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math education

검색결과 677건 처리시간 0.026초

학습자 중심 교육의 관점에서 교사들의 수학교육의 문제점 인식과 수학 모델 교과서 개발 (Teachers' Recognition of the Problems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Math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 이지윤;김선희;이환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499-514
    • /
    • 2016
  • 전통적인 교사 중심 교육으로는 학생 개개인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발현할 수 없으며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 대처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이 일면서, 우리나라에서는 학습자를 교육의 주체로 보는 학습자 중심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추진한 '2015년 학생 중심 수학교과서 개선 교사연구회' 자료를 토대로 학습자 중심 교육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교사들이 인식하는 수학교육의 문제점과 그들이 개발한 수학 모델 교과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APA(1997)의 '학습자 중심의 심리 원리' 틀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수학교육의 문제점으로 동기와 정서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습에서의 개인차, 발달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습 과정의 본질, 지식의 구성 원리 측면이 고려되지 않았음을 순서대로 많이 지적하였다. 교사들이 개발한 수학 모델 교과서는 학습 과정의 본질, 지식의 구성, 동기와 정서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의 원리가 순서대로 가장 많이 반영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의 문제점 인식과 그에 따른 모델 교과서 개발 결과를 비교한 결과, 교사들에게 인식된 문제점들은 대체로 교과서에 반영되었고, 인지와 메타인지 요인에서는 문제점보다 개선이 더 많이 이루어졌으나 동기와 정의적 요인에서는 개선이 문제점에 비해 미비한 편이었다. 이를 통해 수학 교과서 개선을 통해 실현 가능한 학습자 중심 교육의 방안을 살펴볼 수 있었다.

추상대수학 강좌의 두 가지 접근 방법 (Two Approaches to Introducing Abstract Algebra to Undergraduate Students)

  • 박혜숙;김서령;김완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599-620
    • /
    • 2005
  • There can be two different approaches to introducing Abstract Algebra to undergraduate students: One is to introduce group concept prior to ring concept, and the other is to do the other way around. Although the former is almost conventional, it is worth while to take the latter into consideration in the viewpoint that students are already familiar to rings of integers and polynomial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16 most commonly used Abstract Algebra undergraduate textbooks and found that 5 of them introduce ring theory prior to group theory while the rest do the other way around. In addition, we interviewed several undergraduate students who already have taken an Abstract Algebra course to look into which approach they prefer. Then we compare pros and cons of two approach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and the historico-genetic principl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bstract Algebra and suggest that it certainly be one of alternatives to introduce ring theory before group theory in its standpoint.

  • PDF

인지적 수준이 높은 수학 과제 설정과 실행에 관한 교사의 반성적 연구 -초등학교 2학년 길이재기를 중심으로- (Reflective action research on setting up and implementing mathematics tasks demanded students' high-level cognition)

  • 박영은;김남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0권2호
    • /
    • pp.77-110
    • /
    • 2007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to students show high-level mathematical thinking in math classes. This paper describes how to setup the task for lead to a high - level of thinking out students and what efforts are required while a teacher tried to maintaining students's high-level cognition during the tasks implemented. The researcher as teacher analyzed the tasks of length measurement unit in 2-Ga elementary math textbooks, modified and created math tasks demanded students' high-level cognition, made instruction plans, and implemented those tasks maintaining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 of tasks. After that, the researcher reflected and analyzed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 of tasks of instruction and factors that cause to change intended high-level cognitive demand. After reflection, second roof of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to 2-Na length measurement unit. This paper includes those results and reflections of practitioner.

  • PDF

직업계 고등학교 졸업생 대상 'Math & 코딩'을 활용한 대학 미분적분학 교육 사례 연구 (Case Study on College Calculus Education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with Coding)

  • 이재화;이상구;함윤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611-62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가 고심하는 '수학울렁증(Mathematics Anxiety, 수학불안)'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2022년 1학기 S대학에서 직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재직자 신입생 20명을 대상으로 'Math & 코딩(Coding)'을 적용하여 운영한 대학 미분적분학 강좌 사례를 소개한다. 본 강좌에서는 'Math & 코딩'으로 쉽고 빠르게 중·고등학교 수학을 복습할 수 있는 콘텐츠와 대학 미분적분학 콘텐츠 및 교재를 새로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스스로 '수학울렁증'이 있다고 여기던 학생들은 코드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면서 복잡한 계산에 대한 부담을 덜게 되었고, 대신 확보한 시간을 수학 개념에 대해 동료 및 교수자와 토론하면서 미분적분학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본 강좌를 수강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미분적분학 교재에 있는 거의 모든 문제를 지필로 또는 코드를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고 자신있게 이야기 하였고, 미분적분학에서 다루는 주요 개념에 대해서도 자신의 언어로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대학의 수학강좌 교수학습과정에서 'Math & 코딩' 방식을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수학적 배경이 약한 학생들과 이전에 수학을 포기했었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다시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여겨지며, 중등수학교육에서도 'Math & 코딩' 접근방식을 충분히 적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실버 수학이 노인 학습자의 두뇌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Analysis the Effects of Silver Math Influenced on Brain Activities for the Aged)

  • 고호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509-522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변화 중 하나인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른 고령사회에 적극적인 대비책 중 일환으로, 노인 수학 교육의 적용 효과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노인의 지적 욕구와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삶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써의 역할을 하는 실버 자료를 개발하고 보급하는 일은 노년기에 질적으로 성공적인 삶을 향유하기 위한 평생 교육 관점에서 중요한 일이며 이를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증거를 제시함을 필요로 한다. 본고에서는 개발한 자료를 기본 수 연산이 가능한 노인 학습자에게 적용하여 뇌파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측면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실버수학이 젊은 세대와의 상호작용이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제기하기 위하여 뇌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가를 뇌파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 PDF

수학 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 신장을 위한 매쓰투어(Math-Tour)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Math-Tour to improve Mathematics Study Attitude)

  • 허선;오홍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465-48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수학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제주목 관아에서 학생들이 직접 걸어 다니면서 체험할 수 있는 제주목 관아 매쓰투어(Math-Tour)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에는 제주목 관아에서 볼 수 있는 여러 자연물과 인공물을 이용한 수학 문제를 제시하였다. 이후 제주시 A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험하도록 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매쓰투어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수학 학습 태도 검사와 인터뷰를 실시하고, 소감문을 작성하도록 하여 이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수학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인 제주목 관아 매쓰투어가 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 신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수학 현장학습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를 개선하는데 유의미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A Note on Teaching Statistics in The School Class

  • Lee, Sang-Bock;Lee, Dong-R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7권2호
    • /
    • pp.449-453
    • /
    • 2006
  • In teaching statistics in the secondary school, most math teachers do it and students enjoy it well before 11th grade. But, both of teachers and students feel statistics hard at 11th grade, which has been contained permutations, combinations, random variables, probability distributions, hypotheses and tests for normal distribution.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s of statistics for math teachers and also find many students enjoying it.

  • PDF

A Practical Study on Teaching Statistics in The Secondary School Class

  • 이동로;이상복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JOINT CONFERENCEOF KDISS AND KDAS
    • /
    • pp.229-233
    • /
    • 2006
  • In teaching statistics in the secondary school, most math teachers do it and students enjoy it well before 11th grade. But, both of teachers and students feel statistics hard at 11th grade, which has been contained permutations, combinations, random variables, probability distributions, hypotheses and tests for normal distribution.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s of statistics for math teachers and also find many students enjoying it.

  • PDF

대학수학 지도를 위한 공대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조사 (The Analysis of the Attitudes of Engineering Students to Mathematics and Its Implications)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467-482
    • /
    • 2007
  • 대학수학 지도를 위한 구체적인 자료를 얻기 위해 충청지역 6개 대학교(A대 36명, B대 40명, C대 37명, D대 96명, E대 36명, F대 41명)의 공학 계열 학생들에 대해 18개 항목과 미분적분학 지도를 위한 선행학습 조사, 수학내용의 영역별 난이도 조사를 하고 결과에 대해 표를 만들어 간단히 언급하고 외국의 연구사례를 이용하여 우리 실정에 맞게 다음을 적용해 본다. 1) 수학 학습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배려해야 하고, 2) 공대생을 위한 수준에 맞는 교수 방법이 요구되고, 3) 그들의 수학적 배경에 기초하여 실질적인 교수 전략이 연구되어야 하며, 4) 수학 개념의 이해를 얻게 하려고 더 많은 자료를 개발해야 되며, 5) 공대생의 전공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해 공학개념과 수학개념 사이의 관계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된다. 위의 제안 이외에도 학생들의 수학적 배경과 태도가 대학수학 학습에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 PDF

EBSmath의 활용이 농촌학생들의 수학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Using EBSmath on Self-Directed Math Learning of Students Living in the Farming Villages)

  • 정순모;박혜연;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23-148
    • /
    • 2015
  • 정부의 사교육 경감 대책 및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이 발표되고, 교육부에서는 '농산어촌 ICT 지원 사업'으로 농산어촌의 교육정보화 격차를 줄이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한국교육방송(EBS)에서는 EBSmath 라는 수학 자기 주도 학습 사이트를 개설하고,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농산어촌 ICT 지원 사업'에서 지원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EBSmath 사이트를 활용한 학습이 여러 가지의 교육정보화가 열악한 농촌학생들에게 스스로의 힘으로 지식을 습득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새로운 지식을 산출하는 능력, 즉 수학 자기주도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본고에서 연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