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load management

검색결과 415건 처리시간 0.024초

통합환경허가시스템의 활용도 제고 및 개선방향 (Enhancing the Applicability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Integrated Environmental Permit System)

  • 박재홍;신수정;이대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39-345
    • /
    • 2018
  •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permit system is currently in operation online. It carries out various functions of postmanagement such as the submission of annual reports containing operations management data onto integrated management workplaces,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emission facilities and prevention facilities, and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on the integrated permission. On the other hand,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permit system needs to perform various roles in order to stably manage and smoothly perform the permitting work.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is system to establish policies by using diverse operations management data onto integrated management workplaces collected in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permit system. This system can also play a role in improving the post-management system and user convenience after the permission review and approval processes.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permit system can be effectively used to set up the BAT-AEL because it collects all of the cross-media data and identifies the overall status of the workplace. In order to establish a post management system after the approval, it is necessary to provide performance manage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functions as conditions of the permit after approval. In addition, a variety of support functions should be provided to enable the permission authority and the environmental expert examination agency to facilitate the review of permits.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an evaluation system and a proactive diagnostic function to determine whether permission conditions and permit emission standards will change in the future. Also, it is important to adopt an information exchange platform that can be used to collect the status data onto the workplaces; the platform can also be used as an information exchange site for technical working groups (TWG), and for collecting field experts' opinions.

식재기반을 담는 RDT 거더교의 구조성능 검증 (Structural Performance Verification of RDT Girder Bridge Feasible to Fill with Planting Ground)

  • 하태열;한종욱;양인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219-2228
    • /
    • 2015
  • RDT(Reversed Double T) 거더교는 생태교 맞춤형으로 개발된 PSC 교량 형식이다. 모음 ㅛ형상과 유사한 단면형상이 가장 큰 특징이며 거더 내부 공간에 흙을 담을 수 있어 상부 구조 전체 높이를 획기적으로 낮추고 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하여 생태교로써 적용이 활발할 것으로 기대되는 공법이다. 새로 제안된 RDT 거더교의 실적용을 위해서는 공용 중 안전성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RDT 거더교의 실물모형 실험체를 설계 및 제작하여 정적재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와 변형률적합법을 이용한 비선형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거동을 평가하고 구조성능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RDT 거더교는 사용하중의 2배 이상 균열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우수한 휨 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질오염총량관리에 따른 청주시 오염부하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lculation of Pollution Load of Cheongju in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Plan)

  • 이상길;권준희;배명순;하성룡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7-112
    • /
    • 2008
  • 수질오염총량관리제는 오염원에 대한 농도규제 방식에서 탈피하여 수계전체의 환경용량을 감안하여 원하는 목표수질을 유지하기 위해 허용할 수 있는 오염총량을 해당 배수구역에 할당하고 초과량은 적정수준으로 삭감토록 하는 광범위한 유역관리 기반의 수질정책이다. 금강수계에서는 1차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2004{\sim}2010$)하에 시행계획 및 이행평가가 진행 중에 있으나, 시행초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제도정착을 위한 현안 문제점들이 제기되어 왔다. 지자체간 갈등을 줄이고 지역균형발전과 광역적 수질관리정책을 합리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기되어온 문제점들이 해결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오염배출부하량 산정을 위하여 2007년 청주시의 모든 동단위 오염원자료를 구축하고 오염부하량을 배출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강우배출특성을 적용하기 위하여 하수 발생유량 실측자료와 오염원자료에 반영된 자료를 기초로 산정한 하수발생유량을 비교분석 하였다. 청주시 지역의 강우배출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오염부하량을 산정함으로써 현상을 보다 정확히 반영하여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상의 실용적인 오염부하량 산정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1차원 수질 예측 모형의 검보정 자동화 시스템 개발 및 낙동강에서의 적용 (Development of 1-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 Automatizing Calibration-Correction and Application in Nakdong River)

  • 손아롱;한건연;박경옥;김병현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5호
    • /
    • pp.765-777
    • /
    • 2011
  • According to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exact prediction and analysis of water quality and discharge has been required in order to allocate the amount of pollution load to each local government. In this study, QUAL2E model was used for comparison with other water quality models and improve the inadequate to forecast future water quality. And Various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deal with existing uncertainties of parameter during modeling water quality. For user convenience, A GUI(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named "QL2-XP" model is developed by object-oriented language for the user convenience and practical usage. Suggested GUI system consist of hydraulic analysis, water quality analysis, optimized model calibration processes, and postprocessing the simulation results. Therefore this model will be effectively utilized to manage practical and efficient water quality.

처리기술 수준에 근거한 배출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BAT 도입 연구 (Assessment of the Best Available Technology to Establish the Industrial Wastewater Effluent Limitations Guidelines)

  • 임병진;권오상;김영노
    • 생태와환경
    • /
    • 제38권3호통권113호
    • /
    • pp.281-288
    • /
    • 2005
  • 폐수배출시설별 BAT 평가제도는 폐수특성을 고려한 배출시설별 배출허용기준 설정, 오염총량관리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에 따른 오염부하삭감 가능량 산정, 신규오염물질에 대한 배출허용기준 산정 등 효율적인 산업폐수관리를 위해서 도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사례와 국내 폐수배출시설들의 현황 등을 조사하여 국내여건에 적합한 BAT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평가절차의 핵심은 폐수배출시설별 처리시설에 대한 환경인자, 경제적 수용가능성, 기술적 인자 및 경제성 등을 객관성 있고 전문적인 판단이 가능토록 한데 있다. 본 BAT 평가방안은 처리수준에 근거한 폐수배출시설별 배출허용기준마련 및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신규오염물질 및 유해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 마련 등 정책적${\cdot}$법적 제도개선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환경관리해역의 이용개발현황과 수질변화경향 및 영향평가 개선방안 (Diagnosis of Development Projects and Water Quality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ea Areas and Improvement of Impact Assessment)

  • 전은주;이용민;이대인;김귀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26-734
    • /
    • 2018
  • 최근 3년간 검토된 환경관리해역에서 이루어진 해역이용협의 건수는 총 60건으로 조사되었다. 환경보전해역에서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특별관리해역에서는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환경관리해역의 개별사업유형을 분석한 결과 인공구조물 설치사업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외 항만 어항개발, 연안정비 및 해수 인 배수사업유형이 많이 이루어졌다. 환경관리해역에서 국가해양환경정보통합시스템(MEIS) 자료를 활용하여 2006~2017년까지 경년별 수질변화경향을 비교한 결과, COD는 뚜렷한 증감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환경보전지역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TN과 TP의 농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별관리해역인 광양만과 마산만 및 환경보전해역인 가막만에서는 주로 하계에 빈산소수괴가 출현하였다. 이러한 환경관리해역에서의 이용 개발행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해양환경부문 환경영향평가(해역이용협의)시에는 충분한 수질변화에 대한 실태분석 및 사업추진에 따른 수질영향과 퇴적물의 오염상태를 철저히 진단해서 오염원관리에 대한 대책이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각 환경관리해역의 지정 목적에 따른 유지 수질목표를 명확히 설정하여, 오염원 및 연안오염총량관리와 연계하여 오염 부하량 저감대책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친환경 리조트 개발사업을 위한 비점오염원관리: 비점저감시설을 통한 오염물질 삭감량 산정 (NPS Control in Environment-kindly Resort Development: Determination of NPS Loading Rates by BMPs)

  • 이은주;정용준;이소영;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20
    • /
    • 2007
  • 환경부에서 국내 4대강에 도입한 수질오염총량관리제는 점오염원뿐만 아니라 비점오염원의 관리를 통해 주요 상수원수인 4대강의 수질을 개선하고자 함이다. 비점오염원의 주요 근원은 토지이용이며, 개발사업은 토지이용의 변화를 의미하고 비점오염물질의 유출 증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수질 오염총량관리제가 도입되어 개발할당량이 주어져 있는 한강수계의 리조트 개발사업에서 개발계획에 따른 토지이용의 변화와 더불어 유출이 증가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양을 산정함으로써 효율적인 비점오염원 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발사업 전후의 토지이용에 따른 비점오염물질의 발생 및 배출부하량 변화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비점오염물질 유출 관리가 요구되는 토지이용을 선정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이용하여 적정 비점오염물질 관리방안(최적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한다.

  • PDF

리조트 개발사업에서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부하량 변동 산정 (Changes of NPS Loading Rates by Landuse Changes in Resort Development)

  • 정용준;이은주;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3-31
    • /
    • 2006
  • 환경부에서 국내 4대강에 도입한 수질오염총량관리제는 점오염원뿐만 아니라 비점오염원의 관리를 통해 주요 상수원수인 4대강의 수질을 개선하고자 함dl다. 비점오염원의 주요 근원은 토지이용이며, 개발사업은 토지이용의 변화를 의미하고 비점오염물질의 유출 증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가 도입되어 있는 한강수계의 리조트 개발사업에서 개발계획에 따른 토지이용의 변화와 더불어 유출이 증가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양을 추정함으로써 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발사업 전후의 토지이용에 따른 비점오염물질의 발생 및 배출 부하량 변화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비점오염물질 유출 관리가 요구되는 토지이용을 선정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이용하여 적정 비점오염물질 관리방안(최적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 PDF

통합환경관리제도 시행의 의의와 발전방향 (Significance and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

  • 박재홍;김용석;이원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18-324
    • /
    • 2016
  • The significance of an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sections. The first is that the paradigm of a permit system will be changed from the existing media-specific permits to cross-media permits. In the near future, the cross-media license will be granted based on the diagnostic results of the plant. The second is that it will be established through a social concensus, i.e., consultations with stakeholders and direct participation in the system design process of stakeholders. The third is that it will have flexibility in its operating system. In the near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management an environment through its industrial workplace itself and determine if emission standards are being complied with or not through statistical methods. In addition there is also an urgent need for complementary parts in order to enhance the driving force of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which is based on transparency, reliability and flexibility.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romote in order to diffuse consensus and increase an understanding of implementation through an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organization and educate authorized representatives so that they have the tools to smoothly perform the system.

조리종사자의 손 씻기 의식과 실천 및 손의 지표미생물 오염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nd Washing Awareness and Practices of Food-service Employees and the Load of Index Microorganisms on the Hands)

  • 박정영;김중순;김종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5-107
    • /
    • 2010
  • Hand-washing is one of the major factors in personal hygiene and public health.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hygienic behavior of food-service employees, focusing on awareness of hand washing, hand washing practices, and the load of index microorganisms (aerobic plate count, total and fecal coliforms,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on the hands of food-service employees. A questionnaire survey completed by direct interview, direct observation of restrooms by the researcher and trained observers, and microbiologic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Food Code of Korea were carried out. In the survey, a positive attitude toward hand washing compliance was reported; however, improper hand washing and poor hand hygiene of the food-service employees were seen under direct observ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were found between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direct observations in hand washing compliance after using the toilet, duration of hand washing, use of hand washing agents, use of hand washing tools, washing of different parts of the hands, hand-drying method, temperature of water, and method of turning off the water. Samples taken from employees' hands before washing showed higher levels of bacteria than those taken during work and/or after washing (p<0.05). Poor hand washing practices were indicated by the positive results for total and fecal coliforms, E. coli, and S. aureus on the hands of some food-service employees.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marked difference between the food-service employees' awareness of hand-washing and their actual hand-washing practices. The poor hand hygiene of and improper hand washing by the food-service employees should be addressed for improved food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