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lass of home economics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25초

진로 교육 자료의 중학교 가정과 수업에의 적용 연구 (A Study n the Application of Career Education Materials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Instruction)

  • 강인애;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3-120
    • /
    • 1993
  • This study in order to seek for a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 I am to propose a measure that the career education material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 program produced already could be applicable on the class and to understand the efficiency by examining practically it to the student. The research method was to make up a questionnaire and gaze two kinds of educational effect. The procedure was that, after surveying the general features in order to help them known their consciousness on the career education Researcher practiced common theorectical teaching on comparative class and moduling teaching on comparative class through making a guiding data. Then Researcher analysed the changing o consciousness on career, knowledge on kinds and numbers of jobs, and the results and rate of interest in the teaching with persentage and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on the consciousness on career, both group showed little change on their wishful job between before and after teaching. On the purpose to get a job, consciousness on work and job, and fixed idea of job on gender, there were some changes, but both groups had few defferences in the changing rate. Second on the consciousness on work and job experimental group recognized the variety of job more than comparative group and wrote more hind of job. Third on the evaluating result, the record of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Fourth, on the rate of interesting in learning the rate of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As observed the class applied by the module of female career education is effective, sinc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consciousness on work and job, evaluation of record after teaching and the rat of interesting in learning, thr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nsciousness of the career.

  • PDF

사회계층별로 본 가족의 주요 사회망, 사회망과 가족의 참여 및 구직과 사회망 (The Family's primary social network, the Family's participation in social networks, and Social networks in job hunting, by Social class)

  • 오선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77-191
    • /
    • 1992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different relationships the family has with its social networks by social class. Among research families' primary social networks, the wife's relatives are the most, the neighbor the second, the husband's relative the third, and the church (or other religious groups) the fourth. Social class does not make any difference in what social network is the family's primary social network. When the husband or the wife participates in a social network, he or she tends to participate alone without his or her spouse. When the husband's educational level is high, the wife tends to participate in her alumni association alone. When the husband is in a professional or a white-collar occupation, he is likely to socialize with his work associates alone. On the contrary, when the family income gets high, the husband tends to bring his wife to his alumni association. When looking for a job, most husbands and wives do not resort to a social network for help. Lower-class people are more likely to obtain jobs through their social networks compared to higher-class people. That is, the lower one's educational levle, one's occupational status, or the family income is, the more likely one gets help from some social networks in searching jobs.

  • PDF

대안학교와 일반학교 학생들의 가정교과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경기지역 중학교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Recogni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between Alternative and General School Students -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

  • 하윤명;이종이;이준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58
    • /
    • 2012
  • 본 연구는 대안학교와 일반학교 학생들의 가정교과의 운영실태 및 인식에 관한 비교연구를 위해 경기지역의 대안학교와 그 인근 지역의 일반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조사하였고, 조사대상자는 대안학교 130명, 일반학교 241명이었다. 조사대상자들의 학교 만족도는 일반학교의 경우 '보통이다' 38.6%, 대안학교의 경우 '만족한다' 40.8%가 가장 많아 대안학교의 경우 학교 만족도가 더 높았다(p<0.001). 가정교과를 '중요한 과목'으로 인식하는지의 항목은 5점 만점에 일반학교는 3.08점, 대안학교는 3.32점으로 대안학교의 인식이 더 높았다(p<0.05). 실습 만족도와 수업 만족도도 대안학교 학생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대안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하여 시청각 학습자료의 사용이 크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실습실 시설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교과에 대한 흥미도에서 일반학교는 '보통이다'(36.9%), 대안학교는 '관심을 가지고 있는 편이다'(38.5%)가 가장 많았다. 가정교과에 대한 필요성에 대하여 일반학교는 67.6%, 대안학교는 79.2%로 대안학교의 경우 필요성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가정교과에 대한 흥미도의 성별차이를 살펴본 결과 '의복마련과 관리'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학교 남학생의 평균 2.82점, 여학생은 3.12점으로 여학생의 흥미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p<0.05), 대안학교의 경우도 남학생 2.84점, 여학생 3.58점으로 여학생의 흥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따라서 일반학교에 비하여 대안학교에서 부족한 시청각 학습 자료의 사용을 늘이고, 미비한 실습실 시설을 확충하여 가정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와 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대안학교의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일반학교의 경우도 가정교과의 실습시수 확보방안이 모색되어 실습만족도와 수업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 PDF

가정과에 적용한 양성평등 수업이 고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ender Equality Instruction in Home Economic class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 focused on the Unit of Design of Home Life -)

  • 배은주;이송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3
    • /
    • 2005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가정과의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을 중심으로 실험수업을 실시하여 양성평등 수업이 고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양성평등의식 함양과 양성평등교육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에서 양성평등 수업 후 남녀평등의식의 가정생활영역, 학교생활영역, 직업생활영역, 사회문화생활영역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남녀평등의식이 더 높게 나타나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에서 양성평등 수업 전과 후 실험집단의 남녀평등의식 사후검사가 사전검사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비교집단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에서 양성평등 수업 후 남녀평등의식 전체에서 실험집단의 변화량이 비교집단의 변화량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고등학교 가정과의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에서 실험집단에 적용한 양성평등 수업은 가정생황영역, 학교생활영역, 직업생황영역, 사회문화생황영역 4개 영역 모두 고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무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성차별 의식이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때, 앞으로 지속적인 지도가 절실히 필요하다.

  • PDF

중학교 2학년 기술.가정 교과 내 식생활 단원의 내용 분석을 통한 학생들의 실천도 조사 (Analysis of Students' Level of Participation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 Unit of Dietary Life from Grade 9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 김윤선;김복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5-78
    • /
    • 2013
  •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교과 내 '식단과 식품 선택'과 '식사 준비와 예절' 단원의 교육내용을 표/그림/사진, 읽기 자료, 활동자료로 나누어 살펴보고, 내용분석을 통해 추출된 체험 중심 항목을 식생활 단원을 모두 이수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천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식단과 식품의 선택' 단원과 '식사준비와 예절' 단원은 대체로 활동자료를 통해 가정생활에서의 실천적이고 체험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었으며, 표/그림/사진과 읽기자료가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체험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다양한 활동과 문제 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념을 설명하고 있었다. 체험 중심 학습 내용 중 학생들의 실천도가 높은 항목은 '식사예절 지키기'(3.24), '식품 구매시 영양표시, 유통기한, 원산지 등을 반드시 확인하기'(3.18) 순이었으며, 실천도가 낮은 항목은 '음식 만들어보기'와 '균형 잡힌 식단 작성하기' 문항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 시간 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활동자료를 제시한 항목에서 학생들의 실천도가 높은 것과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기술 가정교과 내 식생활 단원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강의중심의 수업보다는 다양한 교육매체 및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수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포트폴리오 자료 개발 및 수업 효과 분석 - 중학교 기술가정과 "반바지 만들기" 단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Portfolio Material and Analysis of Instruction Effect - focusing on ${\ulcorner}Making\;Short\;Pants{\lrcorner}$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s in Middle School -)

  • 이현정;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3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평가의 대안으로 제안된 수행평가의 한 방법인 포트폴리오를 가정교과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학습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바지 만들기' 단원에 총 13차시의 교수 학습지도안과 수업 활동지, 수업 자료, 평가 자료 등의 포트폴리오 자료를 개발하였다. 둘째, '반바지 만들기' 단원에 포트폴리오 자료를 적응한 수업이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우월감, 자신감, 흥미, 목적의식, 성취동기, 주의집중, 자율학습, 교우관계 등의 향상에도 매우 효과적이었다. 셋째,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을 계속 진행하는 것에 대해 90% 이상의 학생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 이유로는 '공부에 도움이 된다, 수업시간에 집중이 잘 된다, 만족감과 자신감이 생긴다, 스스로 공부하는 능력이 길러진다'라는 의견이 있었고, 반면에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의 단점으로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과제가 있어 부담스러웠다'라는 의견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중학교 기술 가정 의생활 단원에서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학습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PDF

중학교 기술.가정과 옷차림 단원 학습을 위한 e-러닝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e-Learning System for the Dress Unit in the Subject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in the Middle School)

  • 이영림;조현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5-60
    • /
    • 2009
  •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 가정과 옷차림 단원을 위한 e-러닝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학습자의 흥미와 이해를 높여 보다 효과적인 교수 학습활동을 할 수 있게 하고 기술 가정 의생활 영역에 대한 e-러닝 개발의 기초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구체적인 상황학습의 효과와 보다 현실감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학습내용을 학습자가 직접 클릭해서 조작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고 학습자의 주의와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의류 쇼핑몰의 최신 의복자료를 이용하여 개성 있게 코디하는 방법 등을 제시하고 또래들의 패션 사진을 사례에 맞게 적절히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뮬레이션 조작과 가시적 관찰을 할 수 있는 학습 자료의 구현으로 보다 쉽게 학습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텍스트 보다는 오디오와 이미지, 동영상 자료를 많이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수 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셋째, 옷차림 단원 학습은 특히 유행과도 관련이 있는데 멀티미디어가 갖는 현실감 있고 생동적인 교육 자료를 시의 적절하게 제공함으로써 e-러닝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였고 학습내용을 학습자 자신의 실생활과 관련된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동기유발이 되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옷차림 단원의 학습에 있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저작도구 뿐 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저작도구를 활용한 e-러닝 콘텐츠 개발의 추가적 연구 활동과 풍부한 수업자료의 확보를 위한 교수 학습 자료의 DB 구축을 제언한다.

  • PDF

가네의 수업사태(instructional event)별 비계설정(scaffolding) 교수전략에 따른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평가 - 중학교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by Gagne's instructional events using scaffolding - Focusing on 'nutrition and meal of adolescents' unit in middle school-)

  • 서수연;박미정;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7-54
    • /
    • 2011
  •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가정과의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에 가네(Gagn$\'{e}$)의 수업사태별로 비계설정을 적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수업을 실행하여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중심으로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71명의 중학생에게 시행되어 평가되었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은 총 5차시로 구성되었으며 주제는 영양과 건강, 6대 영양소의 기능(1차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청소년기의 영양 특징(2차시), 청소년의 하루 식사구성(3차시), 청소년의 영양문제(4차시), 그리고 미래 건강과 직업(5차시)으로 구성하였다. 이 과정안의 특정은 다음과 같다: (1) 가네의 9가지 수업사태별로 각각 다른 비계설정을 적용하여 가정과교사가 수업에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수업방법과 예를 상세히 제시하였다; (2) 매차시마다 기본탐구와 심화탐구로 수행평가와 채점기준표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3) 학습주제는 '청소년의 생활'에 초점을 맞추었고 매차시마다 2가지 학습주제를 제시하였다. 교수 학습 과정안에 제시된 비계는 모두 45개 이었고 교수 학습 자료는 27개(활동지 14, 읽기자료 6, 수행평가 7)이었다. 이 수업을 받은 중학생들은 수업에서 교사의 설명이 재미있고 알아듣기 쉬웠으며, 학습 자료와 학습 내용이 이해가 잘되어 전반적으로 수업에 만족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의 평가에 대해서 21명의 가정과 교사는 중학생의 발달단계에 적합하며, 교사의 질문은 명확하였고, 학습자료를 포함한 학습내용은 이해가 쉬웠으며, 가네의 수업사태에 따른 학습내용이 적합하였고 현장 실행에 유용하고 용이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 PDF

그림책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가족 수업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기술·가정 '관계'와 '안전'의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torytelling Family Classes Using Picture Books on the Resilience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of Adolescents: Focusing on the Core Concepts of 'Relationship' and 'Safety'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주현정;최새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7-184
    • /
    • 2020
  •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가족 단원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수업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가족 형태, 가족관계, 가족갈등, 성폭력, 가정폭력, 가족 상실에 관한 5가지 주제의 그림책을 선정하고 스토리텔링 요소와 기법을 적용한 '그림책으로 만나는 가족'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남녀 중학생 194명을 대상으로 기술·가정 수업시간에 적용하고, 사전·사후 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이 지각하는 회복탄력성 정도는 수업 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사회성 영역의 하위요인 중 자아확장력에서는 수업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수업의 효과가 나타났고, 아버지보다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애정적 결속 정도가 더 증가하였다. 회복탄력성의 향상과 부모자녀관계 향상을 목표로 하는 기술·가정 교과의 가족 단원에서 그림책을 통한 스토리텔링 수업은 자신의 역경을 딛고 일어서는 잠재적인 힘을 청소년 스스로 길러주게 하여 청소년 가정의 가족과의 관계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성폭력 예방'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lans for Digital Literacy Cultivation: Focusing on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 정지우;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40
    • /
    • 2023
  • 본 연구는 '성폭력 예방'을 주제로 분석, 설계, 개발, 평가 단계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과 정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 단계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을 분석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의 '성폭력 예방'과 관련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수·학습과정안 설계를 위한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각 차시별로 배움목표와 내용구성,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따른 디지털 도구 활용 계획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성폭력 예방'을 주제로 6차시의 교수·학습과정안과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고, 각 차시별 교수·학습 활동에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하였다. 평가 단계에서 6명의 가정교육 전문가로부터 타당도 평가를 받았으며, 5점 리커트 척도 문항 평균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학습과정안이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향상하는 데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개방형 문항에 대한 전문가 의견들을 바탕으로 교수·학습과정안 수정 및 보완되어 총 7차시의 교수·학습과정안이 완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성폭력 예방' 가정과 교수·학습과정안이 수업 실행을 통해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