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able cells

검색결과 771건 처리시간 0.026초

Reactivation of Silenced WT1 Transgene by Hypomethylating Agents - Implications for in vitro Modeling of Chemoimmunotherapy

  • Kwon, Yong-Rim;Son, Min-Jung;Kim, Hye-Jung;Kim, Yoo-Jin
    • IMMUNE NETWORK
    • /
    • 제12권2호
    • /
    • pp.58-65
    • /
    • 2012
  • Background: A cell line with transfected Wilms' tumor protein 1 (WT1) is has been used for the preclinical evaluation of novel treatment strategies of WT1 immunotherapy for leukemia due to the lack of appropriate murine leukemia cell line with endogenous WT1. However, silencing of the transgene occurs. Regarding the effects of hypomethylating agents (HMAs) on reactivation of silenced genes, HMAs are considered to be immune enhancers. Methods: We treated murine WT1- transfected C1498 (mWT1-C1498) with increasing doses of decitabine (DAC) and azacitidine (AZA) to analyze their effects on transgene reactivation. Results: DAC and AZA decreased the number of viable cells in a dose- or time-dependent manner. Quantification of WT1 mRNA level was analyz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fter mWT1-C1498 treated with increasing dose of HMA. DAC treatment for 48 h induced 1.4-, 14.6-, and 15.5-fold increment of WT1 mRNA level, compared to untreated sample, at 0.1, 1, and $10{\mu}M$, respectively. Further increment of WT1 expression in the presence of 1 and $10{\mu}M$ DAC was evident at 72 h. AZA treatment also induced up-regulation of mRNA, but not to the same degree as with DAC treatm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mental increases in WT1 mRNA by DAC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 and concomitant down-regulation of WT1 promoter methylation was revealed. Conclusion: The in vitro data show that HMA can induce reactivation of WT1 transgene and that DAC is more effective, at least in mWT1-C1498 cells, which suggests that the combination of DAC and mWT1-C1498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xperimental model of HMA-combined WT1 immunotherapy targeting leukemia.

홍국 풀을 이용한 김치 제조 및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Using Monascus purpureus Koji Paste)

  • 김현정;박정현;황보미향;이효주;이인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01-707
    • /
    • 2003
  • 홍국 김치는 절임 배추에 홍국 쌀풀(20%)을 각각 2.5, 5.0%씩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한 다음, 2$0^{\circ}C$에서 18일간 저장하며 홍국 김치의 품질 및 관능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군의 pH가 다소 높았고, 산도의 경우는 반대로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군의 산도가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L, b 값은 발효 기간 내내 대조구가 홍국 첨가군보다 큰 값을 보였으나, a 값은 0-3일 발효시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군의 값이 조금 적었다가 6일 후부터는 더 증가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담금 초기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군에서 높은 값을 보였고, 특히 2.5% 첨가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숙성 3일째 5.0% 첨가군이 2.5% 첨가군 보다 환원당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그 이후부터 첨가군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담금 초기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젖산균 및 효모수가 감소되었으나, 숙성이 진행되면서 각 군별 차이 없이 증가되었다. 총균수의 경우 숙성 3일째 대조구와 2.5% 첨가군에서 5.0% 첨가군보다 총균수가 증가되었다가, 숙성 6일째는 5.0% 첨가군이 대조구와 2.5% 첨가군 보다 더 크게 증가하였고 12일 후부터 각 군별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하였다. 홍국 첨가 김치는 대조구에 비해 단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 등에서 더 우수하였고, 특히 홍국 김치의 제조시 색을 포함한 다른 항목에서도 비교적 양호한 값의 2.5% 홍국 쌀풀 첨가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송화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관능특성 및 송화추출물의 항산화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Noodles With Pine polle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ine pollen Extracts)

  • 김미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17-724
    • /
    • 2005
  • 본 연구는 품질 특성과 기능성을 가진 우리밀 국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송화 분말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등의 기능성을 검토하고 송화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1.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1,000 ppm에서 물 추출물은 67%, 에탄올 추출물은 74%로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물 추출물 보다 높았다. 2.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pH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동일 pH에서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3. 송화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 생면을 $20^{\circ}C$에서 일주일간 저장하였을 때 3% 송화첨가국수가 총균수 및 진균수는 대조구의 최대균수를 나타낸 저장일의 균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pH 및 산도는 대조구 및 실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4. 송화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명도(L)와 적색도(a)는 송화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p<0.05) 삶은면의 명도는 대조구와 추출물 첨가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황색도(b)는 실험구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5. 송화를 첨가한 우리밀 생면, 건면, 삶은면의 관능검사 결과 종합 기호도에서 3% 첨가구가 가장 높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Lactococcus sp. CU216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함유한 pH Sensitive Liposome의 응용 (Use of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coccus sp. CU216 with pH Sensitive Liposome Entrapment)

  • 박성수;김명희;한경식;오세종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7-102
    • /
    • 2004
  • 발효식품의 후산발효를 조절하기 위하여 pH sensitive liposome의 이용 가능을 검토하였다. Lactococcm sp. CU216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L.. acidophilus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유산균주들에 생육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Octyl-Sepharose column으로 분획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박테리오신을 dipalmitoyl phosphocholine, dipalmitoyl phosphoethanolamine, dioleoyl phosphocholine 및 콜레스테롤를 각각 4:2:1:4(㏖ ratio)의 비율로 섞은 liposome을 제조하여 최종적으로 pH sensitive bacteriocin-liposome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liposome은 pH 4부근에서 대부분 유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pH 6이상에서는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pH sensitive bacteriocin-liposome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에 적용하여 저장시 pH의 저하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실험 결과, pH sensitive bacteriocin-liposome은 발효식품의 후산발효 억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추후에 요구르트를 포함한 다른 발효식품에 대한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완숙 토마토의 첨가가 배추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ded Ripened Tomato on the Quality of Baechukimchi)

  • 문성원;박정은;장명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78-688
    • /
    • 2007
  • 완숙 토마토가 배추김치의 맛과 발효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배추김치에 대한 완숙 토마토의 첨가량을 0, 10, 20, 30%(w/v)로 하였고, $10^{\circ}C$에서 28일간 발효시키면서 관능적,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보았다. 관능적 특성 평가 결과, 기호 특성에서는 색, 신냄새, 조직감, 탄산미, 신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의 모든 항목에서 20% 첨가구가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강도 평가에서는 신냄새와 신맛은 대조구가 전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조직감은 발효 초기부터 발효 11일까지는 30% 첨가구가, 발효 21일 이후에는 20% 첨가구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취는 발효 14일 이후에 대조구가 계속 높은 점수를 보였다. pH는 모든 첨가구에서 발효 초기에 약간 높아졌다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발효 7일에서 17일 사이에 대조구의 pH가 가장 낮았다. 총 산 함량은 발효의 진행과 함께 증가하였는데, 발효 4일에서 7일 사이에 대조구의 총 산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발효 7일에서 21일 사이에 20% 첨가구가 가장 적은 총 산 함량을 보였다. 환원당은 발효의 진행과 함께 모든 첨가구에서 점차로 감소하였고, 완숙 토마토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발효 말기까지 환원당 함량이 많게 나타났다. 총비타민 C는 모든 첨가구에서 발효 초기에 약간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로 서서히 감소하였다. 발효 말기까지 완숙 토마토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총비타민 C함량을 보였다. 총 균수와 젖산균수는 비슷한 경향으로 대조구는 발효 7일에 최대 균수를 보인 후 점차로 감소하였고, 10%, 20%와 30% 첨가구는 발효 14일에 각각 최대 균수를 보인 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조구에 비해 완숙토마토 20% 첨가가 배추김치의 발효 숙성을 조절하여 맛, 냄새와 조직감을 향상시켜 기호도를 좋게 하였고, 적은 총 산 함량과 많은 환원당과 총 비타민 C함량을 보였고, 최대 균수에 도달되는 시기를 7일 연장하였다.

  • PDF

반복유산을 경험한 환자에서 임신중 태반항원과 동종항원에 노출된 모체 림프구면역반응은 언제부터 소실되나? (When Dose Losses of Maternal Lymphocytes Response to Trophoblast Antigen or Alloantigen Occur in Women with a History of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 최범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2호
    • /
    • pp.115-122
    • /
    • 1998
  • The maintenance of a viable pregnancy has long been viewed as an immunological paradox. The deveolping embryo and trophoblast are immunologically foreign to the maternal immune system due to their maternally inherited genes products and tissue-specific differentiation antigens (Hill & Anderson, 1988). Therefore, speculation has arisen that spontaneous abortion may be caused by impaired maternal immune tolerance to the semiallogenic conceptus (Hill, 1990). Loss of recall antigen has been reported in immunosuppressed transplant recipients and is associated with graft survival (Muluk et al., 1991; Schulik et al., 1994). Progesterone $(10^{-5}M)$ has immunosuppressive capabilities (Szekeres-Bartho et al., 1985). Previous study showed that fertile women, but not women with unexplained recurrent abortion (URA), lose their immune response to recall antigens when pregnant (Bermas & Hill, 1997). Therefore, we hypothesized that immunosuppressive doses of progesterone may affect proliferative response of lymphocytes to trophoblast antigen and alloantigen. Proliferative responses using $^3H$-thymidine ($^3H$-TdR) incorporation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to the irradiated allogeneic periperal blood mononuclear cells as alloantigen, trophoblast extract and Flu as recall antigen, and PHA as mitogen were serially checked in 9 women who had experienced unexplained recurrent miscarriage. Progesterone vaginal suppositories (100mg b.i.d; Utrogestan, Organon) beginning 3 days after ovulation were given to 9 women with unexplained RSA who had prior evidence of Th1 immunity to trophoblast. We checked proliferation responses to conception cycle before and after progesterone supplementation once a week through the first 7 weeks of pregnancy. All patients of alloantigen and PHA had a positive proliferation response that occmed in the baseline phase. But 4 out of 9 patients (44.4%) of trophoblast antigen and Flu antigen had a positive proliferative response. The suppression of proliferation response to each antigen were started after proliferative phase and during pregnancy cycles. Our data demonstrated that since in vivo progesterone treated PBMCs suppressed more T-lymphocyte activation and $^3H$-TdR incorporation compare to PBMCs, which are not influenced by progesterone. This data suggested that it might be influenced by immunosuppressive effect of progesterone. In conclusion, progesterone may play an important immunological role in regulating local immune response in the fetal-placental unit. Furthermore, in the 9 women given progesterone during a conception cycle, Only two (22%) repeat pregnancy losses occured in these 9 women despite loss of antigen responsiveness (one chemical pregnancy loss and one loss at 8 weeks of growth which was karyotyped as a Trisomy 4). These finding suggested that pregnancy loss due to fetal aneuploidy is not associated with immunological phenomena.

  • PDF

Synthesis and Photovoltaic Properties of Alternating Conjugated Polymers Derived from Thiophene-Benzothiadiazole Block and Fluorene/Indenofluorene Units

  • Li, Jianfeng;Tong, Junfeng;Zhang, Peng;Yang, Chunyan;Chen, Dejia;Zhu, Yuancheng;Xia, Yangjun;Fan, Duowa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2호
    • /
    • pp.505-512
    • /
    • 2014
  • A new donor-accepter-donor-accepter-donor (D-A-D-A-D) type 2,1,3-benzothiadiazole-thiophene-based acceptor unit 2,5-di(4-(5-bromo-4-octylthiophen-2-yl)-2,1,3-benzothiadiazol-7-yl)thiophene ($DTBTTBr_2$) was synthesized. Copolymerized with fluorene and indeno[1,2-b]fluorene electron-rich moieties, two alternating narrow band gap (NBG) copolymers PF-DTBTT and PIF-DTBTT were prepared. And two copolymers exhibit broad and strong absorption in the range of 300-700 nm with optical band gap of about 1.75 eV. The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energy levels vary between -5.43 and -5.52 eV and the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energy levels range from -3.64 to -3.77 eV. Potential applications of the copolymers as electron donor material and $PC_{71}BM$ ([6,6]-phenyl-$C_{71}$ butyric acid methyl ester) as electron acceptors were investigated for photovoltaic solar cells (PSCs). Photovoltaic performances based on the blend of PF-DTBTT/$PC_{71}BM$ (w:w; 1:2) and PIF-DTBTT/$PC_{71}BM$ (w:w; 1:2) with devices configuration as ITO/PEDOT: PSS/blend/Ca/Al, show an incident photon-to-current conversion efficiency (IPCE) of 2.34% and 2.56% with the open circuit voltage ($V_{oc}$) of 0.87 V and 0.90 V,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J_{sc}$) of $6.02mA/cm^2$ and $6.12mA/cm^2$ under an AM1.5 simulator ($100mA/cm^2$). The photocurrent responses exhibit the onset wavelength extending up to 720 n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ulted narrow band gap copolymers are viable electron donor materials for polymer solar cells.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으로 제조한 사워도우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urdough fermented with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 임은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84-97
    • /
    • 2016
  • 재래식 된장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은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과 당 발효능 및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Enterococcus faecium SBP12, Pediococcus halophilus SBP20, Lactobacillus fermentum SBP33, Leuconostoc mesenteroides SBP37, Pediococcus pentosaceus SBP41, Lactobacillus brevis SBP49, Lactobacillus acidophilus SBP55 및 Enterococcus faecalis SBP58로 동정되었다. SBP20, SBP33, SBP49와 SBP55 균주는 인공 위액과 담즙액 내에서 6 log cycle 이상 생균수를 유지하였으나, SBP12와 SBP58은 낮은 pH 하에서 2시간만에 균수가 급격하게 감소되었다. 특히, SBP49와 SBP55는 HT-29 세포에 대한 부착능이 높고,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Bacillus cereus ATCC 11778과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므로, 이 두 균주는 프로바이오틱 선발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게다가 SBP49와 SBP55를 이용하여 사워도우를 제조한 결과, 발효 직후 도우 내 pH, 산도 및 유산균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SBP49는 많은 양의 유산을 생산한 반면, SBP55는 과산화수소를 더 많이 생산하였다. SBP49와 SBP55 유산균은 유산과 과산화수소뿐만 아니라 박테리오신 등의 항균물질을 생산하므로 사워도우 내 존재하는 식중독균 저해에 효과적이었다.

난자채취 2일과 5일에 연속으로 실시한 배아이식의 안전성과 효과 (Subsequent Embryo Transfers (SET) on Day 2 and Day 5: It's Safety and Effectiveness)

  • 박기상;송해범;이택후;전상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7권2호
    • /
    • pp.165-172
    • /
    • 2000
  • Objective: In vitro fertilization (IVF) and a prolonging the time of culture may be helpful in establishing a viable pregnancy through a selection effect. Some embryos do not develop beyond the 4-cell stage and some may not develop to the blastocyst stage. We have evaluated the safety of SET and the outcomes of pregnancy. Methods: Sperms were treated with Ham's F-10 supplemented with 10% human follicular fluid (hFF). oocytes or fertilized oocytes were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with 10% or 20% hFF respectively. Up to five oocytes were inseminated with approximately 200,000 sperm cells/2 ml in each well. Fertilization was examined in the following morning and fertilized oocytes were co-cultured until embryo transfer. Vero cells for co-culture were prepared in Tissue Culture Medium - 199 (TCM-199) with 10% fetal bovine serum. At the two to four cell and blastocyst on day 2 and day 5, embryo and blstocyst grading were evaluated. Pregnancy rate was determined after transfer of human embryos at the two to four cell stage on day 2 (Group I) or subsequent transfer of embryos on day 2 and at the blastocyst stage on day 5 (Group II). For statistical analysis, Student's t-test and Chi-square (${\chi}^2$_test) were used. Results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p value was less than 0.05. Results: No differences was found in the fertilization between Group I (81.0%, 98/121) and Group II (81.8%, 180/220). In case of cleavage rate, no difference was found in Group I (95.9%, 94/98) and Group II (97.8%, 174/178). However, the rate of-clinical pregnancy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4) in Group II (66.7%, 12/18) than in Group I (26.3%, 5/19).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T is safe and effective, and significantly increases the pregnancy rate.

  • PDF

초음파 병행 추출이 마황과 복분자 열수 추출물의 면역활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Ultrasonification Process on Enhancement of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Ephedra sinica Stapf and Rubus coreanus Miq.)

  • 박진홍;이현수;문형철;김대호;성낙술;정해곤;방진기;이현용
    • KSBB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13-11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생약재인 마황과 복분자를 이용하여 추출과정 중 4$0^{\circ}C$, 6$0^{\circ}C$, 10$0^{\circ}C$로 온도를 달리 하여 기존의 열수 추출방법과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을 통하여 면역활성 증진에 다르게 나타나는 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추출시 모든 열수 추출물들에 비해 초음파 병행 추출물의 추출 수율이 높게 나타났고, 마황 4$0^{\circ}C$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해 2.34배로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이 나타냈으며, 10$0^{\circ}C$ 복분자 추출물은 물 추출물에 비해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1.2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10$0^{\circ}C$ 복분자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들에서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하여 1.6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추출시 추출되지 않았던 여러 활성 물질이 초음파 처리에 의해 액체간의 상호 탈기 작용에 의해 추출 수율의 상승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면역세포의 생육활성 측정결과 모든 조건에서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열수 추출만을 가한 추출물에 비해 생육도가 20∼25% 가량 더 높게 관찰되었다. 더불어 인간 면역세포인 B, T cell을 이용한 cytokine 분비량 측정실험에서도 마찬가지로, 열수 추출물에 비해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물에서 그 분비량이 1.5배 정도 더 높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복분자 6$0^{\circ}C$, 40 KHz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가장 높은 cytokine 분비량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비추어 보면, 앞으로 더 많은 실험을 통하여 초음파의 병행 효과와 이를 통한 기능성 소재 및 기능성 식품으로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