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Indo-Pacific strategy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9초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주변국 입장, 한국 해군에 대한 함의 (The Stances of Neighboring States to the Indo-Pacific Strategy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South Korean Navy)

  • 한종환
    • Strategy21
    • /
    • 통권46호
    • /
    • pp.5-28
    • /
    • 2020
  • 2017년 트럼프 대통령의"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언급 후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2019년에 미 국방부는"인도·태평양 전략", 미 국무부는"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 공동 비전 추구"를 발표했다. 미국 외교/안보의 핵심인 국방부와 국무부에서 짧은 기간(약 6개월) 내 동일한 전략 (인도·태평양 전략) 을 구체화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한 것은 이례적이다. 미 국방부와 국무부 보고서에서 미국은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구현을 위해 미국 자체의 노력 뿐만 아니라 동맹 및 파트너국의 협력과 책임분담, 동참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도·태평양 주변 국가들은 자국의 이익에 따라 적극 참여 또는 유보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동참 요구에 대한 한국의 입장을 결정함에 있어 참고사항이 될 수 있는 주변국의 입장과 인도·태평양 전략 참여시 장·단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인도·태평양"이라는 단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도·태평양 전략을 뒷받침하는 주요 수단은 해군력이 될 것이므로,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한국해군의 역할을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미(美) 인도태평양전략의 국제정치학적 해석 (US Indo-Pacific Strategy through the Lenses of International Political Theories)

  • 이상엽
    • Strategy21
    • /
    • 통권45호
    • /
    • pp.5-32
    • /
    • 2019
  • 본 논문을 통해, 필자는 국제정치학 패러다임을 통해 인도태평양전략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그 전략적 함의를 생각해보았다. 핵심 관찰사항으로, 첫째 미(美) 인도태평양전략은 미국의 국가정체성에 대한 선언이라는 것이다. 즉 미국이 인도-태평양 국가이고, 현존하는 국제질서를 만든 국가라는 것을 명확히 하면서,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강력한 국가의 의지를 밝히고 있다. 특히, 필자는 인태전략이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지지하는 국가들 간의 집합적인 정체성, 즉 인도-태평양 커뮤니티의 형성을 추도하는 미국의 노력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둘째, 인태전략은 국제안보의 위협 세력에 대한 억제전략이 라는 것을 설명한다. 셋째, 인태전략은 미국의 전략적 우위를 유지하면서 신흥강대국인 중국을 포용하는, 즉 강대국 간 충돌을 예방하기 위한 위험감소를 위한 노력이기도 하다, 특히, 인태전략은 기준, 규범, 국제제도와 같은 구성주의 요소들과 접근법을 활용함으로써, 정당성과 국제적 지지를 유지하는 동시대, 국제질서와 국익을 보장하는 잘 구성된 전략이다. 물론, 이에 대한 제한점과 도전 요인도 따를 것이다.

인도-태평양(FOIP) 전략과 전력분산의 치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 Free and Open Indo-Pacific Strategy and Distributed Lethality)

  • 김태성
    • Strategy21
    • /
    • 통권44호
    • /
    • pp.28-53
    • /
    • 2018
  • The U.S. has recently developed Free and Open Indo-Pacific strategy and Distributed Lethality strategy based on a common perception that they are responding to China's threats. In the future, it is anticipated the following. Strengthen cooperation of the U.S.-India-Vietnam navy, Maximizing the combined combat power between the U.S. and regional navies, Improving its ability to restore damage control,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Pacific and Indian countries. The meanings given to the Korean navy are as follows. First, South Korea should pursue cooperation with the Indian Navy, which will grow into a regional balance on China's growth. The growth of the Indian navy is expected to increase cooperation with other Pacific countries. The government should seek ways to promote cooperation with india navy in various fields. Secondly, it is a joint drill between the U.S. Navy and the Korean Navy. Recently, the Korea-U.S. joint drill has not been conducted and many changes are expected to be made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joint drill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possible changes in the nav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navy and the U.S. navy Also, due to distributed lethality strategy, preparations for operations and training with U.S.navy will be necessary. Lastly, it should contribute to cooperation among regional countries in preparation for maritime territorial disputes. The growth of the Chinese navy and the territorial disputes in the East and South China sea has raised the possibility of accidental military clashes at sea.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make efforts to create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systems that can continue to promote the prevention of armed conflict.

인도-태평양 전략 vs.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아시아 헤게모니에 대한 시사점 (INDO-PACIFIC STRATEGY versus BELT AND ROAD INITIATIVE: Implications for hegemony in Asia)

  • 류하연
    • 해양안보
    • /
    • 제2권1호
    • /
    • pp.71-123
    • /
    • 2021
  • 한국 정부는 미국 주도의 인도-태평양 전략 (Indo-Pacific Strategy, IPS)과 중국의 일대일로 계획 (Belt and Road Initiative, BRI) 간 양자택일이라는 점차 커져가는 압박을 마주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한국 국가 정책 과제의 맥락에서 IPS와 BRI를 상세히 분석해 본다. Daniel Nexon and Thomas Wright (2007)의 네트워크 구조 연구를 기반으로, 이 연구는 IPS와 BRI에 각각 특정한 네트워크 구조를 규정하고자 한다. 이 분석을 통해 핵심국과 참가국 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IPS 와 BRI의 특정 구성에 대한 이해는 참가국이 각 네트워크에서 기대할 수 있는 바를 나타내므로 중요하다. Nexon and Wright에 따르면, 네트워크 구조에는 단극성 무정부 상태, 헤게모니적 질서, 헌법적 질서, 제국적 질서의 네 가지 유형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IPS는 헌법적 질서를, BRI는 제국적 질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IPS 참여가 중국과의 BRI 파트너십보다 독립적인 외교 정책을 가능케 할 여지가 크다는 점을 한국 정부에 제안한다. IPS 참여를 통해 한국은 국가 안보 측면에서 이익을 누릴 수 있고, 보다 유리한 지역 권력 균형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지원을 위한 해군의 역할·발전방안 고찰 (Tasks and Development plan of R.O.K. Navy to support Korean government's 『Indo-Pacific Strategy』)

  • 지영
    • 해양안보
    • /
    • 제6권1호
    • /
    • pp.83-107
    • /
    • 2023
  • 인도-태평양 국가인 대한민국에게 이 지역의 안정과 번영은 국가의 생존과 이익에 직결된다. 현재 인태지역은 미국과 중국의 전략적 경쟁으로 안보환경이 불안정하며, 초국가· 비전통적 위협도 상존하고 있어, 소자/다자 간 공동의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일본, ASEAN 및 역외의 EU, NATO까지 자체 인태전략을 발표하며, 이 지역 현안에 개입하고자 노력 중이다. 한국도 2022년 12월 28일, 독자적인 인태전략을 공개하였는데, 이는 이전 신남방정책의 균형외교(전략적 모호성)를 벗어나, 광범위한 인태지역의 현안에 적극적으로 개입·기여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이제 해군은 정부의 인태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해 준비해야 한다. 첫째, 역내 안보현안 관련 소자/다자 간 군사협력을 강화하고, 둘째, 이 협력의 메시지를 전파하기 위해 해군력 현시, 연합훈련 등 실제 전력을 운용하여 잠재적 위협에 대해 거부적 억제를 달성해야 한다. 셋째, 인태지역에 상존하는 초국가·비전통적 위협에 대응하는 한편, 선진국으로 발돋움한 한국의 해군으로서, 개발도상국의 해양력 증강을 지원하는 기여 외교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해군 고유의 작전특성(기동성, 융통성, 지속성, 현시성, 투사성)이 발휘될 것이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해군 내·외부 작전환경(SWOT)을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우리나라 외교정책과 해양‧수산분야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ritime and Fisheries Sector for the Implementation of an Diplomacy Strategy)

  • 박성욱;이주아;차정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5권1호
    • /
    • pp.23-31
    • /
    • 2023
  • The core of the foreign policy of the Yoon Suk-yeol government is the promotion of active economic and security diplomacy as indicated in Policy Tasks No. 98. To this end, economic consultative bodies such as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RCEP), 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 (CPTPP), and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IPEF) are taking the initiative to respond to the formation of supply chain, human rights, environment, and digital-related norms, and actively support Korean companies' overseas expansion. Due to the nature of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as an organization established centered on the space of the ocean, the MOF faces difficulties in bringing the functions of other ministries into the space of the ocean. Considering the vision, objectives, and detailed plans of the MOF, the contribution of the MOF in the field of active economic security, one of the main foreign policies of the Yoon Suk-yeol government, is perhaps too obvious. However, since the re-launch of the MOF, the ODA budget for the oceans and fisheries sector is too small compared to other ministries, so even if new policy demands are discovere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se policies in practice. Recognizing these problems,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ontents of foreign policies that have been promoted for the efficient promotion of RCEP, CPTPP and IPEF and introduces the areas of cooperation in the oceans and fisheries sector in these foreign policies.

'항행의 자유 작전'의 전략적 접근 (The Strategic Approach of 'Freedom of Navigation Operations')

  • 김정민
    • 해양안보
    • /
    • 제3권1호
    • /
    • pp.115-140
    • /
    • 2021
  • 남중국해는 풍부한 해저 및 어로자원 뿐만 아니라 매년 4만여 척 이상의 선박이 통과하고, 세계 해양물류 50%, 원유 66%가 통과하는 중요한 해상교통로이다. 특히 대한민국의 수입 물동량의 30%, 에너지 수입량의 90%가 당 해역을 통과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이 해역의 중요성을 일찍이 깨달아 각각 '인도-태평양 전략',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을 시행하는 등 국가전략적 차원에서 해양안보를 통한 국익을 구체화 하고 있다. 이런 지정학적 갈등은 남중국해에서 미국이 실시하는 '항행의 자유 작전'이라는 양상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항행의 자유 작전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흡한 것이 사실이며, 기존 연구 대부분도 국제법과 국제 협약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본 논문은 항행의 자유 작전에 대한 전략적 인식을 통해 그 기원과 배경을 분석하고, 미·중 전략경쟁이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한반도 안보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 PDF

Defending the Indo-Pacific Liberal International Order: Lessons from France in Cold War Europe For Promoting Détente in Asia

  • Benedict E. DeDominicis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82-108
    • /
    • 2023
  • As tension escalates between the US and China, scenarios for maintaining peace in Northeast Asia imply that secondary powers will perceive increasing incentives to reappraise their respective international roles. This analysis proposes that an analysis of France's Cold War role in Europe and the world under President Charles de Gaulle provides insights into conflict management in an increasingly multipolar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 Their respective interests in preventing a so-called new Cold War emerging between the US and China include avoiding its excessive economic costs, if only because China is a massive trade partner. This study engages in theoretical framework-informed process tracing of de Gaulle's role. It explicates the assumptions that functionally underpinned de Gaulle's policy of soft balancing between the US and China. The analysis explores de Gaulle's contribution to the decay of the Cold War. It illuminates de Gaulle's contribution to a regional international environment that made West German Chancellor Willy Brandt's Ostpolitik strategy more feasible politically. This study applies these findings in the formulation of strategy recommendations focusing on Japan. Valid inferences regarding the predominant motivations driving American and Chinese international interaction are necessary for this task. To the extent to which the US and China have entered into a conflict spiral, Japan's hedging towards Washington is further incentivized. Tokyo would necessarily need to convince the Chinese that Japan is no longer Washington's unsinkable aircraft carrier off its coast. Tokyo, like de Gaulle's France, would maintain close relations with Washington, but it would need to project to its interlocutors its commitment to its own strategic autonomy. Tokyo's emphasis on closer relations with liberal democratic Indo-Pacific actors would potentially fit well with a commitment to strategic autonomy to defend the global liberal order.

러-우 전쟁 이후 NATO의 전략 변화와 한국의 안보전략적 함의 고찰 (Examination of NATO's Strategic Changes After the Russia-Ukraine War and Korea's Security Strategic Implications)

  • 김현진;배일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25-29
    • /
    • 2024
  • NATO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그동안 유지해오던 평화유지 전략에서 탈피하고 다자안보협의체 강화, 전략적 안정성 추구, 군비 확충, 협력안보 및 인도-태평양 지역까지 대화·협력을 강화할 것을 천명하였다. NATO의전략 변화는 직·간접적으로 한국의 안보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를 명확히 분석하고 대응할 수 있는 정책 및 전략을수립해야 위협을 억제하고 국가이익을 보호할 수 있다. NATO는 중국과 러시아를 위협으로 명시하고 있다. 우리는NATO와 협력과 연대를 기회로 삼아 소다자 안보협력 및 동맹 강화, 방산시장 개척 및 확대,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참여 기회 확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방한과 한·중 미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Xi Jinping's Visit to South Korea and Its Implications)

  • 신정승
    • Strategy21
    • /
    • 통권34호
    • /
    • pp.5-25
    • /
    • 2014
  • On July 3~4, 2014, the Chinese President Xi Jinping's state visit to Seoul might be seen as a step on the path toward strategic outcomes for both country. For South Korea, Seoul shrewdly retains some degree of self-reliance by balancing between ROK-China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relationship and ROK-US alliance. For China, Beijing appears to put its interests on the Korean Peninsula increasingly within China's larger geopolitical influence. To what extent can ROK-China relationship maintain futuristic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them? As we observed joint press communiques of the Chinese President Xi Jinping's state visit on July 3, 2014, four agendas of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Seoul and Beijing can be identified: intractable rivalry between the two great powers, North Korea nuclear issues, disparities of their displeasure with Japan denying the past wrongdoing and enhancing its military capabilities and Chinese imposing of its core interests on its Korea policy. With these evolving strategic environments, however, China and the ROK appear justifiably be pleased with the state of their relations: their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is the cornerstone of peace and prosperity in the Asia-Pacific or Indo-Pacific region and continues to grow broader and dee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