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5.11.109

Association between Teachers' Conceptions of Art Education and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Role of Creativity Improvement  

Shim, Sook Young (숙명여자대학교 영유아교육전공)
Moon, Si Yeun (숙명여자대학교 프랑스 언어.문화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1, no.4, 2015 , pp. 109-12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conceptions of art education, and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by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role of creativity improvement. Participants included 156 teachers and 593 children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the higher teacher's concepts of art education was the higher their role of creativity improvement was and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was. Second, teachers' conceptions of art education and their role of creativity improvement were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ird, the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was influenced by the teachers' conceptions of art education and the their role of creative improvement control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teachers' role of creative improvement was significant in a partial way. The implication is that the teachers' conceptions of art education may enhance the their role of creative improvement and foster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Keywords
teachers' conceptions of art education; teachers' role of creative improvement;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rt experience activit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은영, 최미숙 (2014).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2), 157-181.
2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권유선, 최혜진 (2013).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유아 예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55-78.
4 김영실, 김연화, 한세영 (2009). 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3), 557-570.   DOI
5 김영연 (2008). 유아교사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25(2), 217-238.
6 김현수, 조수현 (2012). 미술중심 통합문화예술교육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145-173.
7 김형재, 구성수, 이경철 (2015).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3), 1844-1852.   DOI
8 문미옥 (1999).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평정척도 개발연구. 아동학회지, 20(4), 25-42.
9 문미옥, 이용주 (2000).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평정척도 개발연구. 아동학회지, 20(2), 223-242.
10 문정화, 하종덕 (1999).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서울: 학지사.
11 박상선, 서현아 (2014). 유아의 놀이성 및 창의적 성격 특성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119-132.   DOI
12 박상희, 김경의, 이효숙 (2005).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165-185.
13 박숙희 (2008).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유아의 창의성. 한국영유아보육학, 55(1), 151-170.
14 박숙희 (2010). 유아 교사의 학력에 따른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9(3), 59-77.
15 보건복지부, 중앙보육정보센터 (2012). 표준보육과정. 서울: 보건복지부.
16 성태제 (2014).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2판). 서울: 학지사.
17 신정숙, 이현림 (2006). 무용치료 프로그램이 취학 전 유아의 창의성과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6(1), 297-307.
18 안경숙 (2011). 유아예술교육 활동과 연계된 창의적 극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5(6), 145-166.
19 양재혁 (2005). 학교생활적응과 창의적 인성 함량을 위한 사회극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정화, 정선아, 이명조 (2003). 사립유치원의 특별활동 실태와 문제점.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2), 85-118.
21 임부연, 김영란, 이정금, 최남정 (2007). 유치원 교육과정과 연계한 예비유아교사의 심미감 인식에 관한 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6(1), 19-43.
22 임부연, 전경미, 김성숙 (2014). 유아예술교육의 비평적 이해: 유아교사의 예술 및 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9(1), 127-149.
23 임부연, 정문옥, 오정희 (2015).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에 대한 유아교사의 운영 실태. 아동교육, 24(1), 263-283.
24 장기범 (2010). 배경과 실천에 기초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정체성. 음악교육공학, 11, 25-40.
25 장영숙 (2008).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창의적 인성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2), 135-159.
26 장영숙, 조정화 (2010). 부모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16(2), 309-336.
27 전경원 (2000).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서울: 학문사.
28 정민자 (2005).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창의적 특성변인 간의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조용기 (2005). 교육의 쓸모. 서울: 교육과학사.
30 채지영 (2014). 어머니의 놀이성과 정서표현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태진미 (2010). 영재를 위한 문화예술 통합 교육의 필요성 및 적용 방안.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6, 241-273.
32 하주현 (2000).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2), 187-210.
33 한지혜 (2007). 유치원의 문화예술교육 및 교사연수에 대한 실태 및 요구도.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363-386.
34 Cheung, R. H., & Mok, M. M. (2013). A stud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ions of creativity at Hong Kong. Educational Psychology, 33, 119-133.   DOI
35 한지혜 (2008). 어린이집의 문화예술교육 및 교사연수에 대한 실태, 인식, 및 요구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195-228.
36 Bamford, A. (2010).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국내행사 창의인성교육 학술대회자료집(5월), 13-24.
3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
38 Demirel, I N. (2011). Contributions provided by visual arts lesson for students at secondary stage in elementary education.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5, 1972-1976.   DOI
39 Feist, G. J. (1999).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on artistic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Handbook of Creativity(pp. 273-296),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Fox, J. E., & Schirrmacher, R. (2012).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7th ed). Belmont, CA: Wadsworth.
41 Fromberg, D. P (1995). The full-day kindergarten: Planning and practices a dynamic. NY: University of Columbia Press.
42 Gallahue, D. L., & Ozmun, J. (1997). The play approach to learning in the context of families and schools: An alternative paradigm for nutrition and fitness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95(10), 11-21.
43 Haword Gardner. (2011). Multiple intelligence: New Horizons. 다중지능이론(문용린, 유경재 옮김). 서울: 웅진지식하우스(원판 2006).
44 Lobo, Y. B., & Winsler. A. (2006). The effects of a creative dance and movement program on the social competence of Head Start preschoolers. Social Development, 15, 501-519.   DOI   ScienceOn
45 Hui, A., He, M., & Ye, S. (2014). Arts education and creativity enhancement in young children in Hong Kong. Educational Psychology, 1-13.
46 Jalongao, M. R., & Stamp, L. N. (1997). The arts in children's lives: Aesthet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oston, MA: Allyn and Bacon.
47 Kiser, D. C. (1996). Integrating music with whole language through the Orff-Schulweek process. Young Children, 51, 15-21.
48 Mark, A. R., & Robert, S. A. (1990). Theories of creativity(eds.). Newbury Park, CA: Sage Pub.
49 Moga, E., Burger, K., Hetland, L., & Winner, E. (2000). Does studying the arts engender reactive thinking? Evidence for near but not far transfer. Journal of Aesthetic education, 34(3/4), 91-104.   DOI   ScienceOn
50 Moran, J. D., Milgram, R. M., Sawyers, J. K., & Fu, V. R. (1983). Original thinking in pre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54, 921-926.   DOI   ScienceOn
51 Rimm, S. (1983). Preschool and kindergarten interests descriptor. Watertown, WI: Educational Assessment Service Inc.
52 Russell-Bowie, D. (2009). Learning to teach the creative arts in primary schools through community eng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20(2), 298-306.
53 Strickland, D. S., Galda, L., & Cullinan, B. E. (2004). Language arts: Learning and teaching. Belmont, CA: Wadsworth.
54 Zimmerman, E. (2009). Reconceptualizing the role of creativity in art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s. Studies in Art Education, 50(4), 382-399.   DOI
55 Torrance, E. P. (1974).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56 Wilson, A. (Ed.) (2005). Creativity in primary education. Exeter: Learning Ma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