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athletics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생들의 메가 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의식변화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the Changes in Mega Sports Events)

  • 김경호;이재형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45-252
    • /
    • 2012
  • 본 연구는 메가 스포츠이벤트가 대구지역 대학생에게 미치는 의식변화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직 간접적으로 참여한 대학생 남, 여 228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통계자료 처리는 t-test 검정,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들 분석결과를 토대로 나타난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가열정 정도에 따른 관여도, 지각된 편익, 지각된 비용, 지지 지속성은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애착심에 따른 관여도, 지각된 편익, 지각된 비용,지지 지속성은 대학생들의 애착심과 관여도는 높지 않았으며, 경제적인 부분은 매우 민감하게 인식하였고, 향후 대회의지지 지속성은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개최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가경험 유 무에 따른 관여도, 지각된 편익, 지각된 비용, 지지 지속성은 참여 경험자 그룹이 비경험자 그룹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대사증후군과 비만 위험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 빅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A Meta-analysis of Influencing Mediator Athletics 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Factors : Utilizing Big Data Analysis)

  • 유옥경;차연수;진찬용;김도관;남수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3-146
    • /
    • 2015
  • 메타분석은 여러 실증연구의 정량적인 결과를 통합과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통계적 통합 방법이다. 우리나라 학술지에 게재된 대사증후군과 비만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들을 계량적으로 통합하고 검토해보기 위해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과 비만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통해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열거된 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된 연구들을 메타분석하기 위해 2000년-2015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만 여과하여 조건에 부합한 총 36편의 논문을 연구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허리둘레(복부비만) 사전사후 경로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r = .420)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큰 효과 크기는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사전사후 경로(r = -.402)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완기혈압 사전사후 경로가 가장 작은 효과크기(r = .234)인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 PDF

빅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Influencing Mediator Athletics on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Utilized Big Data Analysis)

  • 유옥경;차연수;진찬용;김도관;남수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590-2596
    • /
    • 2015
  • 메타분석은 여러 실증연구의 정량적인 결과를 통합과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조망할 기회를 제공하는 통계적 통합 방법이다. 우리나라 학술지에 게재된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들을 계량적으로 통합하고 검토해보기 위해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통해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열거된 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된 연구들을 메타분석 하기 위해 2000년-2015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36편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허리둘레 사전 사후 경로에서 가장 큰 효과 크기(r = .420)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큰 효과 크기는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사전 사후 경로(r = -.402)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완기 혈압 사전 사후 경로가 가장 작은효과 크기(r = .234)인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초등정규교육과정에서 STEAM을 위한 로봇활용교육 (Learning with a Robot for STEAM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 한정혜;박주현;조미헌;박일우;김진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83-492
    • /
    • 2011
  • 최근 과학예술융합교육(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and Mathematics; STEAM)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로봇활용교육도 좋은 대안으로 고려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초등 로봇활용교육은 방과후교실로 운영되고 있는데, 주로 과학과 로봇에 관심이 많은 남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초등학생들이 로봇을 활용하여 STEAM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게 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로봇활용의 범주를 5가지(추상적 이해형, 구조중심형, 운동중심형, 지능중심형, 가치지향형)로 나눈 후, 초등정규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모든 교과와 단원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단원에 대하여 정규수업시간 내에 수행이 가능한 로봇을 활용하는 교안을 개발하고, 5개월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로봇활용교육이 STEAM에 대한 흥미를 유의미하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가 더 두드러졌다. 이와 더불어서, 정규 수업에서 로봇활용교육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 당면하게 되는 문제점들에 대해 논하고, 향후 STEAM을 위한 로봇활용교육과 관련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연대별 아파트 단지 옥외공간의 변화와 주민인식비교 - 대전광역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 (Chronological Studies on Residents' Appreciation of Outdoor Space in Apartment Complexes and It's Changes - Case Study of Apartment Complexes in the Daejeon Metropolis -)

  • 김대현;박창석;박춘석;주신하;신지훈;변재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1-42
    • /
    • 2005
  • Much has been made of the changes over time to apartment complexes during the era of rapid development in Korea.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chronological changes since the 1970s in the laws and regulations governing outdoor space and the residents' appreciation of outdoor space in Daejeon's apartment complex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imilar changes can be found throughout Daejeon's apartment complexes. As time has passed, the building-to-land ratio and the floor-to-land ratio have deceased. The high density trend of apartment complexes has continued until very recently. 2. Although residents' satisfaction with outdoor space around apartments has improved, land for athletic and commercial spaces still remains at its lowest level. Therefore, these kinds of spaces need improvement. 3.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outdoor space in apartment complexes from the 1980s to present indicates that current apartment residents are much more satisfied with the outdoor space, but are conscious of the lack of adequat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handicapped people, and of the hiか density of their apartment complexes. Therefore, these essential consciousness should also be further improved. 4. The residents are gradually becoming aware of changes to the outdoor space that have occurred over time in the apartment complexes, such as in the areas allowed to parking, pedestrians, and athletics. 5. These chronological changes relate to the residents' interest in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to the outdoor space, especially the convenience of parking, the color of the buildings, the form of the buildings, and the shape of the roofs.

학교운동부 선수의 학습권보장제 진단과 발전과제 (Diagnosis of the Guarantee System of Right for Learning for Student Athletes in School Athletic Clubs and Development Strategy)

  • 이양구;홍희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75-48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체육 현장 속에서 운동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시도하고자 운영되고 있는 선진형 학교운동부 운영시스템을 바탕으로 본 제도가 적용하고 있는 상대적 최저학력 기준을 토대로 학생 운동선수들의 학력 수준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현 시대적 흐름과 융복합적 변화에 맞는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종목별 최저학력기준 적용과목 간 학업성적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one-way ANOVA와 MANOVA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목별 학생 운동선수들의 학업성적 평균 점수는 대부분 일반학생들이 나타내는 학업성적 평균 점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학생들과의 상대적 기준을 적용함에 있어서 학업성적이 높아질 때마다 학생 운동선수들은 최저학력 기준에 미도달 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셋째, 종목별 학생 운동선수들 간의 학업성적 평균 점수에 현 최저학력 기준을 단계적으로 적용시켜도 최저학력에 도달하는 비율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의 초경경험분석에 따른 국민학생을 위한 초경교육의 필요성 제기 (Analysis of Menarche Experience and Raising of Need of Menarche Education)

  • 김정은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22-243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ncrete and in-depth knowledge about menarche and to raise the need of menstrual edu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purposively sample 34 women from twenties to forties from April 27 to October 10, 1994. Semi-structured intensive interviews were done and these qualitative data were analysed with "Ethnograph"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experience of menarche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main groups, which were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 to menarche. The negative experiences were to be shameful, tearful, scared of the phenomena and thought as a kind of punishment for guilt or confused menarche with other symptoms of diseases. On the contrary, the positive experiences were to be proud of physical maturity and to think that is was wonderful, miraculous and to perceive it as a warm experience. 2. The experience of menarche wa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They were the knowledge about menstruation, the quality and amount of informations, the time of menarche,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response of significant others toward menarche. The experience of menarche could be positive or negative according to these factors. 3. The previous information sources about menstruation could be significant others, school education and mass-media. The significant others were mothers, sisters, friends and the person in charge of school sex education such as school nurses, home economics, military drill and athletics of teachers. And mass-media included sex education booklets, nursery tales, TV programs, and publicity activities of sanitary napkin companies. 4. The opinions of the subjects about the proper time of menarcheal education could be grossly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first was active approach toward children when they were in elementary school. The second was passive approach which postponed the time until the child ask about it, because it would be awkward for them to discuss about the topic. 5.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 ideal methods of menarche education would be systematic school education programs, open discussion with daughters, audio-visual teachings, or practical education in everyday life. 6. The contents of the menarche education based on the participants' opinions, would be positive details about meanings and functions of menstruation. And it would be desirable if the attitudes of the person in charge of education could be positive, open-hearted, and favorable toward menstruation.

  • PDF

체육영재 선발 및 육성을 위한 스포츠 심리학의 현장적용 사례 (Sport Psychological Application's Instance for the Kinesthetic Gifted Children's Selection and Upbringing)

  • 안정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440-450
    • /
    • 2010
  • 본 연구는 2009년 7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실시된 부산대학교 체육영재센터의 체육영재양성 사업에 참가한 스포츠심리 분야의 현장사례 연구이다. 부산대 체육영재센터는 부산 울산 경남의 초등학교 1,2,3 학년 중 남 여 구분없이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3차에 걸친 운동능력 검사와 운동적합률 검사를 통해 60명(육상:40명, 수영:10명, 체조: 10명)의 체육영재를 선발하여 운영하였다. 하계 및 동계 캠프와 매주 토요일을 활용하여 종목별 전문훈련을 진행하였다. 스포츠 심리학 분야에서는 몇 가지 실험적인 현장적용을 시도하였고,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들의 경우에는 보충설명을 제공하면 검사지를 통한 심리측정이 가능하고, 3학년의 경우는 추가 설명이 없어도 충분히 실시할 수 있었다. 둘째, 다중지능검사는 체육영재들의 지능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유용하며, 심리상담 기초자료로써 효휼성이 높았다. 셋째, 체육영재들의 성격은 대체로 외향적이면서 직관과 감정을 선호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넷째, FAIR 집중력 검사에서는 사후 측정 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제시되어, 체육영재 프로그램이 주의 집중력을 높이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다섯째, 자체 개발한 체육과제 집착력 검사지와 체육활동 자기관리 검사지는 추가적인 타당도와 신뢰도 검사과정을 거친다면 공식적인 심리측정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퍼블리시티권의 양도성과 상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ienation and Inheritance of the Right of Publicity)

  • 권상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2-536
    • /
    • 2009
  • 오늘날 연예 스포츠 및 광고산업이 급격하게 발달하면서 유명인의 성명 초상 등을 광고에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유명인의 성명 초상 등을 이용한 상품의 선전이나 광고는 높은 상품선전력, 고객흡인력 및 상품구매력을 가지게 되었다. 이처럼 개인의 성명 초상 등에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징표인 인격적 가치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재산적 가치가 혼재되어 있다. 그러나 광고업자 등이 유명인들의 성명 초상 등을 허락 없이 또는 그 계약범위를 넘어 이용함으로써 당사자는 정신적인 고통을 받음과 동시에 경제적인 손해를 보게 되어 법적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한류열풍으로 인한 저작권산업의 시장이 커져 가고는 있지만, 한류스타들의 법적 보호장치 없이 앞으로도 계속해서 그들의 성명, 사진들이 도용되는 것을 방치한다면 한류는 지속될 수 없다. 한류의 끝임 없는 공급을 위한다면 연예인, 스포츠 스타들이 성명, 초상 등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인 퍼블리시티권의 법제화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논의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퍼블리시티권의 양도성과 상속성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한국의 국제스포츠 행사에 대한 대 테러 전략 (The Counter-Terrorism Measures for International Sports Events in Korea)

  • 박동균
    • 시큐리티연구
    • /
    • 제22호
    • /
    • pp.65-90
    • /
    • 2010
  • 세계사적인 측면에서 볼 때, 국가마다 위기상황은 존재하게 마련이다. 이와 같이 국가가 경험하게 되는 각종 위기 상황은 대부분이 전쟁과 관련된 것들이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국가(정부)가 관심을 기울여야 할 위기의 영역이 다양해지고 또한 폭이 넓어졌다. 즉 탈냉전이후 국가가 대비하고, 관리해야 할 위기의 근원과 위협요인들이 급증하기 시작한 것이다. 국제정치의 현재 패러다임으로 볼 때, 세계대전의 위험성은 줄었지만 지역차원의 무장분쟁이나 갈등사례는 오히려 증가했다. 특히 테러는 이제 전쟁 이상의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고, 또한 많은 국가에서 여러 형태의 테러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 올림픽이나 월드컵 등 각종 국제스포츠 행사들이 전세계인들의 주목을 받아가며 개최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국제 스포츠 행사를 개최하고 있는 개최국들은 빈발하고 있는 국제 테러 및 안전사고 등에 대비하여 참가인원, 시설, 행사 및 경기에 대한 안전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 이는 대회 기간 중에 국제테러, 안전사고 등 위기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대회 자체가 실패한 대회로 평가받는 것은 물론 개최국가의 국제 신뢰도 저하가 필연적으로 수반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최근 세계화 시대에 다양하게 개최되고 있는 각종 국제스포츠 행사에 대한 테러대응 사례를 분석하여 안전관리 대책을 제시하였다. 즉, 향후 동북아 세계의 중심국가로서의 각종 국제스포츠 행사시 민간경비 경호 업체가 경찰력이나 공안기관과의 협조를 이루어 보다 완벽한 경호경비 대테러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 제시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한국은 86 아시안게임, 88 올림픽, 2002 월드컵 등 다양한 국제스포츠 행사를 주최한 경험이 있다. 또한 앞으로 2011년 대구국제육상경기대회, 인천 아시안게임 등 전세계인들이 주목하는 국제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행사준비는 국가적인 차원에서만 대응해서는 안 된다. 모든 국민들이 언제, 어디서도 테러의 목표물이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서 이에 대비한다면 테러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