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le food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3초

외식·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사찰음식에 대한 인식 및 대중화 방안에 관한 연구 (Recognition and Propagation for Temple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Food-related Majors)

  • 허인준;이심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7-147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 and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food related major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opularization and the fostering of professional lecture in temple food.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453 university students at six universities with food related majors.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examine interest, recognition, consumption, popularization and curriculum of temple food. Result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19.2% men, and 80.8% women, and the most common response to desired career after graduation was food related employment (53.9%). Overall, 49.0% replied that they had an interest in temple food, which was relatively low. 59.9% of respondents who had been known throw TV, Internet, newspaper, and magazines about temple food were showed the highest results. Additionally, as for the perception of temple food, 'Prevention of lifestyle related disease' was the highest score (4.10). Overall, 64.9% of the subjects had not tried temple food, and 84.7% of these responded that this was because they had not encountered temple food. Among subjects who had tried temple food, most had encountered it at a temple (73.0%), and 78.0% replied that the taste of temple food was suitable. The intention to try temple food was 73.3%, and 64.8% of respondents said there was a necessity to establishment curriculum regarding temple food. Finally, interest, popularization, and intention to try temple food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elated.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high interest in temple food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ducation regarding temple food, as well as awareness of the need for populariz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intake opportunities to raise interest in temple foods. This can be accomplished utilizing publicity materials, as well as by offering opportunities for temple food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사찰음식에 대한 인식, 기호도 및 대중화방안 연구 - 사찰음식전문점을 이용한 내·외국인대상으로 (A Study on Recognition, Preference and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 Among Local and Foreign Restaurant Visitors)

  • 문양수;이심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3-62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temple food and to find systematic methods improving the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304 temple food restaurant visitors, including 232 local and 72 foreign individuals.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investigate recognition, consumption, preference and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among restaurant visitors. Result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30.6% men, 69.4% women. 76.3% were Korean while 23.7% were foreigners. The responses on their impression on temple food contained the words, "vegetarian" (4.64), "plain and familiar" (4.19), and "good for dieting" (4.16). The most commont reason to favor temple food was its "mild taste" (63.0%) in the local group while foreigners preferred it because it is "good for health" (35.8%). The preferred kind of side dish of the local group was roasted dish (4.40), stir-fried dish (4.39), blanched vegetables (4.36), and food boiled with sauce (4.23); foreigner's high preference was for stir-fried (4.67), Jangachi (4.63), food boiled with sauce (4.56), and Buggak (4.55).. Most respondent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traditional form of temple food. While 43.5 percent of Koreans responded that "the five pungent vegetables" could be allowed, 62.8 percent of foreign respondents said it is permissible. Conclusions: A systematic approach to improve the temple food that reflects both foreign and local preference while maintaining its originality is necessary for its globalization. Furthermore, restaurants specialized in temple food should be expanded and promoted through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hat would make the cuisine easily accessible and spread throughout the world.

사찰음식관여도가 템플스테이의 체험만족도와 추천, 그리고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n Experience Satisfaction of Temple Foods, Recommendation, and Revisit Intentions toward Temple Stay)

  • 신경이;나영아;황영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0-224
    • /
    • 2015
  •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사찰음식의 관여도가 템플스테이의 체험요소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여,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지각된 가치의 수준을 파악하며, 지각된 사찰음식 가치의 영향을 분석하고, 템플스테이의 체험요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사찰음식 가치와 템플스테이의 체험요소 및 만족도의 인과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서 첫째, "사찰음식의 관여도(감정적, 사회적)가 템플스테이 체험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둘째, "사찰음식이 관여한 감정적, 사회적 가치가 템플스테이 만족도(추천의도,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셋째, "템플스테이 체험요인이 만족도, 즉 재방문 의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모두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사찰음식 관여도가 템플스테이 체험요인에 모두 정(+)의 방향으로 템플스테이 체험동기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사찰음식을 통한 감정적 사회적 관여도는 체험만족도 추천의도와 재방문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템플스테이 체험관광에 있어서 사찰음식만족도를 중심으로 한 행동요인 분석 (The Factor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Temple Food, Motivation for Temple-stay and Revisit Intention to Temple-stay in Temple-stay Tourism)

  • 신경이;전효원;나영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38-252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의 사찰음식의 가치를 템플스테이 관광객을 중심으로 파악하여 템플스테이 관광외식산업에 있어 사찰음식 체험만족과의 요인분석을 통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3년 3월부터 6월까지 면접조사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총 500부의 자료를 배포하고 이중 477부가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중심화경향이 심하거나, 분석에 부적합한 설문지 5부를 제외하고 472부에 대하여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성 검증을 실시하고, 제시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템플스테이 체험관광은 체험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템플스테이 체험 동기는 사찰음식 체험만족, 추천의도, 재방문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사찰음식 체험만족은 추천의도, 재방문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천의도 역시 재방문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사찰음식을 활용한 단체 급식 식단 개발 (The Development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Menu with Temple Food)

  • 이심열;김진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38-350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developed two weeks menu using temple foods, assessed preference for the menu among ordinary people, and determined the possibility of using temple foods to make out institutional food service menu. Methods: To make out the menu, 153 typical types of temple food were selected, under several conditions, thus including balanced food groups, natural foods in season, preparation time, preparation methods, and foods appropriated for institutional foodservice. Results: Developed menu contained 1905.8 kcal, had low fat content, high dietary fiber, vitamin, and mineral content, and good protein content in the nutritional respect, and fit protein requirements with low calorie content and high nutritional value. In the assessment of the food preference for 73 temple food items, most of the foods scored high (4 out of 5 points) for preference in general; therefore, the menu tended to be satisfied to the adults' preference. In particular, boiled rice (rice with chwi, rice with cirsium, rice with mushroom, rice with mushroom & vegetable and gimbap with tofu) and fried foods (fried shiitake with sweet & sour sauce and fried kelp) were highly preferred. Conclusions: The menu using temple foods can be a healthy choice for adults if it is well planned and managed. This study may b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would help developing menu to popularize temple foods. The above results could be applied at home as well as at foodservice institutes and furthermore could offer information for developing temple food products.

사찰음식 섭취와 건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mple Food Intake and Health)

  • 이심열;김진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91-69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mple food intake on health improve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3.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6 adults who participated in short-term 'Temple Stay' program. Every meal was prepared according to prearranged temple food menu, and it was provided to subjects for 4 weeks. Dietary intak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parameter were measured and nutritional & health status were analyzed to find the effect of the program. Nutrients content of the temple food was sufficient to dietary reference intake while content of fat, fiber, vitamin A and calcium from the mea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ubjects' usual diet. Mean body weight, BMI and blood pressure (systolic and diastolic) related with obesity and hypertension decreased after the program. The index referring to liver func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such as serum ALT, ${\gamma}$-GTP, TG and LDL decreased while HDL increased thereby showing positive effect. The above results anticipate that temple foods with an affirmative effect in improving health status have a potential benefit that can be applied to general food service. Further detailed study might provide information in developing healthy diet for a corresponding clinical problem.

사찰음식에 대한 수요영향요인 분석 - 템플스테이 참가자를 대상으로 -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 Temple Foods)

  • 김용문;박기오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0-253
    • /
    • 2016
  • 본 연구는 사찰음식의 수요영향요인을 추정하고, 외식시장에서 세분화 마케팅 전략수립 위한 대안 마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템플스테이 참가한 대상으로 사찰음식에 대한 선택 투입된 독립변수들이 구매횟수 빈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도모하기 위하여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서울소재 템플스테이 4곳에 참가자 대상으로 2015년 8월 6일~20일까지 15일간 진행되었으며, 설문지는 자기기입식방법으로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중 278부를 회수하였으며, 최종 232부(83%)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적절한 모형설정으로 절단된 음이항 포아송 모형을 설정하였다. 사찰음식의 활성화와 저변확대를 위한 세분화 마케팅자료로 사찰음식에 대한 수요영향분석을 통하여 사찰음식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40대이상의 연령층과 4천만 원 이상의 소득분포에서 수요영향이 높았고, 미혼 및 남성층이 높았으며, 종교에 따라 불교층에서 높았고, 크리스찬 집단이 무교집단보다 사찰음식 수요영향에서 높았다. 이에 맞는 다양한 인구통계특성에 따른 소비계층의 심층적인 세분화 마케팅의 홍보정책을 우선적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사찰음식이 건강음식이란 이미지를 살려, 향후 소비계층의 세분화로 마케팅에 적용하여 사찰음식의 저변확대에 적극적인 홍보와 활성화에 대한 노력이 요구된다.

일반 고객들의 사찰음식 대중화에 대한 인식도 조사 분석 (A Survey Analysis of Perception about Popularization for Temple Food based on Consumers)

  • 황은경;안용근;김병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7-73
    • /
    • 2017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bout the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known as health food and adult disease prevention food as an object of total 248 residents in Youngnam region.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advantages of temple food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age, and size of family (p<0.01). The reason 'because of health food' (66.7%) had such high percentage. The necessity of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had big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p<0.01). In addition, this study has shown th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oking form for popularization by age, and future improvement for popularization by age and size of family (p<0.001). And,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traditional way as it is' (57.3%) was high in the cooking form, and 'use of various materials' (27.4%) in the improvement. Furthermore, the necessity of using meat for temple food ha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and 'need' (33.9%) showed rather higher tendency. The necessity of using osinchae, five forbidden pungent roots like garlic, green onions, Korean leeks, wild chives, and asafetida ha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age and size of family (p<0.05, P<0.001). The 'need' (61.3%) was considerably high. Based on the above results, general customers thought that the need for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and use of osinchae was very positive.

글로벌 융복합을 위한 사찰음식 세분화 연구 - 인식과 선호도를 중심으로 - (A Segmentation Study of Temple Food for the Global Convergence - Focusing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

  • 이용대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34-150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사찰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내국인과 외국인 간의 한국사찰음식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한국 전통사찰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한국인 134명과 외국인 86명을 대상으로 총 220부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인(미국인(11.4%), 캐나다인(5.9%), 싱가포르인(5.5%), 프랑스인(5.0%), 네덜란드인(4.1%), 영국인(2.7%), 이탈리아인(2.7%), 독일인(1.8%)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사찰음식에 대한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 지역별로는 아시아인들의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한국인>미주지역인>유럽인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사찰음식은 약선식이라 생각한다.' 항목의 평균값(4.31)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시아인(4.58) > 한국인(4.43) > 미주지역인(4.13) > 유럽인(3.94) 순으로 나타났다. 국적으로 분류한 분석에서는 치유음식(p<.05), 성인병 예방 음식(p<.001), 절약정신 내포(p<.05), 약선식(p<.001) 등의 항목에서 외국인과 한국인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찰음식 선호도 분석결과, 글로벌 지역 외국인과 한국인 간의 선호도는 밥류(p<.001), 죽류(p<.001), 나물류(p<.01), 무침류(p<.001), 튀김류(p<.01), 찜류(p<.001), 김치류(p<.001), 떡류(p<.001), 면류(p<.01), 다과류(p<.05) 등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사찰음식은 스토리텔링 마케팅이 필요하다.' 항목의 평균값(3.94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시아인(4.33) > 한국인(3.99), 미주지역인(3.97) 순으로 나타났다(p<.05). 사찰음식 홍보 추진전략으로 한국전통사찰을 배경으로 한 음식, 영화 등을 제작하여 TV, 스마트폰 등 매체를 통한 홍보를 강화시켜야 한다.

사찰음식특성이 사찰음식만족에 미치는 영향; 종교의 조절효과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emple Food on Satisfaction : Moderating Effect of Religion)

  • 전효원;조성호;이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0-55
    • /
    • 2013
  • 본 연구는 사찰음식의 효율적인 경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사찰음식을 외식산업분야에서 경쟁우위의 차별적 위치를 선점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사찰음식특징이 사찰음식만족도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성립하는지를 파악하고, 종교유형이 사찰음식특성과 사찰음식만족도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서울과 경기지역의 사찰음식 전문점을 이용하는 소비자들로 선정되었으며, 설문조사는 사찰음식전문점 소비자들 중 20대 이상 남녀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에 의하여 2012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2개월간 실시하였다. 총 500부를 배포하고, 이중 488부가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중심화 경향이 심하거나, 분석에 부적합한 설문지 12부를 제외하고 476부에 대하여 SPSS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성 검증을 실시하고, 제시된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과 조절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찰음식특징은 전체적으로 사찰음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사찰음식특징의 하위요인인 상황적특성, 기능적특성 그리고 지속적특성 모두 사찰음식만족도에 긍정정인 정(+)의 관계가 있었다. 둘째, 종교는 사찰음식특성과 사찰음식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찰음식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