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 Diversity 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 Authorized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Weight of an Object" Unit |
Shin, Jung-Yun
(Daejeon Baeul Elementary School)
Park, Sang-Woo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Jeong, Hyeon-Ji (Maepo Elementary School) Hong, Mi-Na (Seokhyeon Elementary School) Kim, Hyeon-Jae (Kyongsan Elementary School) |
1 | 임희준(2020). 초등학교의 무게 단원에 적용한 다차원적 관점의 참여 증진 수업 전략의 효과.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1), 87-97. DOI |
2 | 장기범(2014).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운동과 에너지 영역에 관한 과학 교수학습에서의 탐구활동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4(1), 35-42. |
3 | 조현민, 황홍섭(2022). 검정교과서로 전환에 따른 초등사회과 교과서 비교분석: 3-4학년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61(1), 103-124. |
4 | 천경록(2017). 초등 과학 교과서의 학습읽기 전략 실태와 개선 방안. 청람어문교육, 61(0), 33-58. |
5 | 황서이, 황동열(2018).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예술경영 연구동향 분석. 예술경영연구, 48, 5-29. |
6 | Chen, C., & Truscott, J. (2010). The effects of repetition and L1 lexicalization on incidental vocabulary acquisition. Applied Linguistics, 31(5), 693-713. DOI |
7 | 박선미(2010). 사회과 교육과정 구조가 교과서 다양성에 미친 영향: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중학교 지리영역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3) 251-267. DOI |
8 | Galili, I., & Bar, V. (1997). Children's operational knowledge about weigh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3), 317-340. DOI |
9 | Kesidou, S., & Jo Ellen Roseman, J. E. (2002). How well do middle school science programs measure up? findings from project 2061's Curriculum Review.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522-549. DOI |
10 | 김종영, 하지훈, 임희준(2016). 5E 과학학습 과정 상의 기능을 중심으로 한 2009 개정 초등과학교과서 삽화 분석: 3~4학년 지구과학 단원을 대상으로. 초등과학교육, 35(3), 305-315. |
11 | 김지영, 한재은, 박종석(2012).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 II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928-937. DOI |
12 | 문영주(2020). 토픽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장공모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교육문화연구, 26(1), 217-242. DOI |
13 | 박경진(2017).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프로그램의 학습목표 특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27(1), 17-35. DOI |
14 | 박주현, 권혁순(2007). 제7차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물질영역에 제시된 발문 분석. 초등과학교육, 26(5), 551-557. |
15 | 박준형, 전영석(2014). 무게 단원 수업에서 겪는 교사와 학생의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295-301. DOI |
16 | 서영진(2018). 국어 교과서 검정기준의 타당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청람어문교육, 67, 117-156. |
17 | 백남권, 서승조, 조태호, 김성규, 박강은, 이경화(2002). 제 6차와 제 7차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내용과 삽화의 비교.분석. 초등과학교육, 21(1), 61-70. |
18 | 고한중, 송정미, 강석(2010).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이독성 연구. 초등과학교육, 29(2), 134-143. |
19 | 김경한(2021). 교과교육 관점의 교과서 검.인정 기준 재구조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4), 747-763. |
20 | 류지수, 전문기(2021). 과학교과서의 학년 간 언어적 특성 분석: 텍스트 정합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2), 71-82. DOI |
21 | 박준형, 전영석(2020). 초등학교에서 무게와 질량 단위도입의 문제에 대한 고찰. 새물리, 70(7), 603-612. |
22 | 신명환, 맹승호, 김찬종(2010). 초 중등 과학교과서 화산과 지진 관련 단원 글의 언어 구조 비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1(1), 36-50. DOI |
23 | 한창일(2016). 검정교과서 선정 시 초등 교사의 시선추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4 | Galili, I. (2001). Weight versus gravitational force: Histor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0), 1073-1093. DOI |
25 | Priya, M. R., & Yadava, S. (2017).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 framework for analysis. International Education and Research Journal, 3(7), 30-31. |
26 | 김세영(2017). 교과서의 대안적 모습 탐색. 통합교육과정 연구, 11(1), 115-142. |
27 | 장경완(2020).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16(2), 135-156. D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