be effective measures.

코로나-19가 임금근로자의 노동조건에 미친 영향 - 고용형태별 차이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Working Conditions of Wage Workers - Focusing on Differences by Employment Types -)

  • 이용관
    • 노동경제논집
    • /
    • 제44권2호
    • /
    • pp.71-90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임금근로자의 노동시간과 임금에 미친 영향을 고용형태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경제활동인구조사-근로형태별 부가조사(2017~2020)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코로나-19로 인해 비정규직은 정규직보다 노동시간이 더 감소해 임금소득 창출 기회가 축소됐다. 같은 기간 정규직과 비정규직 신규인력 간 노동시간과 임금 격차는 커졌는데, 이는 단시간·단기간 고용된 인력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초기수준을 기반으로 노동조건이 변화하므로 이러한 결과는 신규 및 고용안정성이 낮은 인력의 노동조건 개선 노력이 노동시장 불평등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실외노동과 보상적 임금격차: 지역별·분위별 추이 (Outdoor Workers and Compensating Wage Differentials: A Comparison across Regions and Wage Levels)

  • 정상윤;송창현;김연우;임업
    • 지역연구
    • /
    • 제38권2호
    • /
    • pp.3-20
    • /
    • 2022
  • 본 연구는 폭염 등 기후변화의 영향에 가장 취약할 수 있는 실외근로자에 초점을 맞춰 실외노동에 대한 보상적 임금격차가 지역별 그리고 분위별로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 개인 수준의 일반 특성과 작업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Oaxaca-Blinder 분해, 무조건분위회귀 분석, 권역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임금 결정요인의 경우 자원효과와 가격효과가 실내근로자에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력과 성별 특성의 경우 실외근로자의 임금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금 분위가 높을수록 실외근로자에 대한 금전적 보상이 커지며, 하위 분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보상적 임금격차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전국적으로 실외근로자에 대한 보상적 임금격차는 2.4%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권역에 따라 보상적 임금격차의 크기에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실외노동에 대한 보상적 임금격차의 지역별 및 분위별 이질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직종 성별 분리 및 숙련 특성이 임금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 (Occupational Segregation, Occupational Skills, and Gender Gaps in Wage and Job Satisfaction in the Capital Region, Korea)

  • 송창현;임업
    • 지역연구
    • /
    • 제35권4호
    • /
    • pp.47-6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종 성별 분리 및 숙련 특성이 임금 및 직무만족도의 성별 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노동시장 내 성별 격차를 다룬 선행연구들은 개인 수준에만 국한하여 분석을 수행하는 것에 그쳤다는 한계를 가진다. 본 연구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하여 개인과 직종 두 층위의 변수를 포괄하여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20차년도 자료와 한국직업정보시스템의 직종별 업무수행능력 중요도 및 수준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인지적 숙련, 기술적 숙련, 신체적 숙련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수도권 여성 임금근로자는 임금과 직무만족도 양쪽 측면에서 남성 임금근로자에 비해 평균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와 같은 성별 격차는 인지적 숙련을 높은 수준으로 요구하는 직종에서는 보다 완화되는 한편, 직종 성별 분리의 정도가 높은 직종에서는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종 성별 분리와 숙련 특성에 따른 임금 및 직무만족도의 성별 격차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성별 격차 해소를 목적으로 하는 수도권 노동시장 내 정책의제에 대한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한국의 1차·2차 의료기관 임상병리사의 희망임금 실태조사 (Survey on Medical Technologist Desired Wage in Primary and Secondary Medical Institutions Nationwide in the Republic of Korea)

  • 김정현;송창섭;최병호;이상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14-323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 16개 시·도 1차·2차 의료기관의 임상병리사의 근로실태와 임금수준을 분석하여 희망임금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국 16개 시·도 1차·2차 의료기관의 임상병리사 1,327명을 대상으로 2022년 8월 1일부터 2022년 9월 30일 까지 구조화된 구글 설문지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임금수준은 성별, 연령, 학력, 경력, 직책, 근무지역, 고용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 1년 미만의 성별, 지역별에 따른 현재의 임금과 희망 임금은 차이가 있으며, 임금의 격차는 상대적으로 여성이 크게 나타났다. 임금만족도, 업무성과에 적합한 임금 및 보상인식, 기술가치 대비 보상에 대한 인식도는 각각 2.01, 2.23, 2.30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1차·2차 의료기관이 임상병리사가 안정적인 일자리와 업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임상병리사 업무에 대한 합당한 임금을 제공해야 하고, 대한임상병리사협회는 1차·2차 의료기관의 임상병리사의 초임임금은 3,400만원의 희망 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함을 시사한다.

Gender Wage Gap in Rural Labour Markets: An Empirical Study of North East India

  • SINGH, Salam Prakash;NINGTHOUJAM, Yaiphab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6호
    • /
    • pp.151-158
    • /
    • 2022
  • Even after three decades of economic reforms, India's labor market is characterized by stark inter-gender differences in terms of both participation rate and working time. Identification of the causes is necessary to remove the disparity and unequal sharing of economic opportunities to make way for women's empowerment. This research attempts in that direction, examining the prevalence of these inequities in rural areas of North-East Indian states using unit-level data from the 2017-18 Periodic Labour Force Survey (PLFS). The methodology for the estimation here is based on Blinder- Oaxaca decomposition method after correcting for sample bias forwarded by Heckman. The analysis shows that in both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the wage gap, the females in the region lag behind their male counterparts by a huge margin. Further, the analysis shows that one of the main factors leading to the difference is the disparities in human capital assets. On top of female educational enrollment being low, there is also a huge lack of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while males have accomplished much better in both the parameters. Moreover, the presence of social stigma against women working and discrimination put the female labor outcomes in a gloomy state.

지난 20년간(年間) 공무원(公務員) 처우(處遇)에 있어서 관민대등(官民對等) 정도(程度)의 비교(比較)와 정책과제(政策課題) (Trends in the Wage Ga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over the Last Twenty Year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 조우현;임찬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23권1호
    • /
    • pp.65-8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1982년, 1985년, 1990년, 1995년, 1998년이라는 5개 시점을 택하여 관민(官民)간 평균적 보수격차와 보수불평등도를 측정하고,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순(純)근로소득 격차를 시계열적으로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우리 나라 공무원의 평균 근로소득은 민간부문보다 높았으며, 공무원은 학력 경력 직종 등을 통제한 후에도 높은 순(純)임금프리미엄을 누려 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무원의 소득불평등도에 있어서는 민간에 비해 극도로 소득평준화가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 공무원의 보수가 낮다는 인식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그 이유를 공무원 사회의 임금평준화 경향 때문으로 보고, 상위직과 하위직 간의 급여격차 확대 및 하위직 고용유연성 제고를 통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입직 과정에서의 희망직장 선택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 분석 (Estimation of Wage Differentials Caused by the Selection of Preferred Job)

  • 최영섭
    • 노동경제논집
    • /
    • 제25권1호
    • /
    • pp.97-129
    • /
    • 2002
  • 이 글은 근로자가 직장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원하는 직장을 선택하는지 여부가 근로자와 일자리의 일치도를 나타내는 데 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러한 입직 과정에서의 희망직장 선택 여부가 근로자의 임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근로자의 비관측된 이질성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 그를 한국노동패널 조사의 3개년 조사 결과에 적용하여 희망직장의 선택 여부에 따른 임금격차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우리는 희망직장의 선택 여부에 따라 약 50% 이상의 임금격차가 발생함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임금격차가 전통적인 임금격차의 설명틀로 설명될 수 없다는 점에서 일자리에서의 생산성 격차가 그 원인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이 경우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분석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은 이 글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으며, 추후 연구를 통해 규명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글의 분석 결과는 직업알선 활동의 개선을 통해 경제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으리라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Estimates of the Economic Value of Houshold Work by Fulltime Home Makers)

  • 김선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3-89
    • /
    • 1990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stimates the economic value of household work done by fulltime home makers, using alternative methods of valuation household work in Pusan Korea. Eight findings, five different methods -Self Estimation by Home Makers, Reservation Wage, Opportunity Cost, Individual function Cost, Replacement Cost(Visiting Housekeeper, Housekeeper, General Managemet, Housekeeper & General Management)- are tried for the estimation of economic value of household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 1) The economic value of household work varies substantially by the methods of estimating. The averages are : 2) The economic value of household work varies with the level of education, ages, the number of children, the stage of FLC in all method of estimation, and the level of income in self estimation by home makers, Reservation wage. Specially, FLC revealed good explanation variable in method of estimation as input household work time. 3) The gap between two-day survey and three-day survey in household work time questionaire didn't so much.

  • PDF

Optimal Monetary Policy and Exchange Rate in a Small Open Economy with Unemployment

  • Rhee, Hyuk-Jae;Song, Jeongseok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18권3호
    • /
    • pp.301-335
    • /
    • 2014
  • In this paper, we consider a small open economy under the New Keynesian model with unemployment of Gal$\acute{i}$ (2011a, b) to discuss the design of the monetary policy. Our findings can be summarized in three parts. First, even with the existence of unemployment, the optimal policy is to minimize variance of domestic price inflation, wage inflation, and the output gap when both domestic price and wage are sticky. Second, stabilizing unemployment rate is important in reducing the welfare loss incurred by both technology and labor supply shocks. Therefore, introducing the unemployment rate as an another argument into the Taylor-rule type interest rate rule will be welfare-enhancing. Lastly, controlling CPI inflation is the best option when the policy is not allowed to respond to unemployment rate. Once the unemployment rate is controlled, however, stabilizing power of CPI inflation-based Taylor rule is dimin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