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class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33초

가상현실 스포츠실 수업의 프레즌스 경험이 즐거움, 몰입 및 스포츠 활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sence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 Sports Class on Pleasure, Flow,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y)

  • 김화룡;윤상용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68-27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체육실 수업의 실재 경험이 즐거움과 몰입을 경험할 때 스포츠 활동 참여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조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총 300명을 60부씩 표본추출하여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한 24부를 제외하고 총 276부의 자료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 처리는 SPSS ver. 24.0 및 AMOS 버전.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증요인분석, 빈도분석, Cronbach's α 계수계산,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가상현실 체육실 수업의 실재 체험은 즐거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가상현실 체육실 수업에서 즐거움과 몰입의 관계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가상현실 체육실 수업의 즐거움은 체육활동 참여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가상현실 체육실에 참가한 학생들의 수업몰입도는 향후 체육활동 참여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가상현실 기반 중재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카페에서의 의사소통 능력과 수업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based Intervention Program on Communication Skills in Cafe and Class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이태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57-165
    • /
    • 2019
  • 이 논문은 가상현실 기반 중재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직업교육에 있어 카페에서의 고객 대응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과 수업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 4개교의 고등부에 재학하고 있는 지적장애학생 30명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 대상 학생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은 바리스타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적용한 중재 프로그램 중재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실험은 여름방학을 이용하여 일주일에 5회씩 4주에 걸쳐 실시되었고, 각 수업은 50분씩 진행되었다. 의사소통 능력과 수업태도에 관하여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고, 평가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상현실 기반 중재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중재를 받은 통제집단보다 카페에서 일을 하는데 있어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고, 수업 태도도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가상현실 기반 중재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전환교육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 하겠다.

실습교과목에 가상현실(VR)을 활용한 교수·학습 사례 및 효과 연구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Cases and Effects Using Virtual Reality (VR) in Practice Subjects)

  • 최나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1-52
    • /
    • 2023
  • This study developed and taught VR content to be used in clothing design and composition practice, which are practical subjects for home education student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examined the learning effects o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VR experiences. First, after experiencing classes using VR content,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es were examined considering participation, class level,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perience of learning sewing machines in classes using VR content and changes in perception of classes, it was found that the class level, class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ere affecte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VR experiences and the perception of VR classes prior to experiencing VR content related to sewing machines developed for practical subjects, VR experiences affected class participation, class level, expectations, but satisfaction was not affected. The advantages of the VR class that students mentioned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included interest in the clas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he VR experience, and the use of VR. As for the disadvantages, difficulties in using the device, dizziness, frustration when using the device, and limitations of the program were mentioned.

다수의 미지 가상 입력 계수들을 가지는 비선형 시스템에 대한 적응 안정화 (Adaptive stabilization for nonlinear systems with multiple unknown virtual control coefficients)

  • 서상보;정진우;서진헌;심형보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9년도 정보 및 제어 심포지움 논문집
    • /
    • pp.76-78
    • /
    • 2009
  • This paper considers the problem of global adaptive regulation for a class of nonlinear systems which have multiple unknown virtual control coefficient. By using a new parameter estimator and backstepping technique, we design a smooth state feedback control law, parameter update laws that estimate the unknown virtual control coefficients, and a continuously differentiable Lyapunov function which is positive definite and proper.

  • PDF

ATM 망의 가상경로 루팅 최적화 (Virtual Path Routing Optimization in ATM Network)

  • 박구현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54
    • /
    • 1995
  • Routing in ATM network is set up by combination of both virtual path routing and virtual channel routing. While virtual channel is similar concept to virtual circuit of data networks, virtual path is a special concept which is not used in traditional data networks. Virtual path can rearrange in structure and size by simply changing virtual path routing tables and giving the network the capability to eash allocate network resources according to the demand needs. This paper provides reconfiguration models of virtual path network which give the bandwidth of link and the routing path for each traffic class. The reconfiguration models are network optimization problems of multicommodity network flow type. The numerical examples are also included.

  • PDF

사용자간 상호작용 지향적 통합 가상교육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ser Interaction-Oriented Integrated Virtual Education System)

  • 박경환;문석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215-22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월드와이드웹에 기반하면서 사용자간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통합 가상교육시스템인 WebClass를 설계하고 구현한 방법을 소개한다. 기존 가상교육 시스댐은 사용자간 상호작용 모텔을 제시하지 않고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각 기능들이 유연하게 통합되지 못했다 WebClass에서는 다양한 교수 모델을 지원하기 위한 상호작용 모텔을 설정하고 그 모텔에 기반하여 사용자와 가상교육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따라서 단순한 기능위주의 통합이 아닌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을 갖는 통합 가상교육시스템을 개발하였기 때문에 가상교육이 갖는 상호작용의 부족을 최대한 보완하였다. WebClass에서는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위해 비동기 공유 기능과 동기 공유 기능올 모두 지원한다 이들 공유 기능들은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유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통합함으로써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여 효율적인 가상교육을 지원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Robust Adaptive Control for a Class of Nonlinear Systems with Complex Uncertainties

  • Seo, Sang-Bo;Back, Ju-Hoon;Shim, Hyung-Bo;Seo, Jin-H.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권2호
    • /
    • pp.292-300
    • /
    • 2009
  • This paper considers a robust adaptive stabilization problem for a class of uncertain nonlinear systems which include an unknown virtual control coefficient, an unknown constant parameter, and a time-varying disturbance whose bound is unknown, We propose a new estimator for an un-known virtual control coefficient and present a robust adaptive backstepping design procedure which results in a smooth state feedback control law, a new two-dimensional parameter update law, and a $C^1$ Lyapunov function which is positive definite and proper.

메타버스에서의 참여형 PBL 수업 설계 (A Design of Participative Problem Based Learning (PBL) Class in Metaverse)

  • 이승호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91-97
    • /
    • 2022
  • 핵심적인 미래역량(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협업, 창의성) 개발을 위한 대표적인 교육방법으로 문제중심 학습법(PBL, problem based learning)이 주목받으며 대학에서의 적용이 확산되고 있다. PBL 수업의 중요한 특징 두 가지는 '팀원들과의 협업'과 '상호작용에 기반한 참여형, 자기주도적 학습'이다.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 됨에 따라 비대면 원격수업이 대학교육에서 임시방편이 아닌 필수요소가 되었고, 시공간 제약에 의해 앞서 언급한 두 가지 특징을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한계점에 부딪혔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H대학에서 비대면으로 운영했던 PBL 강좌 사례에 대한 한계점을 분석하고, 메타버스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개선된 PBL 수업 방식을 상세하게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메타버스 활용 PBL 수업에서는 팀에서 진행한 연구 내용들을 담은 자료(이미지, pdf, 동영상 파일 등)를 3차원 가상공간에 갤러리 형태로 자유롭게 꾸미고 전시할 수 있어서 팀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갤러리를 팀원들의 프로젝트 협업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고, 최종 프리젠테이션 장소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 수업 방식은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동일 PBL 수업에 적용하여 효과성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도출할 것이다.

자바 클래스 파일에 대한 시각화 실행 분석기 (Visualized Execution Analyzer for the Java Class File)

  • 고광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1A권5호
    • /
    • pp.319-324
    • /
    • 2004
  • 자바 언어는 빠른 속도로 인터넷 및 분산 응용 분야 등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단순히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이상으로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실행 환경인 자바 가상 기계에 연관되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자바 클래스 파일에 대한 분석 및 응용 분야에 적합한 형태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자바 언어에 대한 클래스 파일은 소스 프로그램의 의미를 자바 가상 기계에서 실행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된 형태이다. 이러한 클래스 파일의 구조 및 실질적인 실행 과정에 대한 분석은 디컴파일러 구성, 소스 프로그램의 디버깅 등에 편리성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클래스 파일에 대한 분석을 비롯하여 실제로 실행되는 과정을 보다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실행 분석기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클래스 파일의 내용을 GUI 환경에서와 같이 접근 및 표현이 용이하도록 구현하였다. 클래스 파일이 포함하고 있는 정보들을 Constant_Pool 부분, Class_file 부분, Interface 부분, Field 부분, Method 부분, Attribute 부분으로 나뉘어서 나타내도록 해주었다. 또한 클래스 파일의 실행 과정에서 핵심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소드 영역 정보, 오퍼란드 스택 정보, 지역 변수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수학 예비교사의 가상 수업 시연의 특징 및 동료 예비교사의 평가 (Analysis on the peer assessment results and the attributes of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virtual instruction)

  • 김선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4호
    • /
    • pp.465-481
    • /
    • 2013
  • In this study, 27 pre-service teachers presented virtual mathematics instruction to develop his/her own teaching practice ability. I found several attributes in their virtual mathematics instruction such as connecting contents, asking justification, encouraging students' communication, representing variously, and using ICT etc. These will 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mathematics class. When peer pre-service teachers assess presenter's instruction quantitatively,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sults between expert and pre-servic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didn't find the elements of student self assessment or group assessment and communication activities at the virtual instruction. When they assess peers' virtual instruction qualitatively, the results are specific or new ones compared with the quantitative assessment elements. Thus I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the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virtual instruction in the view of teac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