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standing of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9초

수리논술형 문제에 대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정당화 과정 분석 (An Analysis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Mathematical Justification of Mathematical Essay Problems of 5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김영숙;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2호
    • /
    • pp.149-167
    • /
    • 2009
  •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problem-solving ability of fifth graders on two types of mathematical essay problems, and to analyze the process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in solving the essay problem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4 mathematical essay problems were developed, in which half of the items were single tasks and the other half were data-provided tasks. Sixteen students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s in mathematics and the Korean language were chosen, and were given to solve the mathematical essay problems individually. They then were asked to justify their solution methods in groups of 4 and to reach a consensus through negotiation among group members. Students were good at understanding the given single tasks but they often revealed lack of logical thinking and representation. They also tended to use everyday language rather than mathematical language in explaining their solution processes. Some students experience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data in the essay problems. With regard to mathematical justification, students employed more internal justification by experience or mathematical logic than external justification by authority. Given this, this paper includes implications for teachers on how they need to teach mathematics in order to foster students' log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 PDF

수학교육에서 글쓰기의 중요성에 관한 소고 (An Overview on Importance of Writing in Mathematics Education)

  • 김정현;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591-614
    • /
    • 2023
  • 오래전부터 NCTM(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과 같은 수학교육기관에서 글쓰기는 필수적인 부분으로 언급해 왔다. 그리고 최근 교육부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 시대 이후 기초학력 저하의 심각성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수학 쓰기를 재정의하고, 현재 수학교육에서 제시되는 역량 중 과거부터 언급해 온 문제해결, 의사소통, 추론 영역을 중심으로 글쓰기의 역할과 그 중요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문제해결에서의 글쓰기는 인지적인 부분을 정리함으로써 개념과 방법을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고, 의사소통에서의 글쓰기는 재인지 과정을 통해 자신감을 가질 수 있으며, 추론에서의 글쓰기는 단계적으로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를 스스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AI를 활용하는 미래 사회에서 수업 환경이 달라지는 만큼 쓰기를 통한 진위성 판단이나 올바른 쓰기 문화 정착을 위해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래핑 계산기를 활용한 삼각함수 학습 효과: 질적 연구 방법에 의한 학습과정분석 (The effect of a graphing caculator in trigonomatry : Analysis of thinking processes by gualitative research method)

  • 고상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2호
    • /
    • pp.483-512
    • /
    • 1999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and behavior and describe the nature of difficulties the student underwent in trigonometry as the student conducted independent explorations within the interactive technology environment. Also, the research identified the connections among multiple representations and merits and shortcomings in using a graphic calculator as a tool. A take-based clinical interview procedure as the method for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to find the cognitive actions of the participant and his interactions with the graphic calculator. A case study report was written for the student.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student moved from operative stage, to constructive stage, to applicable stage of thinking. From Colgan; Graphing has significance both to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in at least three ways since: * graphing represents an important technique, instrument and process in mathematics; * through ‘graphing’, per se, students can be said to be using one symbolic system to extend and acquire an understanding of another(e. g., trigonometric functions and their graphs). * graphing is propaedeutic to other, more advanced topics and concepts in mathematics.

  • PDF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 내용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Contents on Statistic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2009 Mathematic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 박영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3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통계 관련 내용을 알아보고, 수학 교과서에서 교육과정의 규준을 어떻게 구현하였는가를 알아보았다. 세부적으로 학년별 지도 내용과 세부 내용 제시 순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평균이 적절하게 도입되었는지, 학생들이 실생활 자료를 수집하는 활동이 교과서에 어느 정도 제시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현행 교과서를 분석하는 한 기준으로 삼아 알아보았다. 특히 Cursio가 제안한 통계그래프의 이해수준에 따라서 교과서의 질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의 내용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초등수학영재의 분수 나눗셈의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derstanding of Fraction Division of Elementary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 김영아;김동화;노지화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2권4호
    • /
    • pp.565-58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fraction division and fraction division algorithm of elementary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through the process of problem posing and solving activities. For this goal, students were asked to pose more than two real-world problems with respect to the fraction division of ${\frac{3}{4}}{\div}{\frac{2}{3}}$, and to explain the validity of the operation ${\frac{3}{4}}{\div}{\frac{2}{3}}={\frac{3}{4}}{\times}{\frac{3}{2}}$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posed problems. As the results, although the gifted students posed more word problems in the 'inverse of multiplication' and 'inverse of a cartesian product' situations compared to the general students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the previous researches, most of them also preferred to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fractional division in the 'measurement division' situation. Handling the fractional division by converting it into the division of natural numbers through reduction to a common denominator in the 'measurement division', they showed the poo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multiplication by the reciprocal of divisor in the fraction division algorithm. So we suggest following: First, instruction on fraction division based on various problem situations is necessary. Second, eliciting fractional division algorithm in partitive division situation is strongly recommended for helping students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reciprocal of divisor. Third,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real-world problem posing tasks into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for fostering mathematical creativity as well as problem solving ability.

초등예비교사의 '어림하기' 이해에 대한 고찰 (A Study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Estimation')

  • 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3권2호
    • /
    • pp.177-19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understanding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estimation'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ogether with this analysis, we identif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MPCK), especially focusing to Subject Matter Knowledge(SMK). In order to this goals, we investigate contents relating to 'estimation' from $1^{st}$ curriculum to 2009 revised curriculum and compare 'rounding up', 'rounding off', 'rounding'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s results of investigations, 'estimation' has been teaching at the 'Measurement' domain from $3^{rd}$ curriculum, but contexts of measuring weaken from $7^{th}$ curriculum. 'Rounding up(off)' is defined three types in the textbooks from $1^{st}$ to 2009 revised curriculum. And we examin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 questions on these 'estimation' contents. On th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relating MPCK, four themes is summarized as followings; the understanding of '0' in the 'rounding up', the cognitive gap between 'rounding up' and 'rounding off', the difference of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ccording to types of question in the 'rounding 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finition of 'rounding up' and the definition of 'rounding'.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수학 수업지도안에 대한 시선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Gaze Difference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on Mathematics Lesson Plan)

  • 손태권;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1-2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와 경력교사가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시선 추적(Eye-track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두 그룹의 시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예비 교사들은 수학 수업지도안을 경력교사에 비해 어렵게 느끼고 있었으며 선조적인 방식으로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였다. 반면, 경력교사들은 수학 수업지도안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핵심 주제어들을 찾아 연결성을 만들어가는 하이퍼텍스트 읽기 전략을 활용하였으며 수학 수업모형의 핵심 영역을 방문하는 시간이 유의미하게 길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는 역량을 지도할 때 숙고해야할 여러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분수의 단위와 전체에 관한 수학 교과서의 내용 고찰 및 초등학생의 이해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Contents and 3rd Graders' Understanding on Unit and Whole of Fractions)

  • 임미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3호
    • /
    • pp.117-134
    • /
    • 2020
  • 현행 교육과정에 기초할 때 학생들은 3학년 시기에 분수 개념을 처음 학습하게 된다. 이때 전체-부분 관계로서의 분수로 도입되지만, 이후 가분수, 대분수 등으로 분수의 아이디어가 확장되면서 측정으로서의 분수가 자연스럽게 출현한다. 분수의 여러 의미 중 전체-부분 관계로서의 분수, 측정으로서의 분수가 혼재하는 상황에서 학생들이 분수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분수 지도 시 주어진 분수의 단위와 전체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파악하는 경험을 적절히 제공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수의 단위와 전체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내용을 고찰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교과서에 새롭게 도입된 '부분을 보고 전체 그리기'에 대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 60명의 이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른 논의로부터 분수 개념 지도를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초등수학영재의 곱셈 상황에 따른 개념 이해 분석 (An Analysis on Understanding of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Mathematics about Situations and Concepts of Multiplication)

  • 김영아;김성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83-309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수학영재를 대상으로 곱셈의 문제 상황에 따른 곱셈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를 분석한 것으로, 초등수학영재의 수학적 개념 지도와 나아가 초등수학에서의 곱셈 개념을 지도하는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곱셈의 도입과 관련된 초등수학의 내용을 교육과정별로 분석하여 학생들이 초등수학에서 곱셈의 개념을 어떻게 학습하고 있는지를 먼저 살펴보았다. 또한 곱셈의 문제 상황과 그 개념에 대한 초등수학영재의 이해를 알아보기 위해 B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초등수학반 영재사사과정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곱셈에서의 문장제 설정의 과정을 포함하는 검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배 개념을 중심으로 곱셈을 학습했음에도 불구하고 배 개념보다는 동수누가의 곱셈 상황을 제시하는데 보다 익숙했으며, 개념 이해에서 곱셈을 동수누가로만 이해하고 있는 학생의 비율 또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초등수학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기본적인 연산 개념에 대한 지도 방법을 재검토해볼 필요가 있으며, 곱셈 개념 지도에서 다양한 곱셈의 문제 상황을 통해 학생들이 곱셈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요구된다.

수학 교육에서 ‘증명의 의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Proof in Mathematics Education)

  • 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7권1호
    • /
    • pp.73-8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meaning of proof and to suggest a teaching method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based on three levels identified by Kunimune as follows: Level I to think that experimental method is enough for justifying proof, Level II to think that deductive method is necessary for justifying proof, Level III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deductive system.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ly 13% of 8th graders and 22% of 9th graders are on level II. Second, although about 50% students understand the meaning of hypothesis, conclusion, and proof, they can't understand the necessity of deductive proof. This conclusion implies that the necessity of deductive proof needs to be taught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One of the teaching methods on the necessity of proof is to compare the nature of experimental method and deductive proof method by providing their weak and strong points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