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academic achievement

검색결과 1,592건 처리시간 0.027초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hievement goal directiv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the level of learning achievement)

  • 이숙정;신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829-83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업에서 갖는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교수-학습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치위생과에 재학 중인 13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평균과 표준편차,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성취목표지향성의 경향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동기조절훈련과 멘토링 학습을 통한 불안을 해소하고 적극적인 수업 참여 유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lience o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ursing Students)

  • 홍세화;김지수;주도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43-4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회복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함이다. 2019년 9월 26일부터 10월 12일까지 W군에 위치한 일 개 대학 간호대학생 230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부적절한 응답자를 제외한 197명의 자가보고 설문지를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r=-.46, 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학업성취도(r=.48,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회귀분석 결과 회복탄력성 하위영역 중 사회적지지, 조직적 스타일, 긍정성은 학업스트레스에 대해 28.4%(F=24.80, p<.00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고 관계성, 자신감은 학업성취도에 대해 22.7%(F=27.80, p<.001)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를 관리하고,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지지, 조직적 스타일, 긍정성, 관계성, 자신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 학업 성취도 수준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Science Process Skills, Logical Think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전성수;박종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47-655
    • /
    • 2014
  •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이 학업성취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64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SCST), 과학 탐구능력 검사(TSPS), 논리적 사고력 검사(GALT)를 실시하였으며, 과학교과지필 평가와 과학교과 서술형 평가, 전체교과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각각의 능력의 하위 요소별로 학업 성취도와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영향을 주고 있는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학업성취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아래세 가지 유형의 성취도평가와의 상관관계를 구조적인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 세 능력은 학습자의 과학교과 지필, 과학교과 서술형, 전체교과 학업 성취도 수준와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하위 요소별로 그 상관정도는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주고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전체 교과에 대한 학업 성취도 수준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

데이타 마이닝을 사용한 방학 중 학습방법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Effective Studying Methods during a School Vacation: A Data Mining Approach)

  • 김혜숙;문양세;김진호;노웅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1호
    • /
    • pp.40-51
    • /
    • 2007
  •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정규 수업 이외에도 과외, 학원수강, 교육방송 시청 등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학 중 학습방법과 생활습관이 학업성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타 마이닝 접근법을 제안한다. 우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방학중의 학습방법과 생활습관에 대한 다양한 요소를 도출한다. 다음으로, 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트리와 연관 규칙을 사용하기 위한 데이타 변환 및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현실의 구체적 데이터에서 의사결정트리를 생성하고 연관 규칙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중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의사결정트리의 경우 네 가지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상위권 학생들의 경우 학원수강이 성적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 학생들의 경우 인터넷 학습사이트 이용은 성적을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적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던 과외는 실제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양한 학습방법의 병행은 오히려 성적 하락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음으로, 연관 규칙 추출 결과, 방학 중 활동 사이에는 특이한 규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데이타 마이닝 접근법 및 결과는 학생들의 방학 중 생활 지도나 학습 계획 수립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부모의 사교육비 및 감독.애정, 자녀의 학습가치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의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expenses, parents' monitoring.affection, their children's learning valu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on middle-school boys's and girls' academic achievement)

  • 임양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3-131
    • /
    • 2014
  • 본 연구는 남녀 중학생의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부모의 사교육비 및 감독 애정, 자녀의 학습가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에 참여한 중학교 3학년 자료를 활용하여 수집되었으며, 현재 우리나라 사교육 참여율이 가장 높은 과목이 수학과 영어라는 현실을 고려하여 수학과 영어과목의 사교육 경험이 있는 중학생 1,123명과 그 부모가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조사도구는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 월평균 사교육비, 부모의 감독 애정, 중학교 자녀의 학습가치, 중학교 자녀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기입식 설문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성별과 상관없이 부모의 월평균 사교육비 수준과 부모의 감독수준이 높을수록, 중학생이 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정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남녀 중학생 모두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으로 제시된 반면 그 밖에 남자 중학생의 경우 학습가치 및 부모 감독의 순으로, 여자 중학생의 월평균 사교육비만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 중학생 모두 사교육비가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모의 감독 애정 및 중학생의 학습가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조절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학생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부모 및 '가정교과'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 PDF

무상급식 수혜 대상인 빈곤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비빈곤아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overty and Comparative Groups)

  • 박시혜자;송승민;이유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07-416
    • /
    • 2011
  • The study examined and compared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in poverty and the comparative grou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7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d benefited from the free meal project and 97 students as the comparative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benefit.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children in the poverty group in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cience, and sociology. Also, self-esteem of children in the poverty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s in terms of leadership and popularity. The poverty group also showed lower self-efficacy in self-regulated efficacy tasks.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different sub-factor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predi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in poverty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s.

한의대생의 학업성취도와 생활 양식 및 심리 특성과의 관계에 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Lifestyle,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edical Students)

  • 권오현;이재혁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19-326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lifestyle,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edical students. Methods: The grade point averages of 73 Korean medical students were collected. Surveys including lifestyle and psychological properties of Korean medical students were conducted. Results: In the MBI-SS (Maslach Burnout Inventory-Student Survey) survey, the scores of the top, medium, and bottom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t least one group, and the score of the bottom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op group. In the SES (Self-Esteem Scale) survey, the scores of the top, middle, and bottom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 least one group, and the scores of the top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medium and bottom groups. Conclusions: Some lifestyl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edical students were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Thus, the results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source for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s of Korean medical students.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삶의 질 (Dental Hygien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Quality of Life)

  • 김예황;김현경;조우순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943-952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ntal hygiene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ir quality of life. Methods: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ird and fourth year dental hygienists which consisted of 423 female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ver.19.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p<0.01). First,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quality of life was found to affect an ideal life, life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maintaining a happy life (p<0.05). The correlations between objective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were correlated in all items (p<0.01, p<0.05). Conclusion: To summarize the abov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dental hygienists and students, it is necessary to take various measures in order for students to maintain a sense of pride in their various departments and to be able to concentrate on their respective studies.

과학일지 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of Elementary Students through Science Journal Writing)

  • 곽민숙;이용섭;한영욱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of elementary students though science journal writing about the units of Science textbook of the first semester of the sixth grade. The results indicate that science-journal writing has influenced the students positively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 lower group's academic achievements, in science related attitudes, 'voluntariness' and 'cooperation', in science learning motives, 'self-satisfaction for science', 'superficial strategies for science', and 'expectation for science', in fear level for science subjects, its lower fear class, 'experiment performance'. A middle group was revealed to have more positive improvement in 'cooperation' and 'perseverance', both of which were lower categories of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as subgrade of science learning motives, 'self-efficiency for science' and 'expectation for science' stood out. For fear level for science subjects, the lower group gained distinctive results from 'science evaluation'.

  • PDF

The influence of breakfast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school-age adolescents: systematic review

  • Jeong, Eun-You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2호
    • /
    • pp.119-128
    • /
    • 2019
  • Purpose: This review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f the importance of breakfast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fast and academic achievement including the papers published in Korean. Methods: This study searched a total of six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bases. The main search words for searching the database were 'breakfast,' 'morning meal,' 'adolescent,' 'teen or teenage,' 'children' and 'academic performance,' and used search operators when available such as 'breakfast AND adolescent AND academic performance'. Results: We searched a total of 274 studies through six databases and included a total of 15 primary studies in which 12 studies were cross-sectional and three were cohort studies. Since a quantitative integration of the primary studies was difficult to achieve such as performing a meta-analysis, this study performed a descriptive analysis of all the 15 studies and the results have shown that eating breakfas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other words, students who regularly had breakfast showed more than twice the academic performance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have breakfast, and even though the math scores of students who had breakfa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none of the study results inferred the reaso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eating breakfast during adolescence by presenting that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s with regular or more frequent habits of eating breakf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