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emple Food on Satisfaction : Moderating Effect of Religion

사찰음식특성이 사찰음식만족에 미치는 영향; 종교의 조절효과

  • Received : 2013.04.17
  • Accepted : 2013.09.15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way for temple food to take a differentiated position in the foodservice industry along with providing useful data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emple food. To do this, it examines what influence the characteristics of temple food has on satisfaction with the food and verifies how the types of religion adjus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atisfaction. The consumers who frequent temple food restaurant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were selected as the sample for this study,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those over the age of 20 vi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May 1st to June 30th, 2012. A total of 5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476 copies were selected as suitable from 488 copies collected for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es using SPSS 18.0. The proposed research hypotheses were verified with a regress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emple foo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the food. Their subordinate factors such as situation, function, and consistenc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Next, it shows that religion does not play a regulatory ro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emple food and satisfaction with the food.

본 연구는 사찰음식의 효율적인 경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사찰음식을 외식산업분야에서 경쟁우위의 차별적 위치를 선점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사찰음식특징이 사찰음식만족도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성립하는지를 파악하고, 종교유형이 사찰음식특성과 사찰음식만족도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서울과 경기지역의 사찰음식 전문점을 이용하는 소비자들로 선정되었으며, 설문조사는 사찰음식전문점 소비자들 중 20대 이상 남녀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에 의하여 2012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2개월간 실시하였다. 총 500부를 배포하고, 이중 488부가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중심화 경향이 심하거나, 분석에 부적합한 설문지 12부를 제외하고 476부에 대하여 SPSS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성 검증을 실시하고, 제시된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과 조절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찰음식특징은 전체적으로 사찰음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사찰음식특징의 하위요인인 상황적특성, 기능적특성 그리고 지속적특성 모두 사찰음식만족도에 긍정정인 정(+)의 관계가 있었다. 둘째, 종교는 사찰음식특성과 사찰음식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찰음식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