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math education

검색결과 688건 처리시간 0.035초

MULTIDIMENSIONAL TEACHING: THOUGHTFUL WAYS OF CREATING A FLIPPED CLASSROOM

  • Cho, Hoyun;Osborne, Carolyn;Sanders, Tobie;Park, KyungEun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3권1호
    • /
    • pp.93-114
    • /
    • 2015
  • The "flipped" or "inverted" classroom, in which students study lecture-type material at home and do their "homework" in the classroom, has been the subject of research, particularly in the area of student achievement. Yet Bishop and Verleger (2013) state the need for an underlying theory to the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multidimensional teaching," the authors' extension of the two-dimensional "flipped" classroom concept in light of Cambourne's (1995) Conditions for Learning. One author's math class for pre-service teachers was taught in two styles, a more traditional lecture format and in the \inverted" format. Students in the "flipped" format achieved at a higher level. Moreover, students' open-ended comments reveal that Cambourne's Conditions for Learning were implicit to the teaching practice. The authors suggest that practitioners of this style of teaching should deliberately develop student-centered practices, such as those mentioned by Cambourne, in order to retain the power that this teaching style currently has.

3차 교육과정 시기와 7차 교육과정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ird and Seventh Curriculum Period)

  • 김미순;조완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79-9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사회의 패러다임이 지속되었던 제3차 수학과 교육과정부터 제6차 수학과 교육과정까지를 3차 수학과 교육과정시기로,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라는 패러다임이 지속되고 있는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부터 현재의 2009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까지를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로 구분하여 두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두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 비교분석을 위하여 3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에는 제3차와 제6차 교육과정 교과서를,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에는 제7차와 2009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를 중학교 2학년 수학 교과서의 '도형의 성질 단원'의 단원 구성 체제, 목표 수준, 과제 유형, 내용 전개 방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두시기의 교과서는 단원구성체제는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목표수준 및 과제유형, 내용전개 방식은 개념적 절차적 지식을 요구하는 낮은 수준의 목표 및 과제 유형, 내용전개 방식에 머물러 있음이 확인되었다.

유아의 숲 체험 수학놀이 활동이 수와 공간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hildren's Forest Math Game Activities on Their Understanding of Number and Space Concept)

  • 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73-480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의 숲 체험 수학놀이 활동이 유아의 수와 공간 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연구하였다. 대상은 만 4 세 유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각 20명으로 숲 수학놀이 활동을 통한 4 주간 주 4회씩 총 16회기에 걸쳐 숲 수학놀이 활동 놀이를 한 후 평가지에 의해 평가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수학놀이 활동이 유아의 수와 공간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검정 결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 비교 결과 실험집단이 분류하기와 순서찾기 문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내 숲 수학놀이에서 분류하기와 순서찾기 놀이가 수와 공간개념 이해력에 도움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는 유아들이 숲 수학놀이 활동이 유아의 수와 공간개념 이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아들의 숲 수학놀이 활동을 통해 과제별 대상을 분류하고 순서를 찾아 과제를 풀어가는 과정 속에 수의 개념을 이해시키기 위한 유아들의 숲 수학놀이 활동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된다.

사교육 참여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on Mathematics Achievement : For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김용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207-227
    • /
    • 2020
  • 우리나라의 사교육 수요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학년이 낮을수록 사교육의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을 위해서는 장시간에 걸쳐 추적 조사한 종단자료를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 교육종단연구의 2013년도(초등학교 4학년)부터 2017년(중학교 2학년)까지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수학 사교육 참여시간과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수학 학업성취도가 유사하게 변화는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 수학 사교육 참여 시간의 변화에 따른 수학 학업성취도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체 학생들의 수학 사교육 참여시간은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룹별 수학 사교육 참여시간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그룹별 사교육 효과는 집단과 시기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났다.

유치원 현장과 연계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지식 및 인식 변화 탐색 (Exploring Changes of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 Field-Based Math Lesson)

  • 김정주;서현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9-533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ollow up changes in knowledge related to the mathematics education field work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8 students who were taking mathematics education cour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s at various universities. This research ran for 15 weeks and was conducted through field work relating to mathematics education.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the diagram of concept, writing journals, interviews, and materials from the internet. Through this procedure,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for mathematics education could later be expanded, ordered, and integrated.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not only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contents and levels of lesson plans, but also learned how to utilize educational media to make effective lessons. Furthermore, pre-service teachers realized that the mathematical concepts of students could be expanded depending 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ns and students could then apply these concepts into daily situations.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과 오류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and fallacy for linear equations and functions)

  • 이헌수;김영철;박영용;김민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59-27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방정식과 함수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과 오류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M시 관내에 있는 중학교 2학년 163명과 3학년 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에 대한 인식과 오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생들은 x에 대한 일차방정식은 방정식으로 인식하는 반면 x가 아닌 다른 문자를 사용한 일차방정식은 방정식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학생들은 상수함수 y=p 를 일차함수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학생들은 식을 표현하는 형태에 의존하여 방정식과 함수를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넷째, 학생들은 방정식과 함수의 가장 큰 차이점에 대해 교과서의 개념정의에 의해 판단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스마트폰 카메라 기반 아동 교육용 산수 블록 인식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 Blocks Recognition Application for Children's Education using a Smartphone Camera)

  • 박상아;오지원;홍인식;남윤영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9-38
    • /
    • 2019
  • 현재 정보사회는 빠르게 격변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과 창의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논리적 사고의 근간이 될 수 있는 수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아동들에게 수학 학습에 대한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아동들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교구를 이용하여 수학영역의 논리적인 사고가 더욱 확장되고 자발적 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 수학교육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기기와 블록을 이용하여 수학 교육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의 주 기능은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과 수식 계산 값 확인이다. 아동이 산수 교육용 블록을 이용해 수식을 만든 뒤 카메라를 이용하여 블록을 촬영하면 자신이 만든 수식의 계산 값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촬영한 이미지의 전 처리 과정과 텍스트 추출, 문자인식은 OpenCV 라이브러리와 Tesseract-OCR 라이브러리로 구현하였다.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진학동기, 수학 전공공부 및 과외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about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 ways of dealing with university mathematics knowledge and tutoring experiences)

  • 전영국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269-28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교사가 되고자 하는 대학생의 진학동기와 수학적 사고와 관련된 패턴 및 고등학교와 대학 수학을 하는 경험, 과외 경험을 통하여 예비교사의 고유한 측면을 질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S 사범대학을 선정하여 수학교육 전공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경험을 인물 사례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2009년 11월부터 2010년 2월 사이에 수학교육과 2학년 학생 4명을 대상으로 기초면담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인물 사례 연구방식에 근거하여 스케치 형태로 초상화법을 적용하여 수학교사가 되고자 하는 동기, 고등학교와 대학 수학을 하는 공부양상의 차이점, 과외 경험을 통하여 느끼는 양상을 탐색하고 그 의미에 대한 해석을 담았다. 마지막에 연구참여자에 대한 사례간의 논의를 통하여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대학 교양수학의 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고찰 - 생명.나노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tr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n College general mathematics)

  • 서종진;유천성;최은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559-573
    • /
    • 2007
  • 기존의 대학 교양수학은 공학이나 이학(자연)계열 또는 전공 분야의 구분 없이 주로 하나의 통합된 내용으로 교재가 구성되었다. 이러한 내용 구성은 전체적으로는 좋을지라도 현행 입시 체제와 사회적 변화에 대한 고려가 미약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학 교양수학에서 다루어야할 수학 내용은 각 전공(또는 학부)별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으며, 그 내용의 깊이는 전공에서 활용되는 정도와 대학생들의 수학 학습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할 필요성이 있다.

  • PDF

도구로서 인공지능과 교과로서 인공지능에 대한 중등 수학 교사의 인식 탐색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Math and Math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 심영훈;김지현;권민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159-181
    • /
    • 2023
  • 본 연구는 초점 집단 면담(FGI)을 활용하여 인공지능에 대한 중등 수학 교사의 인식을 도구로서 인공지능과 교과로서 인공지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도구로서 인공지능 중 수학 교수 및 학습 도구 측면에서 수학 교사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다양한 유형의 수학 수업이 가능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으나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과정의 면밀한 파악 및 학생들과 정서적 상호작용에 있어 인공지능 활용에 한계를 제시하였다. 도구로서 인공지능 중 수학 평가 도구로서의 측면에서 수학 교사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문항 출제 및 채점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의견이 있었던 반면, 논술형 문항 채점에서는 교사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교과로서 인공지능 측면에서 수학 교사들은 <인공지능 수학> 교과의 도입 취지와 학습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였으나 이를 가르치기 위한 교사의 준비와 교수 학습 및 평가 자료가 다소 부족한 실정이라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중·고등학교 수학에서도 맞춤형 인공지능 학습 도구가 개발되어야 하고, 교사들의 평가를 도울 수 있는 인공지능 평가 도구를 개발 및 보급할 필요가 있으며, <인공지능 수학> 교과에 대한 교사의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과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학습을 도울 수 있는 컨텐츠 위주로 교과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