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book analysis

검색결과 1,119건 처리시간 0.027초

2007 개정 및 2009 개정 중등 과학 및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의 MBL 실험 분석 (Analysis of MBL Experiments from the Korean Secondary Science and Chemistry Textbooks Based on 2007 and 2009 Revision)

  • 정은아;차정호;김인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3호
    • /
    • pp.254-266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2007 개정 및 2009 개정 중등 과학 교과서 및 화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MBL(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실험을 교육과정 시기, 대상 학년, 실험이 제시된 맥락, 내용 영역, 주제, 사용된 센서, 그리고 출판사 등의 측면에서 분류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MBL 실험은 2007 개정 교육과정기의 경우에는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서만 25번 제시되었고, 2009 개정 교육과정기의 경우에는 과학 및 화학 I, II 교과서를 통틀어 29회(중학교 19회, 고등학교 10회) 제시되었다. 전체적으로는 교육과정 개정 이후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MBL 실험은 증가하지 않은 반면, 고등학교 교과서에는 처음으로 제시되었다. MBL 실험은 중학교 1학년에 가장 많이 제시되었고, 선택탐구보다는 필수탐구에 주로 포함 되었다. 센서 중에서는 운동 센서와 온도 센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산소와 이산화탄소 센서가 많이 사용되었다. 출판사별 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는 사용 빈도가 감소하였고, 일부 출판사의 교과서에서는 MBL 실험이 단 한번도 사용되지 않았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MiC 교과서의 수학적 과제의 인지적 요구 정도 분석 -함수 내용을 중심으로- (Exploration on Mathematical Tasks on Function Content in MiC 3 level Textbook)

  • 황혜정;박현파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449-47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06년에 새롭게 출판된 MiC 교과서를 대상으로, Stein 외(2009)가 제안한 바 있는 인지적 요구 정도(cognitive demand level)에 따라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분석 기준과 분석틀을 이용하여 MiC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수학적 과제들의 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MiC 교과서에서 다뤄지는 내용은 크게 수, 대수, 기하와 측정, 자료 분석과 통계인데, 본 연구에서는 모든 영역의 내용을 다루기에는 너무나 양이 방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교 안팎의 실생활 소재나 문제 상황이 보다 풍부한 함수 영역을 선정하여 이에 한정하여 다루었다. 다만, MiC 교과서는 level 1, 2, 3의 세 권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함수 내용은 Level 3에만 제시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level 3만을 대상으로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MiC 교과서의 수학적 과제가 얼마만큼 융통성 있게 풍부하게 다뤄지는가를 분석을 통하여 파악해 봄과 동시에, 이로부터 도출된 양질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과서 개발 및 구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 내용 다양성 분석 - '물체의 무게' 단원을 중심으로 - (Content Diversity 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 Authorized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Weight of an Object" Unit)

  • 신정윤;박상우;정현지;홍미나;김현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307-324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국정 교과서와 동 교육과정에 따라 2022년에 출판된 초등 과학과 검정 교과서 7종의 '물체의 무게' 단원에 진술된 과학 개념의 서술과 탐구활동 내용의 특징을 비교하여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의 내용 다양성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각 교과서의 설명텍스트에서 개념 서술 내용의 흐름, 개념 서술 과정에서의 특이점을 분석하였고,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으로 노드와 링크 수, 연결중심성이 높은 중심 단어를 분석 하였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에서 탐구활동 유형, 탐구과정기능 및 탐구 활동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검정 교과서에서는 과학 개념의 서술이나 탐구활동 내용 구성에서 다양성이 잘 드러나지 않았다. 하위 개념의 포함 여부, 중심 단어 등이 교과서별로 유사하였다. 탐구활동을 비교하였을 때에도 탐구활동 내용과 탐구 유형, 탐구과정기능이 유사하였다. 특히 이전 교과서에서 제시되지 않았던 새로운 탐구활동 주제나 실험 방법을 도입한 경우는 없었다. 하지만 동일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검정 교과서 체제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노력들이 일부 시도되고 있었다. 핵심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하위 개념의 배치 순서가 교과서마다 달라 개념을 설명하는 과정이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탐구활동의 내용은 동일하였지만 기존 실험에서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보완하기 위해 탐구 활동 준비물이 교과서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검정 교과서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시도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 교사의 2015 개정 과학과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분석 (Experience Analysis on the Selecti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Authorized Textbook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채희인;노석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1호
    • /
    • pp.194-209
    • /
    • 2023
  • 본 연구는 과학과 검정 교과서를 선정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선정 주체인 교사의 인식 분석을 통해 과학과 검정 교과서 체제가 바르게 정착되고 발전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과 검정 교과서 선정 과정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 5명과 내러티브 면담을 진행하고, 3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제기된 교과서의 저자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들은 '의견수렴' 단계가 가장 중요하다고 이야기하였으며, 경력과 전공을 고려하여 과학 교과서 선정협의회를 구성하였고, 학교의 상황에 맞게 평가기준표를 재구성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의견수렴 과정에서 교사별로 과학 교과서 전체를 검토하는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내적 요소로 탐구 활동과 교과서 구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외적 요소로는 동영상과 같은 교수·학습자료가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었다고 이야기하였으며, 교과서의 신뢰성과 전문성의 지표인 저자와 관련된 부분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셋째,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및 학교장 보고의 경우 선정 이후 진행하는 행정적인 마무리 단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3~4학년군 교과서와 5~6학년군 교과서를 임의로 통일하는 것 보다 학년군별로 가장 적합한 교과서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5E 과학학습과정 상의 기능을 중심으로 한 2009 개정 초등과학교과서 삽화 분석: 3~4학년 지구과학 단원을 대상으로 (An Analysis of Illustrations in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Focus on Functions of Illustrations and Roles on 5E Inquiry Learning Process)

  • 김종영;하지훈;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3호
    • /
    • pp.305-31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role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textbooks (3~4 grade)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of science education in Korea from point of view of aim of science by applying the criteria of 5E inquiry process model for reflecting core aim of the scienc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paper was the 105 illustrations in the earth-science domain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3~4 grade)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of science education in Korea. The analysis criterion was of two categories, the function of illustration and the role of illustration. the function of illustration was divided into three subcategories such as Exclusiveness type, correspondence type and supplementary type. The role of illustration was divide into five subcategories such as Engagement, Exploration, Explanation, Elabora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results of the illustration analysis are as follows: the result of the function of illustration are exclusiveness type 39, correspondence type 36 and supplementary type 30, the important of point to note is that there are a lot of exclusiveness type considerably. compared with other subjects, this fact indicate character of illustration of the only science textbook. The result of the role of illustration are Engagement 14, exploration 64, explanation 25, elaboration 2 and evaluation 0. This data indicate main role of illustrations in earth-science domain is to help the students to be able to observe and explore. Cross-analysis of the function and rol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Role of illustration was evenly distributed within Exclusiveness type on the other hand, the role of illustrations was mainly exploration and explanation in correspondence and supplementary type. Especially, illustration of exploration was mainly correspondence type.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진로교육단원 내용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Career Education Unit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

  • 강경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8호
    • /
    • pp.113-124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valuation review of the contents of the career education unit in textbooks 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for senior high school freshmen. This study adopted the "Objective & System of Career Education" establish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as the criterion for evaluating the content of career education, and targeted the unit, "Design of Vocation & Careers", which was included in six different textbooks 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for senior high school freshmen involving five different publishers. The unit of "Design of Vocation & Careers" was mostly written in three subunits. An analysis of the textbooks by different, publisher showed that every aspect of the "Objective & System of Career Education" was appropriately covered in the unit. This was achieved by means of the elements of contents and illustrations.

수학 과제 분석을 통한 예비 초등 교사의 전문성 신장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the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 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4호
    • /
    • pp.465-48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 in a course specifically designed to help them learn how to analyze instruction in terms of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 of mathematical tasks. This paper describes what prospective teachers learned while reading the cases of "implementing standards-based mathematics instruction", analyzing all tasks of one unit in on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observing master teachers' mathematics instruction as well as their colleagues during the practicum period, and developing their own cases on the basis o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 focused on mathematical tasks. This paper includes various reflections of the prospective teachers.

  • PDF

중국의 초·중등학생 대상 정보보호 교재 비교 고찰 (Comparative Analysis of Information Security Textbooks for Chinese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 최은선;박남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183-192
    • /
    • 2023
  • 전 세계적으로 곳곳에서 급격하게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 속도가 매우 빨라지면서 앞으로 더 많은 정보들이 디지털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개인정보, 금융정보 등의 민감 정보가 온라인에서 전송되고 저장되는 과정에서 사이버 위협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인공지능의 발전과 디지털 전환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중국의 초·중등학생 대상 정보보호 교재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관련 교재를 수집 후 분석에 적절한 교재를 선별하였으며, 교재의 외적 체제와 내적 체제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외적 체제 분석 결과, 교재 표지는 모두 적절하게 제작되었으나, 교재 내지는 교재마다 질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초등학생 대상 교재의 경우 레이아웃, 내용 배치의 우수성이 두드려졌다. 내적 체제 분석 결과, 중국에서 제시한 '정보사회 책임' 학습 목표를 기준으로 학습 내용을 살펴보면, 다양한 내용이 고루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해 정보보호 관련 교육 및 교재 개발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바란다.

학교 실내 공기질 관련 초등환경교육 교재 개발 - 5, 6학년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xtbook Relevant to School Indoor Air Quality - Focused on 5th, 6th Grade Students -)

  • 이미애;문윤섭;황은자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4호
    • /
    • pp.40-6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icate textbook relevant to school indoor air quality. To achieve the purpose, concrete study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research to teachers, supervisors, and students is conducted to grasp cognition of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and management situation about school indoor air quality. Second, contents relevant to indoor air quality on textbooks i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and subsidiary textbooks is analysed through reference study. Third, environmental textbook relevant to school indoor air quality for 5th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s developed, applicated, and inspected its effect on the basis of implications from results of survey and referenc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survey concerning school indoor air quality showed that three groups had negative attitude for its management even though they thought that it affected human's health and study by and large. Student group thought that each of students itself was a little influence to school indoor air pollution though all of three groups answered that' activities of students' was its main source. Efforts of students to improve school indoor air quality was not much, and its main reason was that they didn't know about school indoor air pollution well. Second, result of analysis into textbooks o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and subsidiary textbooks, contents concerning indoor air o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textbooks was little or nothing. And it trended to be included to subsidiary textbooks. However, education textbooks about indoor air for elementary students was insufficient still. Third, environmental textbook relevant to school indoor air quality for 5th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was developed. It was constructed for themes - importance, sources, effects, and management of school indoor air quality. After its application to the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t was meaningful in the level of p<.05 that the result of knowledge and awareness in the pre-post test within experiment group. However, all of the results in comparison group didn't represen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conclusion, environmental textbook developed by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school indoor air quality will play a role as useful tool for the 5th,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o understand relation of quality of health and life and school indoor air quality, to have attitude to make an effort to manage it by develop right awareness about it.

  • PDF

과학 교과서 및 과학 교사, 고등학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분석 (The Analysis of the Nature of Science Views of Science Textbook, Science Teacher and High School Students)

  • 김준예;전은경;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809-817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사 및 고등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을 10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표현된 관점과 함께 탐색해 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북에 위치한 고등학교의 과학교사 1명과,10학년 남학생 18명,여학생 11명이다. 연구에서 과학의 본성에 해당하는 3가지 주요 영역인 과학의 정의,과학의 발달,과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과학의 정의 영역에서 교과서는 귀납주의적 관점을 나타내었고,교사는 반증주의적 관점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수업에서 교사는 교과서대로 귀납주의적 관점을 학생들에게 제시하였고,이 수업을 들은 학생들의 관점도 귀납주의로 나타났다. 과학의 발달 영역에서 교과서는 짧은 지면을 할애하여 상대주의적 관점을 나타내고,교사의 관점도 상대주의로 분석되었으나,교과서의 내용처럼 교사의 설명도 매우 간략한 형태로 학생들에게 제시되었다.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관점은 교사의 수업이나 교과서의 영향을 받지 않은 귀납주의로 나타났다. 과학적 방법 영역에서 교과서와 교사가 반증주의적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수업에서도 반증주의적 관점이 나타내었다. 그 수업 후 학생들의 관점 또한 반증주의적 관점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들의 사고가 수업의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는 추후 연구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