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centered design

검색결과 392건 처리시간 0.043초

커뮤니티 도서관의 사용자 중심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 미국과 영국의 커뮤니티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mposition of User-Centered Space in Community Library - Focused on Community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and Britain -)

  • 등 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62-70
    • /
    • 2018
  •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makes people's lifestyles constantly changing, bringing great changes to the library building. As a product of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community libraries have an important impact on community cohesion and revitalization through providing targeted learning and leisure services to residents. Under the trend of social and community development, the community library's user-centered space must adapt to the diverse needs of community users and make the self-improvement. First of all, this study summarizes the concept of community and community librar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n make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composition of user-centered space. Finally this study bases on the cases of community library buildings in the United States and Britain, and initially explores the composition of user-centered space in these libraries, and then analyzes and summarizes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it. Exploring how community can be activated and cohesive through community libraries user-centered space. Hope that this study can provide some reference to the contemporary community library design.

CBD 방법론에서의 사용자 중심 설계 프로세스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Incorporating User-Centered Design Process into CBD Methodology)

  • 함동한;김진삼;박창순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3-240
    • /
    • 2003
  • To develop high-quality software systems satisfying the customer's needs, user-centered design (UCD) process has been emphasized in the area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And component-based development (CBD)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to realize a systematic software reuse, thereby reducing the time-to-market and the development cost. Balanced integration of user-centered design process and CBD process will be a promising way for successful software construction, which effectively achieves three goals: the quality of software, the cost of software development, and the time-to-market. However, traditional CBD methodology seems to lack the concept of user-centered design process and the relevant methods. This paper proposes a way of incorporating user-centered design process into a CBD methodology. Firstly, this paper gives the brief introduction of UCD. Secondly, we explain typical UCD activities and methods along the phase of systems development lifecycle and propose the use of usability maturity model (UMM) for integrating UCD activities and methods with those of CBD methodology. Finally, as a case study, we describe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UCD activities to the activities of MaRMI-III, which has been developed as a CBD methodology at ETRI.

  • PDF

사용자 중심 디자인 프레임워크에서 사용자 조사기법의 역할에 관한 연구 - 13-18 청소년용 온라인 커뮤니티 컨텐트 개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of the User Research Techniques in the User-Centered Design Framework - Focused on the on-line community services development for 13-18 Young Adults)

  • 이종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77-86
    • /
    • 2004
  • 사용자 중심 디자인(User-Centered Design)은 주어진 환경(Context)에서의 사용자 행동(Activity)을 모델링 하여 사용자가 기능적, 논리적으로 주어진 작업(Task)을 수행해 낼 수 있는 상품의 디자인을 가능케 하는데 크게 기여한 바 있다. 그러나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사용하기 편하고 유용한 측면을 디자인하는 데는 큰 기여를 했지만, 소비자의 감성 및 문화를 고려한 상품 디자인을 개발하는 측면에서는 아직 성공적인 사례를 제시하지 못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는 사용자 중심 디자인이 사용자의 요구사항 (기능적인 요구 사항)에만 치중하는 접근법이기 때문으로, 사용 상황이 중요한 공공 시설물이나 기업 소프트웨어의 개발에는 적합하지만 소비자를 직접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트 및 디지털 가전의 디자인을 위해서는 부족한 면이 없지 않아 있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Jordan은 이러한 문제법의 해결안을 제시하면서, 사용자 요구사항의 다차원적(개인적, 사회적, 인지적, 물리적) 접근법을 제안하였고, 그것을 Pleasure-based Approach라고 명명하였다. Jordan도 사용자 조사의 중요성은 부각하였지만, 사용자 조사의 결과를 상품 개발에 접목시키기 위한 방안은 제시하고 있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Kano의 상품 속성 모형을 도입하여 사용자 조사 방법과 상품 요소 도출과의 연결고리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Kano 모델에서는 상품 요소를 크게 기본요소, 퍼포먼스요소, 엑셀런트 요소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퍼포먼스 요소는 설문조사와 같이 직접적으로 고객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요소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기본요소 및 엑셀런트 요소는 직접적인 사용자 조사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요소가 아니라 고 주장하고 있고, 이런 요소들을 도출하기 위하여 경쟁상품분석, 참여적 소비자 조사 등과 같은 방법이 도입되어야 한다. 고 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3-18 청소년용 온라인 커뮤니티 컨텐트 개발 프로젝트' 를 중심으로 엑셀런트 요소 및 퍼포먼스 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참석 관찰의 프레임 워크를 제시하고, 그 결과를 기능적 요소, 감성적 요소로 정리하여 상품개발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상품개발에 사용자 조사의 필요성 및 활용도를 실질적인 프로젝트를 통하여 시도해 보았다는 데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사용자 중심 디자인개념에 기초한 보건용 마스크의 구매 경향성에 관한 연구 - 마스크의 형태와 색상 중심으로 (A Study of The Purchasing Tendency of Health-care Masks Based on The User-centered Design Concept-centered on the Form and Color of the Mask)

  • 마린;김명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43-154
    • /
    • 2020
  • 전 세계에서 코로나바이러스의 대유행으로, 보건위생용품인 마스크는 점점 생활 속 필수방역용품으로 바뀌었다. 그래서 마스크는 개인위생용품에서 점차 사회적 용품이 되었고, 디자인에서 '사용자 중심디자인'의 경향이 강하다. 본 논문은 우선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보건용 마스크를 연구대상으로 '사용자 중심디자인'의 개념에서 마스크의 외관과 색상 등 디자인 요소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표본분석법, 페르소나(persona) 분석법, 점 위도 분석법으로 추출한 표본과 수집한 데이터를 대상으로 분석해 '사용자 중심디자인', '구매 경향성' 및 '보건용 마스크' 사이의 관계를 찾아낸다. 사용자가 마스크를 구매할 때 선택한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여 사용자 중심디자인 방안을 탐구한다. 여기에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구매할 때 마스크의 형태와 색상의 선택과 마스크 디자인 요소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마스크 디자인할 때 디자인의 공백점을 찾을 수 있고 참고할 가치가 있다.

사용성 중심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의 생성기법 (A User Interface Prototype Generation Technique Supporting Usage-Centered Design)

  • 김정옥;유철중;장옥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1호
    • /
    • pp.29-42
    • /
    • 2004
  • 웹 환경의 급성장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중심설계가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성 중심설계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토타입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개발 단계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즉, 요구분석으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이 객체를 모델링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비즈니스 이벤트의 추상화 모델링 규칙과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이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비즈니스 이벤트들의 가시적 응집도를 높일 수 있고, 미숙한 설계자도 양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에 대한 비즈니스 업무의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프로토타이핑의 반복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디지털정보환경에서의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Curriculum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Digital Information Environment)

  • 구본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93-108
    • /
    • 2000
  • 문헌정보학 교육은 실제적인 기술요소를 교육과정에 도입하여야 한다. 문헌정보학을 포함하여 전문직을 위한 어떤 종류의 교육이건 한 가지 필수적인 요소는 교육과정에서 실무를 준비시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정보환경과 기술 도입, 그 기술 도입이 도서관환경에 미친 영향 그리고 미국의 변화된 교육과정을 고찰하였고 교유과정의 이상적인 버전을 제시하였다.

  • PDF

음성기반 멀티모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평가 방법론 (Usability Test Guidelines for Speech-Oriented Multimodal User Interface)

  • 홍기형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67호
    • /
    • pp.103-120
    • /
    • 2008
  • Basic components for multimodal interface, such as speech recognition, speech synthesis, gesture recognition, and multimodal fusion, have their own technological limitations. For example, the accuracy of speech recognition decreases for large vocabulary and in noisy environments. In spite of those technological limitations, there are lots of applications in which speech-oriented multimodal user interfaces are very helpful to users. However, in order to expand application areas for speech-oriented multimodal interfaces, we have to develop the interfaces focused on usability. In this paper, we introduce usability and user-centered design methodology in general. There has been much work for evaluating spoken dialogue systems. We give a summary for PARADISE (PARAdigm for Dialogue System Evaluation) and PROMISE (PROcedure for Multimodal Interactive System Evaluation) that are the generalized evaluation frameworks for voice and multimodal user interfaces. Then, we present usability components for speech-oriented multimodal user interfaces and usability testing guidelines that can be used in a user-centered multimodal interface design proc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