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digital

검색결과 1,477건 처리시간 0.031초

시뮬레이터 카메라 가상제어형 VFX 영상제작시스템 (CG image product system by virtual control of simulator camera)

  • 두이천;둥샤오;고재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95-200
    • /
    • 2017
  • 본 연구는 시뮬레이터 카메라 가상제어형 CG적용 영상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영상제작시스템은 촬영현장의 시뮬레이터 카메라와 CG적용 영상편집이 이루어지는 그래픽 툴의 가상카메라가 서로 동기화되도록 하고, 시뮬레이터 카메라의 위치, 움직임, 이동, 렌즈설정이 그래픽 툴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적으로 제어되도록 하여 그래픽 툴을 통해서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동서대학교 창작 애니메이션인 블레이즈 나이츠(Blaze Knights)를 사례로 하여, 시스템 적용전과 적용후의 진행율 및 작업양을 비교하여 연구결과의 우수성을 부각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CG 아티스트의 작업효율이 증대되는 동시에 CG적용 영상의 장면 연출시 물리적 제약이 최소화되면서, 다양한 장면 연출의 가능 및 실사 촬영이후 영상 편집단계에서 요구될 수 있는 재촬영 분량도 최소화등 VFX업계에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가상현실기술을 이용한 불국사와 석굴암의 디지털 복원 -가상현실 시스템 CAVE를 중심으로 (Digital Restoration of Pulguksa Temple and Sokkuram based on Virtual Reality -Focused on the CAVE of Virtual Reality System)

  • 박소연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67-76
    • /
    • 2003
  • 오늘날 컴퓨터 그래픽이라는 학문이 각 분야에서 각광을 받으면서 Computer 활용의 디지털 영상매체를 이용하는 분야는 디자인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보편화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가상현실이라는 기술을 활용한 분야들은 활발히 연구 진행중이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여러 선진국들은 이러한 가상현실 기술을 문화재의 복원에 이용하여 자국의 문화와 역사를 세계에 알리는데 큰 성과를 얻고 있다. 특히 다양한 가상현실 시스템들 중 인공적인 환경을 가장 잘 표현 할 수 있는 시스템인 CAVE 환경을 서구에서는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아직 보급단계라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디지털 문화재 복원 분야는 CAVE 환경에서 한번도 다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VE 기반의 디지털 문화재 복원에 대한 실증연구를 통해 그 방향을 제시하여 CAVE 환경에서 의 문화재 디지털 복원이 가지는 가치와 이에 따른 가상현실 기술 활용에 대한 문화재 디지털 복원의 의의와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AVE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하고 CAVE를 이용한 국외 문화재 디지털 복원의 사례를 소개 한 후, 우리 나라 불국사와 석굴암의 디지탈 복원과정을 진행하고 한계점 및 미래방향을 언급한다.

  • PDF

가상 뷰티 메이크업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연구 (A study on User experience of Virtual Beauty Makeup Applications)

  • 우지혜;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459-464
    • /
    • 2020
  • 본 연구는 발색이나 제형에 대한 테스트가 중요한 뷰티 산업에서 가상 메이크업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을 분석한 연구이다. 최근 AR과 AI를 활용한 뷰티 스마트 스토어와 뷰티 애플리케이션의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가상 메이크업은 실제 제품을 테스트하는 것과 차이가 있어서 사용자 측면의 연구를 통한 니즈 도출이 필요하다. AR 활용한 사례와 AI 활용한 사례를 분류하여 사용자 선호도 비교를 위해 감성 인터페이스 모델을 기반으로 6가지 요인의 설문을 통해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를 보이는 항목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는 가상 메이크업 기능을 편하게 느꼈으나 신뢰성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사용자의 경험에 초점을 두고 두 유형의 비교를 통해 가상 메이크업의 주요 경험 요인과 니즈를 파악하였다는 데 의미를 둔다. 이를 바탕으로 가상 메이크업의 선행 연구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바란다.

화장품 앱에서 가상 메이크업 템플릿과 메이크업 룩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on Virtual Makeup of Instant Beautifying Application - Focus on Color and Shape)

  • 오승현;전창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653-1662
    • /
    • 2018
  • 본 연구는 화장품 앱이 제공하는 가상 메이크업 템플릿과 메이크업 룩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한국의 20대 및 30대 여성 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19개 가상 메이크업 템플릿중 'Bella', 'Hilary', 'Cara' 등 3개를 가장 선호하며, 이에 상응하는 메이크업 룩은 각각 '섹시', '클래식', '내추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문가의 정성적 평가와 통계적 분석에 의한 정량적 평가를 통해 이들은 메이크업 템플릿과 유사한 메이크업 룩을 선호하고, 전반적으로 고명도의 연한 피부색과 중명도의 밝은 입술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게임의 가상공간 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속성에 따른 재미와 몰입감 차이 (Differences of Fun and Immersion according to Game User Interfaces in the Virtual Space)

  • 김기윤;이주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489-149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장르를 가진 디지털 게임의 영역에서도 1인칭 시점에 머물러있는 가상현실 게임 콘텐츠들의 한계에 대해 선행연구와 사례를 통해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공간 게임에서의 시점(1인칭, 3인칭)과 햅틱 피드백이 가져다주는 게임의 몰입감과 현존감 및 재미의 차이를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게임의 시점은 3인칭일 때보다 1인칭일 때, 햅틱 피드백이 제시될 때 몰입감과 현존감 및 재미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가상공간 환경과 게임 시점 간의 상호작용은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가상공간 게임들은 1인칭을 시점으로 하여 햅틱 피드백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으나 게임 시점과 가상현실 환경이 무관한 점, 1인칭시점 게임보다는 3인칭이 더 인기를 끄는 점 등 을 빌어 가상공간에서의 3인칭시점 게임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로토스코핑 기법을 통한 가상현실 영화의 미학적 활용 연구 (Study on Esthetical Experiment of Virtual Reality Cinema with Rotoscoping Technique)

  • 강지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75-282
    • /
    • 2017
  •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영화콘텐츠도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웹과 모바일 등의 플랫폼들이 개발되면서 이에 맞는 영화콘텐츠들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가상현실 기술과 디바이스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아직 영화콘텐츠 분야의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는 HMD(Head Mounted Display) 기반의 가상현실영화 제작을 위하여 로토스코핑 기법 활용한 영화의 미학적 활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기존의 가상현실 영화 중 그래픽 정보를 활용하여 미학적 표현을 한 사례인 'Notes on Blindness'와 'Pearl' 사례에서 어떻게 가상현실 공간을 미학적으로 표현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그래픽화된 공간이 가상현실의 관객에게 새로운 미학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실사기반 영상에 로토스코핑 기법을 활용한 '웨이킹 라이프' 와 '스캐너 다클리' 사례를 통해 로토스코핑 기법의 판타지적 활용과 성공 사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사기반의 가상현실 영화에서 관객의 몰입과 욕망의 충족을 위해 '그네 타는 소녀' 작품에 로토스코핑 기법을 적용하여 미학적으로 활용하였다.

가상환경 기반의 컨베이어 시스템 검증을 위한 제어 시뮬레이션 연구 (A Study of PLC Simulation for Transport System in Virtual Environment)

  • 고민석;박상철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274-281
    • /
    • 2012
  • This paper proposed a control simulation method for design and verification of the transport system in an automobile assembly line based on digital manufacturing system. The design of the transport system involves two major activities: mechanical design (device specification) and electrical design (device behavior and system control). Conventionally, the simulation and emulation system of the transport system focuses on the abstract level, which mainly deals with design verification, alternative comparison, and system diagnosis. Although it can provide overall system visibility in monitoring how well it works in the process and view, its simulation models are not sufficiently realistic to be used for a detailed design or for implementation purposes. In this paper, a digital simulation model for a transport system in an automotive assembly line is constructed by adapting a digital manufacturing methodology. We use the concept of the "Virtual Probe", which transport a carrier instead of the belt of the conveyor. In conclusion, the proposed method is valuable in the process of test run in the shop floor. This method would reduce the time and effort for validating the manufacturing system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integrity of the control program.

Application of Digital Human Modeling for Design of Yacht

  • Kim, Dong-Joon;Ko, Chan Gil;Lee, Yujeong;Chang, Seong Rok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75-480
    • /
    • 2013
  • Objective: In this study, virtual reality was adopted to consider ergonomic factors in yacht design. Virtual human which is the same actual human was created in virtual environment using Digital Human Modeling which has been used in the manufacturing communities to design better workplaces and maximize the safety of workers. Background: During the past 40 years yachting has expanded from being, generally speaking, a minority sport - too expensive for the large majority of people - into a major recreational activity practiced by millions all over the world. Many new yacht designs have appeared and number of professional, as well as amateur designers has increased steadily. But they had not considered ergonomic factors in yacht design. Method: Worker's posture, traffic line and workload had been analyzed in sailing yacht. After the caution level was evaluated, we pointed out clues which had high workload and interference. To reduce workload, we applied ergonomic principles for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s in Digital Human Model. Results: We found the space problems and workload of postures. Conclusion: (1) Unnatural posture of crews was sustained. (2) Workload that occurs in the human body was overloaded. (3) Crew's work space was very narrow. Application: This study will be applied the new ergonomic design of yacht.

Digitalized Dynamic Fashion Design: Graphical Patterns in Motion

  • Choi, Kyung-Hee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20-431
    • /
    • 2019
  • This paper evaluates the potential of dynamic graphical patterns in future-driven fashion design using computer graphics that enables changes to the visual appearance of a textile for aesthetic, expressive or communicative purpose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experimenting with the possibility of creating digitalized dynamic fashion garments that are illustrated digitally using motion graphics developed collaboratively in a virtual space. Three objectives were formed and addressed. First, a dynamic graphical pattern was defined that also investigated the cases of tangible and virtual dynamic patterns in textiles and garments to identify current situations and future prospects in terms of functional techniques and expressive effects. Ten digital fashion illustrations were then created in collaboration with a group of graphic designers and motion artists to visualize dynamic graphical patterns changing over time. Four types of dynamic fashion illustrations were also introduced in their methodological and expressive aspects. Last, some findings resulted from digital works that led to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on tangible dynamic fashion designs. This study proposed that computer graphics and digital imaging technologies integrated into a virtual fashion that creates eye-catching and futuristic dynamic fashion designs that can customize colors and patterns according to the desires of wearers or users.

QNFT: A Post-Quantum Non-fungible Tokens for Secure Metaverse Environment

  • Abir El Azzaoui;JaeSoo Kim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20권2호
    • /
    • pp.273-283
    • /
    • 2024
  • The digital domain has witnessed unprecedented growth, reshaping the way we interact, work, and even perceive reality. The internet has evolved into a vast ecosystem of interconnected virtual worlds, giving birth to the concept of the Metaverse. The Metaverse, often envisioned as a collective virtual shared space, is created by the convergence of virtually enhanced physical reality and interactive digital spaces. Within this Metaverse space, the concept of ownership, identity, and authenticity takes on new dimensions, necessitating innovative solutions to safeguard individual rights. The digital transformation through Metaverse has also brought forth challenges, especially in copyright protection. As the lines between the virtual and physical blur, the traditional notions of ownership and rights are being tested. The Metaverse, with its multitude of user-generated content, poses unique challenge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multifaceted. Firstly, there's a pressing need to understand the strategies employed by non-fungible token (NFT) marketplaces within the Metaverse to strengthen security and prevent copyright violations. As these platforms become centers for digital transactions, ensuring the authenticity and security of each trade becomes paramount. Secondly, the study aims to delve deep into the foundational technologies underpinning NFTs, from the workings of blockchain to the mechanics of smart contracts, to understand how they collectively ensure copyright protection. Thus, in this paper, we propose a quantum based NFT solution that can secure Metaverse and copyright contents in an advanced m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