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course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1초

고등학교 가정계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관한 의식 조사 (Investigation on Consciousness of Career Choice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Students at Senior High School)

  • 장명희;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7-77
    • /
    • 1995
  • This study aims at seeking the effective career guidance and operational plan. We collected data from questionaries to 305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 and 135 students on vocational course for the recognition of and request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X(sup)2, and SPSS/PC(sup)+ program a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1. The main considerations of students in their decision of course were the accessibility of getting a job, or a higher education aptitude, interest, and so on. They made their own decision in choosing their course, relatively were satisfied with their choices. As for the course after graduation they hoped to come by a job related to their major in order to have3 an opportunity for further education, and teachers stood up for the large extent to which their students are satisfied with vocational training by answering that there would be higher possibility of using their major. 2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to the desirable home economics vocational training in future showed that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s desired for the scient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tudents on vocational curse requested that the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supported. And new curricula were those for gerontology. interior design, and cookery and bakery.

  • PDF

고등학교 가정계 직업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Program at Senior High School)

  • 장명희;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7-120
    • /
    • 1995
  • This study aims at seeking how to activate and operate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efficiently. We collected data from school district offices in the nation and questionaries to 37 high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30 teachers in charge of vocational course, 305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 and 135 students on vocational course for the recognition of and request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X(sup)2, and SPSS/PC(sup)+ program a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Followings are the outcomes of this study. 1. The number of classes in which vocational home economics is operated has been on the rise since 1986. As for curriculum of vocational high school, 79 classes for clothing, tourism, and childhood education are being operated in 8 schools. 2. Teachers acknowledge vocational training should keep complete and sustaining education and that it should aim ar conduction education which enables students to acquire technical knowledge and to seek a gob. Both teachers and students admit vocational home economics should be carried out so that vocational training can be combined with general education. 3. Teachers put more emphasis on its major field than that general field. As for laboratory classes, teachers complained about the financial lack, while students need for field practice for the purpose of opening the way for combing theory with practice and proposing for scientific study of industrial sites. As for the contents, students considered the technical course size appropriate and they though it is desirable that the ratio of practical class should be increased by more than 60% of that of the current class ratio.

  • PDF

A Case Study of Horticultural Instruction as Educ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Effects of Horticulture Job Skill Course Based on Employment Practice Model on Personal Performance Indicator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y

  • Kim, Soo Yeo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5-73
    • /
    • 201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Horticulture Job Skill course based on the employment practice model on personal performance indicator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first step of this study, an employment practice model was developed by a focus group composed of six specialists from the industry and academia. The second step consisted of selecting the items of personal performance indicator related to horticulture vocational rehabilitation among all item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third step was selecting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next step was coming up with a pilot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the employment practice model. The final step was examining the effects of pilot course (horticulture job skill) based on the employment practice model on personal performance indicator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treat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indicator 1 (managing) from 1.8±0.155 to 4.2±0.267, indicator 2 (planting) from 1.5±0.114 to 4.45±0.153, indicator 3 (using tool) from 3.2±0.186 to 4.6±0.112, indicator 4 (packing) from 2.05±0.153 to 4.45±0.114, indicator 5 (decorating) from 2.65±0.150 to 5.5±0.114, indicator 6 (cleaning) from 2.85±0.131 to 4.45±0.114, indicator 7 (observing) from 2.4±0.112 to 4.45±0.112, and indicator 8 (laboring) from 2.35±0.109 to 4.1±0.180. However,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15 weeks of the program.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Horticulture Job Skill course based on the employment practice model has an effect on improving the individual perform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nally, horticulture education-based on the employment practice model will contribute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university student with disabilities.

계열에 따른 여자고등학생의 성에 관한 실태분석 (Empirical Analysis of Sexuality among Girls' High School Students by Course)

  • 박옥임;신혜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15
    • /
    • 2004
  • This study examines the various types of consciousness about sexuality exhibited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utilizing two subject groups with the first being academic course students and the second being vocational course students. A 51 question questionnaire was prepar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wo preliminary surveys, a reliability test, and a correction. A total of 72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of 3 vocational and 3 academic course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was carried out using by means of SPSS 10.0. The study generated conclusive findings about each groups' viewpoint toward sex, the actual condition of their relationship with members of the opposite sex, the passages of knowledge about sex, the content of current sexuality education at school and the ideal type of sexuality educa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current standardized content of sexuality education is ineffective. Sexuality education at schools in South Korea has reached a point, where research for more effective sexuality education is required.

  • PDF

직업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전공 진로 지도 프로그램 개발 (Vocational Guidance Program Development for Course Selection to Activate Vocational Education)

  • 박성종;한명석;김갑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3권2호
    • /
    • pp.61-70
    • /
    • 2000
  • 경쟁 사회에서 생존을 위해 직업 교육기관은 학생들에게 능력 중심 직업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직업 분야 진로 선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진로 지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대학 1학년 학생들에게 미래의 직업 분야에 적응할 수 있도록 원활한 전공 선택과 전공 교과 학습 상담을 위한 진로 지도가 필요하다. 직업 분야 관련 과목의 조기 학습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에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장래 직업 선택과 다양한 직업 분야의 진로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 지도 교과목 개발과 학습 계획을 위한 learning map을 통하여 교육 수요자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우고 대학 과정의 특정 직업 관련 지식의 획득과 장래 직업 준비를 위한 전공 진로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설문지를 통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서 장래 직업 분야에서 유용한 직업인이 될 수 있도록 직업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의 시간당 수강료 영향 요인 분석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Hourly Course Fee in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Course)

  • 최영섭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39-249
    • /
    • 2019
  • 현재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대한 재정 지원은 NCS 직종 분류에 따라 설정된 NCS 기준 단가에 따라 집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준단가 제도는 훈련분담금-지원금 제도가 운영되는 경우 그에 필요한 행정 부담을 경감시켜주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NCS 기준단가가 훈련과정별 수강료를 기준으로 함에 따라 직업훈련 정책의 사회통합적 기능을 왜곡시킬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앞으로 합리적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로서, 훈련기관에서 책정하는 훈련과정별 수강료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제로 훈련기관의 독점적 성격이나 훈련참여자의 높은 지불의사가 수강료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정부의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대한 재정지원에서 이러한 영향을 제거하고 실제 훈련공급비용에 가까운 지원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훈련정책이 사회적 통합성 제고에 기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근본적으로 모든 훈련과정의 정확한 훈련공급비용을 보전해 줄 수 없다면 정부의 정책적 판단을 중심으로 하는 지원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공업계열 직업계고에서의 과정평가형 자격 도입 가능성 및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and Management Course Assessment type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t Industrial Secondary Vocational High Schools)

  • 이병욱;김신명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9
    • /
    • 2020
  • 본 연구는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원의 인식을 기반으로 과정평가형 자격 도입 가능성 및 운영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원의 과정평가형 자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과정평가형 자격의 도입 가능성과 기대 효과에 대한 동의 정도, 그리고 과정평가형 자격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중요도와 필요 정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열 직업계고 교원의 과정평가형 자격 제도에 대한 이해 정도는 보통 수준이나, 도입 취지와 목적, 그리고 필요 정도에 대한 동의 정도는 낮았다. 둘째, 과정평가형 자격을 취득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로는 교육을 받는 동시에 자격 취득, 구체적이고 유의미한 수행의 관점에서 학습목표 제시, NCS 기반의 체계적 교육·훈련 경력 개발 및 형성 가능, 산업 현장 중심의 지식과 기술 습득 가능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업계열 직업계고에 과정평가형 자격을 도입할 때 고려해야 할 항목별 우선 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중요도와 필요 정도를 분석한 결과, 평균값보다 모두 높은 요구 영역으로는 과정평가형 자격 편성 시수 유연화, NCS 개정에 따른 적절한 경과 조치 마련, 필수능력단위 편성 시수 완화 등 인 것으로 나타났다.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전자'교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 규명과 상대적 중요도 분석 (A Study on Identification and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for Microprocessor Course on NCS-based Curriculum)

  • 임종현;안미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14
    • /
    • 2018
  • NCS 기반 교육과정의 전문교과 교사는 더욱 전문화된 교수역량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 '전자' 교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을 규명하고, 역량 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분석결과는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 '전자' 교과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은 8개의 주요 역량과 22개의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주요역량 간, 각 하위 역량 간 상대적 중요도 조사에서 각각 '소스코드 작성 역량'과 '타겟 시스템 회로도 활용 소스코드 작성 역량'이 최고 순위이다. 본 연구는 전자 교과의 핵심이 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개선 및 교사역량 강화를 제안하며, 직업교육 체계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수역량 요소를 통해 교사 역량 개발을 위한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직업교육 훈련기관 운영과정 개선에 대한 제안 (전문대 미용계열 중심으로) (The Suggest for improving the operation proces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a beauty major of the vocational college))

  • 김윤정;홍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68-377
    • /
    • 2019
  • 본 연구는 전문대학이 직업교육 훈련 기관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현재 운영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개선점을 제안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전문대에서 미용계열 직업교육 훈련과정을 수료하였거나 재학 중인 250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실시하여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총 230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설문조사에서 회수된 설문지 응답 결과를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Statistics (Ver. 24: IBM,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범주 형 자료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고등학교 1학년 학기 초 일반고 전교생들에게 직업교육 훈련과정에 대한 정보를 일률적으로 제공하고, 이후 2학년 1학기부터 충분한 직업교육 훈련시간을 통해 본인의 적성에 부합한 진로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둘째, 미용계열 훈련과정에 네 개의 전공과목을 동시에 개설하는 것이다. 훈련생들이 네 개의 미용 과목에 따른 자격증을 훈련기관에서 훈련기간 중 취득할 수 있게 하며. 피부, 헤어, 메이크업, 네일아트의 모든 전공과목을 교육 받고 자격증을 취득하는 과정에 본인의 적성에 부합한 전공 진로를 신중히 결정할 수 있게 기회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가 미용을 전공으로 하는 일반고 비진학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직업교육 훈련기관으로 더욱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