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unter-Terrorism Measures for International Sports Events in Korea

한국의 국제스포츠 행사에 대한 대 테러 전략

  • Received : 2010.01.07
  • Accepted : 2010.03.22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Recently, alarmed by the frequent international terrorism or safety accidents, the host countries of world sports events are focusing on security activities for the sake of the participants, facilities, events and competitions. They are alarmed because in case any happenings like international terrorism or safety accident, the contest itself can be criticized to be a failure as much as the international reliability of the host nation may well crash. We can see that any failure in coping with terrorism or safety matters can lead to a nation-wise crisis in the case of Indonesia where the October 12th of 2002 terrorist bomb attack in Bali damaged the image of the nation followed by the similar case in Philippine (Oct. 20th, 2002) where the same terrorist attack dramatically scared away the tourists to the nation. Korea is scheduled to hold the World Championship in Athletics in Daegu Metropolitan City in 2011. Also, it is slated to host various world sports events such as Yeosu International Exposition and Incheon Asian Games. In these contexts, this study analyzes counter-terrorism cases related with the recent international sports events that have been organized in a variety of manner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is study aims to show alternatives for the safety management in these events. In other words, it is focusing on giving directions to the safety policies of the nation -which may become the future hub of north-east Asia and the world - for more perfect guard and defense, and counter-terrorism activities in all the conferences, sports events and international festivals where any private defense and guard companies are allowed to cooperate with the police force or public security agencies.

세계사적인 측면에서 볼 때, 국가마다 위기상황은 존재하게 마련이다. 이와 같이 국가가 경험하게 되는 각종 위기 상황은 대부분이 전쟁과 관련된 것들이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국가(정부)가 관심을 기울여야 할 위기의 영역이 다양해지고 또한 폭이 넓어졌다. 즉 탈냉전이후 국가가 대비하고, 관리해야 할 위기의 근원과 위협요인들이 급증하기 시작한 것이다. 국제정치의 현재 패러다임으로 볼 때, 세계대전의 위험성은 줄었지만 지역차원의 무장분쟁이나 갈등사례는 오히려 증가했다. 특히 테러는 이제 전쟁 이상의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고, 또한 많은 국가에서 여러 형태의 테러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 올림픽이나 월드컵 등 각종 국제스포츠 행사들이 전세계인들의 주목을 받아가며 개최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국제 스포츠 행사를 개최하고 있는 개최국들은 빈발하고 있는 국제 테러 및 안전사고 등에 대비하여 참가인원, 시설, 행사 및 경기에 대한 안전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 이는 대회 기간 중에 국제테러, 안전사고 등 위기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대회 자체가 실패한 대회로 평가받는 것은 물론 개최국가의 국제 신뢰도 저하가 필연적으로 수반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최근 세계화 시대에 다양하게 개최되고 있는 각종 국제스포츠 행사에 대한 테러대응 사례를 분석하여 안전관리 대책을 제시하였다. 즉, 향후 동북아 세계의 중심국가로서의 각종 국제스포츠 행사시 민간경비 경호 업체가 경찰력이나 공안기관과의 협조를 이루어 보다 완벽한 경호경비 대테러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 제시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한국은 86 아시안게임, 88 올림픽, 2002 월드컵 등 다양한 국제스포츠 행사를 주최한 경험이 있다. 또한 앞으로 2011년 대구국제육상경기대회, 인천 아시안게임 등 전세계인들이 주목하는 국제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행사준비는 국가적인 차원에서만 대응해서는 안 된다. 모든 국민들이 언제, 어디서도 테러의 목표물이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서 이에 대비한다면 테러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