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7th national elementary-school science curriculum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텍스트에 대한 어휘와 문장 단위의 이독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Readability of the Tex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in Terms of Word and Sentence Units)

  • 강석진;고한중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3호
    • /
    • pp.549-557
    • /
    • 2014
  • In this study, the readability of the texts in the third and the sixth grad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were analyzed in terms of word and sentence units. In the word unit analyses, the levels of the words in the tex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1st to 4th levels. In the sentence unit analyses, the sentences in the texts were classified either a simple sentence or compound/complex sentences, and the average length of the sentences was also calcul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re than 90 percents of the words i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were classified as the 1st to the 3rd levels. However, both the kinds and the frequencies of the words i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were increased in comparison of those in the 7th science textbook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ment in the 3rd grade science textbook was noticeable. The ratio of the compound/complex sentences i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were increased in comparison of those in the 7th science textbooks. The average length of the sentences i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was also increased.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A survey of the primary school teachers에 appreciation of the 7th national primary science curriculum)

  • 노석구;여상인;장병기;임채성;송민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1권2호
    • /
    • pp.213-226
    • /
    • 2002
  • 본 연구를 통하여 제7차 과학 교육과정의 성공적 운영 및 다음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방향 제시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을 개발한 기관이나 교육청 차원에서의 신 교육과정에 대한 사전 연수의 기회 확대 및 질적 개선이 필요하며, 초등교사 양성기관인 교육대학교에서의 신 교육과정에 대한 충분한 교육 및 실습의 강화도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이 교사에게 부담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수준별 심화 보충 자료의 적극적 제시가 필요하고, 교사 양성 교육이나 재교육을 통한 활동 중심 교수 활동에 대한 충분한 연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인터넷 등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의 다양화를 위한 시설 환경 등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현장체험학습 여건 구비를 위하여 단위 학교를 관할하는 지역 교육청과 고사 양성 대학 및 박물관. 고궁, 공원 등을 관리하는 관련 정부 부처나 유관 사회단체의 연대 및 협조가 필요하다. 넷째, 수준별 심화ㆍ보충 과정의 운영을 위한 충분히 안내된 자료가 교사에게 제공되거나 내용 수준의 적절성을 기할 필요가 있으며 교사. 지역 교육청. 과학교육 전문가, 길재 개발자 등이 협력하여 심화ㆍ보충 자료를 개발하고 보급할 필요성이 절실하다.

  • PDF

학문과 학자가 요구하는 초등학교 수준의 물리분야 기본개념과 교과와 교사가 인지하고 표현하는 기본개념의 일치도 연구 (The Differences between Physicists' Expectations and Teachers' Representations about the Primary Physics Concepts in Elementary Schools)

  • 권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535-55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identifying differences between physicists' expectations and teachers' representations about the primary physics concepts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the material subjects analyzed were the 7th curriculum, th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texts using at the department of physics in many universities. The primary physics concepts extracted from the texts were to be fundamental and basic. Also, they were restricted to the domain of dynamics. And besides, the human subjects were physicists, professors and students majoring physics of the graduate school, researchers of institutes or laboratorie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e scholars and teachers have the different opinions.

  • PDF

'슬기로운 생활'에 수록된 물리 영역 과학 용어 분석 (Analyzing the Science Words of Physics in 'Wise Life' Textbooks)

  • 윤은정;박윤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2호
    • /
    • pp.127-13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basic words of physics for science education which were learned through everyday life or school education and be foundation of learning science. For this, we collected all words in the 'Wise Life' textbooks by 7th and 2007 National Curriculum, and extract the science words. As a result, there were 8,970 words in 8 textbooks of 'Wise Life', and about 18% of them, 1,585 words, were science words. There were 266 kinds of science words and most of them were biology words. And the textbooks by 2007 National Curriculum had more science words than by 7th's. Finally we selected 24 basic words of science only in the physics area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difficulty, need and frequency.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날씨에 관한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the Atmosphere and Weather Contents with Regard to Changes in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 최성희;권치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15-26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of the Atmosphere and Weather in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For this study,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reflecting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from 1st to 7th were analyzed with a number of t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everal parts of the contents about Atmosphere and Weather were dealt continuously through the all of science curriculum. Atmospheric Pressure, Humidity and Atmospheric Pressure and Weather were applied at the fifth grade above continuously. And Cloud$\cdot$Fog$\cdot$Dew was applied at the third and fifth grade. Quantity of learning about Atmosphere was more than it's of Weather always. Especially, Movement of Atmosphere and Temperature Change were maintained continuously above $10\%$ of the contents about Atmosphere and Weather. Some of the detailed learning themes related Atmosphere and Weather were dealt commonly through the all of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Physical Nature of Atmosphere, Atmospheric Pressure, Movement of Atmosphere, Temperature and it's Change and Cloud$\cdot$Fog$\cdot$Dew had been learned always with the experiments and practical training.

  • PDF

서부 경남 지역의 초등학교에 식재된 목본 식물 분석 (An Analysis of Tree Species Planted in Elementary School Gardens in Western Gyeongnam Area)

  • 김춘수;이율경;박강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3호
    • /
    • pp.329-340
    • /
    • 2007
  •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well elementary school gardens work as places of observation learning. We compared the tree species planted in elementary school gardens with those which appeared in the science textbooks of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number of tree species are 60 throughout all the grades, specifically; 43 in the third grade, 22 in the fifth grade, 16 in the first grade, 15 in the second grade, 8 in the sixth grade, and 5 in the fourth grade, respectively. Their frequency of appearance (hereafter referred to as 'appearance frequency') throughout all the grades is 175, and the maximum frequency is 62 in the third grade. Of particular note is the fact that the appearance frequency in one grade was very high, meaning that a repeat study will not be conducted. The total number of tree species counted in the study was 13,028 and consisted of 167 species in 52 families. Only 23% of the total planted tree species, that is, 38 tree species appeared in the textbooks, so the ratio of the practical usage of school gardens was revealed to be low. In the school gardens, there are only an average of about 16 tree species per school. The fewest number of species in one school was 9 and the most was 22. The native species were 74 and the non-native species were 93. This means that almost all the planted species do not relate to observation learning in the textbooks. The 22 tree species among 60 species in the textbooks were not planted in the gardens. In conclusion,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almost all the elementary school gardens examined during this investigation was very low.

  • PDF

제 7차 교육과정의 초.중등 생물 수업 목표의 연계성 지도 분석 (An analysis of strand map for instructional objectives on the 7th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biology)

  • 김영신;김후자;손종경;정재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93-711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제 7차 교육과정의 초 중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생물 수업 목표 간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각학년에서 7개의 중요한 영역인 세포, 식물의 형태와 기능, 동물의 형태와 기능, 유전, 생물의 다양성, 진화, 생태와 환경 영역을 분석하였다. 목표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수업 목표의 연계성 지도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포에 대한 개념은 초등학교를 포함해서 저학년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에너지 대사 개념이 반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만, 초등학교에서 에너지 대사 개념을 학습할 때 에너지 개념은 다루지 않았다. 둘째, 고등학교와는 달리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교과서들이 식물의 형태와 기능에 관한 주요 개념들을 다루고 있다. 셋째, 유전과 진화와 같은 개념이 추상적인 개념이어서 중학교 이상인 고학년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생물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유전과 진화가 학년간의 연계성이 없어서,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개념들 간의 연계가 필요하다. 넷째, 생물의 다양성, 생태와 환경, 진화 그리고 식물의 형태와 기능 영역이 일부 학년 수준에서만 제한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초중고의 모든 학년을 통하여 수업 목표간의 연계성을 알아보는 수업 목표 간의 연계성 분석 결과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을 위한 초기 자료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초등 과학 교과서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분석특 개발과 적용 - 5, 6학년 1학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reative Problem Solving Analysis Framework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 Focused on the 5th and 6th grade 1st semester -)

  • 김현정;최선영;강호감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2권2호
    • /
    • pp.163-17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nalytic framework of Creative Problem Solving(CPS)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the framework based on the theories of problem, definition of problem solving and various kinds of CPS model. The six elements of the framework for content analysis were extracted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problem introduction, problem statement, solution thinking, formulating hypothesis, testing hypothesis, and assessment. The developed framework was applied to the extbooks for the 5th and the 6th grades 1st semester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cores of the framework for content analysis in the 5th grade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the 6th grad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2. The comparison of the scores between the elements of the framework was found that the scores on the elements of testing hypothesis and formulating hypothesi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lements. 3. The comparison of the scores between the units was found that the scores of the framework for the 9th unit (“trip of water”) of the 5th grad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units, which were presented lower level than 1.0 (50.0%) score of the framework. 4. The comparison of the scores between the intensive course and the regular coures in the 6th grade textbook was showed that the scores on the intensive course were higher than the basic course. In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 introduction and problem statement in the textbook should be amended, and that various information and activities should be presented in the textbook.

  • PDF

제7차 교육과정 지구과학 관련 교과서에서의 화석사진에 대한 산출지역 및 척도 표기 분석 (Analysis of the Locality and Scale of the Presentation of Fossil Photographs in Textbooks of Earth Science on the 7th Curriculum)

  • 정철환;문병찬;김해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77-488
    • /
    • 2005
  •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 ‘실험관찰’ 교과서와 서로 다른 출판사의 중·고등학교 과학과 지구과학 I, II교과서, 각각 4권씩을 대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화석사진을 분석하여 화석의 종류, 산출지역과 척도의 표기에 대한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초등학교의 ‘과학’, ‘실험관찰’ 교과서에 수록된 화석사진의 종류는 32개였으며, 중학교 과학교과서 4권에는 50개, 그리고 고등학교 8권의 교과서에서는 109개였다. 그러나 화석사진에서 표현되는 과학적 정보는 부족하였다. 초등학교의 과학교과서와 실험관찰에서는 수록된 화석사진의 $68\%$에 산출지가 표기되어 있었으며, 척도가 표기된 화석사진은 전체의 $6\%$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의 경우, 전체 화석의 $40\%$$16\%$에 산출지가 표시되어 있으며, 척도는 14%와 18%만이 표기되어 있었다. 보다 효과적인 과학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과학교과서에 수록된 화석사진에 산출지와 척도를 표기할 필요가 있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과학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 조연순;성진숙;채제숙;구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07-328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과학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하여 과학의 명제적 지식인 '내용지식'과 절차적 지식인 '과정지식', 그리고 '창의적 사고기능'을 교육과정의 구성요소로 설정하였다. 과학의 내용지식은 지식의 구조파악을 용이하게 해 주기 위해 다섯 가지 핵심주제(theme)를 중심으로 하여 6차나 7차 교육과정보다 더 포괄적으로 구성하였고, 과정지식은 기초적 과정 지식과 통합적 과정지식으로 구분하여 학년별로 차별화 하였다. 또한 창의적 사고 기능의 요소는 확산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로 나누어서 이를 문제해결의 단계별로 적용하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교육과정 구성요소들이 상호작용 하도록 5학년 2학기의 세 단원을 구성하여 실험집단에 적용하였다. 수업방법은 문제해결중심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비교집단은 6차 교육과정의 내용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사전검사로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수행평가의 형태로 제작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에게 수업 전에 실시하였고, 사후검사는 사전검사와 동형의 문제를 제작하여 각 단원이 끝날 때마다 한 문제씩 실시하여 세 단원에 걸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검사의 종류와 집단을 두 변인으로 하여 이원변량분석 및 T검증을 해 본 결과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검사의 점수 차이는 유의미하고 비교집단의 점수차이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옴으로 해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 과학 교육과정이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해 효과적이었음이 검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