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teaching-learning model

검색결과 1,124건 처리시간 0.027초

토의 중심 교수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Discussion-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1-1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하여 토의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토의중심 교수학습 모형 초안을 구안하고 전문가의 타당성 검증을 통해 모형을 최종 완성하였다. 도출된 최종안으로 수업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여 최종안을 수정 보완하였다. 토의중심 교수학습 모형 초안과 비교해 볼 때 최종 모형은 직소 토의를 제외하고 텍스트 읽기 강조, 질문 방법, 질문생성 전략에 중점을 둔 모형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토의중심 교수학습 모형은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수자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토의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제언으로 첫째, 토의 시 경청과 존중의 자세가 필요하며, 둘째, 토의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어떻게 끌어낼 것인가? 방안을 생각해야 하며, 셋째, 토의 시간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직접 교수 모형에 기반한 체육과 ICT활용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C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Physical Education based on Direct Instruction Model.)

  • 김종희;이재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97-406
    • /
    • 2005
  • 본 연구는 직접교수학습 모형에 기반한 체육과 ICT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교수 학습에서의 효율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체육 교과는 교사의 시범 및 피드백이 필요하고, 기상 조건 등으로 인하여 수업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리고 실제 학습에서의 학습 모형의 적용이 미비한 상황이다. 이러한 경우에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활용한다면 전문가의 시범을 대치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은 개별적, 적응적 피드백을 제공받고, 자신의 학습 속도에 맞도록 느린 동작, 구분 동작 학습, 반복 학습이 가능하다. 그리고 교사들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공유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육과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직접 교수 모형을 ICT 활용 수업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절차적 모형으로 각 단계를 정의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5학년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전문대학 u-러닝모델 개발을 위한 핵심 고려요소에 대한 고찰 (Core Factor In u-Learning Model Design For Junior College)

  • 박종만;엄태원;길상철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1-165
    • /
    • 2011
  • Recently building up of u-learning 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has been expanded rapidly, However domestic junior college's challenging for adapting it might be slower than other educational body's doing, and in that result it might be paid more or be taken longer time to improve their old system effectively. Now, it is very time for them to develop and implement u-learning 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quickly. This paper offers and draws the core factors to design ubiquitou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systematically through investigation of worldwide recent technology and R&D, patent, service and standardization tendency related with u-learnig modeling.

공학교육에서의 팀티칭기반 융합프로젝트중심 교수학습모형의 개발 (Teaching-Learning Model of Convergence Project Based on Team Teaching in Engineering Education)

  • 박경선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11-2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of convergence project based on team teaching. Based on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which explored a university case, the teaching-learning model was developed including three phases such as preparati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 evaluation. The preparation phase has three steps as follows: to organize team teaching faculty; to develop convergence projects cooperated by industry and university; and to design instructions based on supporting convergence projects. The last step of preparation phase consists of five design activities of: (1) instructions and teaching contents; (2) communication channel among faculty members; (3) feedback system on students' performance; (4) tools to support learners' activity; and (5) evaluation system. The planning phase has two steps to analyze learners and to introduce and modify instruction and themes of convergence projects. The implementation & evaluation phase includes five steps as bellow: (1) to organize project teams and match teams with faculty members; (2) to do team building and assign duties to students of a team; (3) to provide instruction and consulting to teams; (4) to help teams to conduct projects through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5) to design mid-term/final presentation and evaluation. Lastly, the researc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for future studies.

마인크래프트 플랫폼을 이용한 소프트웨어교육 교수학습 모형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 Model for SW Education using the Minecraft Platform)

  • 이명숙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19-128
    • /
    • 2019
  • Minecraft game is a sandboxed game based on a high degree of users' freedom; the game encourages its users to recreate various play patterns to increase their immersion. Although recently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use Minecraft game techniques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s but still not well adapted due to being applications-based techniques. In this paper, we present a teaching model that utilizes the same concept of the Minecraft games in where learners customize the class concepts based on their needs. Moreover, Minecraft-based learning games attempt to be used for learner-led, creativity and programming instruction, to overcome these use-cases limitations, by our study we aim to include the Minecraft-based learning games in class teaching activities, theoretical and practical lessons. In this way, we intend to increase interest in programming lessons, and to increase immersion as another way of game learning. In the future, we attempt to measure various effects of the uses of Minecraft-game-based teaching in programming classes compare to the traditionally used methods.

제 4차 산업혁명시대의 공과대 여학생 역량분석을 반영한 교수법 모델 (A Pedagogical Model Reflecting on Competency Analysis of of the Female Engineering Student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백란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57-6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el based on the capacity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measure the learning ability of female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we used various tools to derive core competencies. The competency element of human resources implementation, the element of learning achievement area in the undergraduate education actual condition survey, and the analysis of the learning achievement elements of the engineering certification program were analyzed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was searched to find ways to increase the competence of female students. In addition, we developed a model that can apply the development of pedagogy in the curriculum to the liberal arts, majors, and comparative courses, and presented the internship in field experience area, the improvement of on the spot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and guidance to enhance the female students' competence. Also, as a case study of the proposed teaching method, new curriculum of 'Understanding of Big Data' which is the basi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6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educ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very positive, and we can expect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education model to enhance the learning ability and capacity of female students.

과학과교육 강의에서 예비 초등교사들의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과 과학 교수효능감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Regards to the Learning Environment in Science Education Courses an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 전경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8-14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the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focus/ability-meritocracy/cooperative climate) and achievement goals (mastery/performance-approach/performance-avoidance) in science education courses jointly contributed to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A path analysis supported a causal model in which the perception of the learning focus influenced the mastery goal, which in turn influenced the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The perception of learning focus also had a direct effect on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The perception of ability-meritocracy influenced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via the performance-approach (positively) or, conversely,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negatively). No link .was deduced from the perception of cooperative climat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 PDF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 이은주;이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2호
    • /
    • pp.135-145
    • /
    • 2011
  • 우리나라의 2007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수학과 교육 목표의 중요한 부분으로 설정하고 있다. 수학적 의사소통은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 과정을 재정립하고,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면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데 중요한 수단이 된다. 이 논문에서는 수학 교실에서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수학적 의사소통 모형을 개발하고, 개발된 의사소통 모형에 따른 수업과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에서 지식의 형성 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모형에 따른 수업에서는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에 비해 자신의 문제 해결 방법을 모둠원들과 의사소통을 통해 상호 비교하고, 자신의 의견을 수정하여 가장 적절한 해결 방법을 찾고 합의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주관적 지식을 객관적 지식으로 구성해 나갔다.

A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Development for Engineering Education

  • 권성호;신동욱;강경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3호
    • /
    • pp.118-128
    • /
    • 2009
  • 본 연구는 차세대 공학인재의 사고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차세대 공학인재가 필요로 하는 사고와 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을 검토하고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공학 교육, 특히 핵심소재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개념적 교수학습 모델로 테크놀로지의 지원을 통한 과학적 탐구와 창조적 활동을 강조한 SICAT(Scientific Inquiry and Creative Activity with Technology) 모델을 개발하였다. SICAT 모델은 교수 학습 목표에 따라 수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ARDA, CoCD, ReSh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SICAT 교수 학습 모델에 대한 교수자를 위한 가이드북을 개발, 제공하였다. 앞으로, 개발된 모델의 교실 현장 적용과 효과성 분석을 통해 모델의 타당성을 공고히 하고 지속적으로 공학교육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 모형의 효과 분석 (Effects of Concept Change Teaching MSeoung-HeyPaikodel Consider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s)

  • 백성혜;김혜경;채우기;권균;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05-314
    • /
    • 1999
  • 선행연구에서 조사한 화학 변화에 대한 학습자의 선개념과 이를 근거로 개발한 개념변화 수업 지도안 및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 지도안을 학생들에게 투입하였을 때, 학습자의 학습 동기에 따라 개념변화 수업 모형의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의 흥미나 태도, 동기 등 정의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만 초점을 맞춘 기존의 개념변화 수업 모형틀을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을 구분하고 수업 전 학습 동기를 조사하였다. 그 후에 '화학 변화' 단원을 전통적인 수업과 개념변화 수업으로 지도하고 사후 학습 동기를 조사하였다. 학습동기를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을 받은 집단, 학습자의 인지만을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을 받은 집단, 그리고 교과서에 의존한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집단 모두 수업을 받은 후에 학습 동기가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은 학습자의 인지만을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이나 교과서에 의존한 전통적인 수업보다 학습 동기의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수업을 받기 전에 학습 동기가 낮았던 학생들에게 더욱 크게 나타났다. 수업에 따른 개념의 이해도 증진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세 종류의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모두 수업 후에 개념의 이해도가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학습동기를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 집단과 학습자의 인지만을 고려한 개념 변화 수업 집단이 교과서에 의존한 전통적인 수업 집단(통제 집단)보다 사후 개념 이해도가 높았다. 특히 수업 전 학습동기가 높았던 학생들은 학습 동기를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을 받았을 경우 교과서 중심의 전통적인 수업을 받았을 경우보다 개념의 이해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 전 학습동기가 낮았던 학생들의 경우에는 학습 동기를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을 받음으로써 학습동기가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