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role of creative improvemen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ssociation between Teachers' Conceptions of Art Education and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Role of Creativity Improvement)

  • 심숙영;문시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09-12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였고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에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시에 소재한 사립 유치원 및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56명과 그들이 담당하는 유아 593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높을수록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수행이 높았으며 유아의 창의적 인성 점수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은 직접적으로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주면서, 동시에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은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에 영향을 주고 그에 따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계발시키기 위해서는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올바른 인식과 더불어 예술 활동 시 유아의 창의적인 표현을 격려하고 예술과정에 동기를 부여하는 등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 한다.

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on Their Role for Young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 김영실;김연화;한세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57-57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on their role for young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The subjects were 269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the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Measurements consisted of teachers' creativity personality(Park & You, 2000), self-efficacy(Lim, 1999), and teachers' role for young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Guliford, 1956).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Duncan's post-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1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reativity personality, teacher's self-efficacy on self-regulation, and the teacher's role for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s' general background. Second, it appeared that teacher's creativity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meaningfully influenced the teacher's role for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Teacher's curiosity, and self-efficacy on self-regulation affects teacher's role in improving children's immersion/ durability, flexibility and delicacy.

창의 미래교육 리더십 강화 직무연수에 참여한 초·중등학교 관리자의 만족도 및 효과성 분석 (The Satisfaction and View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aders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Training for Creative Leadership)

  • 최영미;박남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55-64
    • /
    • 2022
  • 학교 관리자는 교사의 창의적인 역량을 향상시키는 환경, 문화, 구조를 창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학습자 및 교사 측면에서의 창의성 연구에 비해 학교 관리자의 창의 리더십에 대한 관심은 비교적 적었다. 이 논문에서는 창의 리더십 강화를 위한 초·중등 관리자의 직무연수에 참여한 만족도와 견해를 살펴보았다. 2020-I, 2020-II, 2021-I의 연수시기에 참여한 교장 및 교감 총 67명의 만족도 조사 자료와 답변을 일원분산분석 및 질적데이터코딩으로 분석하였다. 창의 리더십 강화를 위한 연수과정의 만족도, 연수운영에 대한 만족도, 개별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제시하였으며, 연수시기별 효과도 비교하였다. 참여한 창의 리더십 강화 연수에 대한 관리자의 평가 및 질적 개선에 대한 견해를 정리하였다. 직무연수 참여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창의 리더십 강화 초·중등학교 관리자 연수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양질의 직무연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전략적 방법을 활용한 역할극 연구: 언어습득시기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On the study of role play using the strategic methodology: With respect to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improvement in language acquisition period)

  • 최숙희;김성헌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1호
    • /
    • pp.203-22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justify the effects of role play with respect to speaking and listening functions and to provide the strategic methodology for improving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of fif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We can expand role play as a strategic teaching method to develop English learning models, so that English can be more easily acquired to the students who are in the critical language acquisition period. Strategic role play reflects the events and experiences of many kinds of people in everyday life. It is suggested that one of the best methods to improve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primary classroom is through role play. Students can develop meaning for language patterns by portraying situations in which these instances in language would be used. This study proposes to facilitate English communicative ability using various student-centered role play strategies. It is concluded that the student-centered activities using strategic role play help the students to improve their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is done by deriving their own creative dialogues and presenting the role play with their interests in learning English and with subsequently positive learning effects.

  • PDF

수산·해운계 고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 각론 개정 연구 (A Study the 7th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Fisheries and Merchant Marine High School)

  • 김삼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2권1호
    • /
    • pp.83-97
    • /
    • 2000
  • This article refers to the processions and the improvement of the 7th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Fisheries and Merchant Marine High School, published at Dec. 30, 1997. The general point of the 7th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was to cultivate creative Korean who will lead the epoch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nd to perform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Moreover, it defines the nature of Business High School not as completive but as continuing education. Based on this view, the improvment of 7th revised curriculum has been searched in varous sides. The group of general researchers and cooperators consisted of 12 members who were of university professors, teachers, related business men and executives in the administration branches, and the total researchers of 7th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were 90 members. The basic orientation of the research for the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was as following : The improvement of basic ability, job-analysis ability, integrity of theory and practice, acquisition of the certificate of national qualification, interrelation and cooperative role division between school and industrial fields, extension of self-decision ability of school and local society, protection of learner-selection right and maintaining close relations with the business-educational organization under life-long education system. Thus on the whole, the research for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instructions, learning theory and evaluation is being processed with a high activity,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plan of 7th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the methods and the models are being investigated. At last, it is to be noted that, in such as the 7th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research in this case, the effort should not be spared to harmonize the basic technological knowledge of the specialists in the Fisheries and Merchant Marine field and the cultural, liberal arts of personality education.

  • PDF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의 교과과정 중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Cultural Arts Education in the 4th year Univers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metropolitan universities-)

  • 박주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60-372
    • /
    • 2017
  • 문화예술교육은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도와 언어능력과 창의적인 사고력을 증진시키고 정서지능을 함양시킬 뿐만아니라 다양한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고 다양한 문화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데 많은 효과가 있었음이 검증되면서 최근에 문화예술교육의 관심은 유아기 예술경험의 중요성과 더불어 예술능력발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수준 높은 문화예술교육은 폭넓은 문화예술의 소양과 감각을 지닌 교사와 문화예술전문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정규수업에서 통합적인 영역을 다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한 일이다. 그러므로 유아교사 양성에 있어서 강화된 문화예술교육을 포함하는 것은 유아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으로 볼 때 매우 필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4년제 대학의 교과과정 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 양성교육기관에서 유아교사의 문화예술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교과과정의 개선과 특성화 방안을 제안해 보면, 유아교사의 문화예술역량 향상을 위해 문화예술능력의 기준과 이수교과목을 제도적으로 규정하고 문화예술전문가에 의한 교육으로 문화예술교과의 확대와 통합교과목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대사회가 지향하는 인재양성을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은 유아기 때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때 그 효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유아문화예술교육은 유아의 예술적 체험을 통한 전인적인 인격형성이 목적이기에 유아교사의 양성과정에서 제도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하고 문화예술영역에 소양과 감각을 기를 수 있는 체험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향 후 각 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는 예술문화의 수용력과 해득력을 높일 수 있는 진정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폭넓은 문화예술교과의 연계와, 융합 등에 대한 개선적인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3D 프린터 활용 유아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유용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3D printer on creativity improvement)

  • 정지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19-12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3D프린터를 활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을 유치원 현장에 적용하여 유아의 창의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통해 3D프린터라는 매체의 유아교실 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광역시에 소재한 G유치원 만5세 유아 38명을 각 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2017년 8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약 6개월간 총15회에 걸친 실험처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서는 Torrance의 창의성검사 한국어판중 유아용 도형검사와 유용성검사척도가 사용되었으며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기술통계방법과 공분산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 3D프린터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과 유용성 증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창의성 구성과 정교성에 두드러진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는 기존의 누리과정과 3D프린터를 더욱 폭넓게 연계 할 수 있는 가능성 및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