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life adaptation

검색결과 747건 처리시간 0.032초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대학생활적응이 취업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to Employment Strategies of Nursing Students)

  • 한영인;김정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99-409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대학생활적응 및 취업전략 정도를 확인하고 각 변수들간의 상관성 및 취업전략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서술적 조사연구로 설계되었다. 자료수집은 G시의 일개 간호대학교에서 2017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수집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221명의 간호대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참여자들은 구조화된 자가 설문지를 통해 건강증진행위, 대학생활적응 및 취업전략을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평균점수는 $2.11{\pm}.34$점, 대학생활적응 평균점수는 $3.47{\pm}.67$점, 취업전략 평균점수는 $3.24{\pm}.56$점이었다. 건강증진행위와 대학생활적응 (r=.437, p<.001), 건강증진행위와 취업전략 (r=.536, p<.001), 대학생활적응과 취업전략(r=.615,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대학생들의 취업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 생활적응, 건강증진행위, 환경변화적응, 건강상태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9.7%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취업전략은 건강증진행위, 대학생활적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대학생활적응과 취업전략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그램개발과 반복연구, 교육과정개선이 필요하다.

웃음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aughter Therapy on Happiness,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 서혜영;오자영;이도영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1-11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aughter therapy programs on middle school students' happiness,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Methods: In total, 60 students (Experimental group= 30. Control group=30) were recruited to answer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happiness,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45-minute laughter therapy program once a week for eight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Results: The scores of happiness(t=-4.68, p<.001), self-esteem(t=-3.38, p=.001), and school life adaptation(t=-3.76, p<.001) in the experimental group g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results, laughter therapy programs should be applied to improve happiness,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간호대학생의 현장실습적응, 대학적응, 죽음에 대한 인식이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n department adaptation of field practice adaptation, college adaptation, and awareness of death of nursing students)

  • 제남주;박미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00-31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현장실습적응과 대학적응, 죽음에 대한 인식이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전공적응과 현장실습적응 및 죽음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시, J시 간호학과 3.4학년 2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C 대학교 IRB의 승인을 받은 후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였고, 자료분석은 IBM SPSS WIN/21.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를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현장실습적응은 평균 3.58점, 대학적응은 평균 3.33점, 죽음에 대한 인식은 평균 3.15점, 간호학과 학과적응은 평균 3.38점이었다. 대상자의 학과적응과 현장실습적응(r=.56, p<.001), 죽음에 대한 부정도(r=-.15, p=.016), 생명존중의지(r=.33,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현장실습적응과 대학적응(r=.48, p<.001), 생명존중의지(r=.16, p=.009)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학적응과 생명존중의지(r=.32,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현장실습적응, 대학적응, 죽음에 대한 인식이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적응이었으며(F=171.67, p<.001), 이 모형은 67.5%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죽음에 대한 긍정적 태도 변화를 위해 학부 과정에서 죽음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인식 변화와 관련된 교육과정이 제공되어야 하며 생명존중의지 프로그램 실시 후 간호학과 적응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한부모가정 초기 청소년의 공격성이 자아정체성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Early Adolescent in Single Parent Families)

  • 전수영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1-42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early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5th-year data of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including 159 middle school 2nd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The data was analyzed with open source statistics program R 3.5.0 to determine whether self-identity had a mediating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Results: A moderat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aggression, self-ident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As a result of the Sobel test, self-identity of early adolescen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Conclusions: Given the significant mediating factor of self-identity, the strategies for early adolescents to boost their overall school life adaptation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intervention programs that help to enhance their self-identity.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및 스마트폰 중독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 Smartphone Addiction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University Students)

  • 권명순;이보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40-55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smartphone addiction and degree of adaptation to their university life,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through July in 2017 for 235 university freshme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study showed that the group living in the dormitory or other places rather than living with family and satisfying in family life [ED highlight - please clarify this, I cannot infer your intended meaning; however, this text can likely be deleted.] adapted easily to university life. Moreove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Consequently,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residence type,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smartphone addic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the factors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university lif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lead students to participate in programs that can meet basic psychological needs or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to help university freshmen adapt to university life.

외국인 유학생의 성격강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adaption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students' Character strengths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 유지형;이주희;박순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511-52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성격강점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G시와 N시에 소속된 외국인 유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외국인 유학생의 성격강점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성격강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지속적인 상담과 전문상담사를 대학 내에 두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lege Adaptation and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in Post Corona Era)

  • 이경아;손희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39-254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이전과 이후,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핵심역량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호남권 등의 대학생 171명이다. 언택트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코로나 이전에는 '정서적 적응'의 어려움이, 코로나 이후에는 '학업적응'의 어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핵심역량은 '대인관계역량', '문제해결역량', '정보통신역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핵심역량요소와 대학생활 적응간의 연관성 분석결과, 코로나 이전, 이후 모두 사회적 적응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코로나 이후에는 학업적응의 어려움과 새로운 기술습득에 대한 어려움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비대면 상황에서의 대인관계역량 강화, 학업적응 촉진을 위한 정보통신역량 강화, 그리고 새로운 기술습득역량 강화 등을 위한 대학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긍정심리자본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련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Freshmen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 조미숙;박정현;장경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95-202
    • /
    • 2019
  • 본 연구는 부산, 울산, 대구광역시 지역의 대학교 치위생(학)과에 재학중인 신입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변인들의 결과 희망, 복원력, 낙관주의, 자기효능감,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의 요인에서 모두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 중 학업적응과 사회적응은 낙관주의(p<0.001)와 자기효능감(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개인정서적응과 대학환경적응은 낙관주의(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킬 있는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현장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Adaptation to the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 최순옥;박진경;김상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2-18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egree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at adaptation. Methods: First-year (undergraduate) students attending three nursing colleges were surveyed from November 24 through December 5, 2014; and data from 206 respondents were analyzed. For data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The findings showed that age (p=.002), emotional intelligence (p<.001), and self-efficacy (p<.001) were significant variables that influenced first-yea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lif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adaptation was explained by self-efficacy (${\beta}=.327$, p<.001), emotional intelligence (${\beta}=.222$, p=.001), satisfaction with education in their academic major (${\beta}=-.217$, p<.001), and academic achievement (${\beta}=.136$, p=.018);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1.2%. Conclusion: To facilitat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life prior to clinical practice, developing and apply programs to improve self-efficacy, emotional intelligence, satisfaction with education in their major, and academic achievement is deemed necessary.

대학생의 신체활동량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adjustment following physical activity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 김창환;송영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11-422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신체활동량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대학생 201명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사후검증으로는 Tukey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신체활동량에 따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중강도신체활동집단과 고강도신체활동집단이 저강도신체활동집단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신체활동량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은 고강도 신체활동집단이 중강도신체활동집단과 저강도신체활동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신체활동량,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의 경우 신체활동량과 전공만족도(일반만족), 대학생활적응(정서적응)에서 정적상관관계가 있고, 여학생의 경우 신체활동량과 대학생활적응(사회적응)에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신체활동량은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신체활동을 통해 대학생의 대학생활 관리를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