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은영, 최미숙 (2014).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2), 157-181.
-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권유선, 최혜진 (2013).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유아 예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55-78.
- 김영실, 김연화, 한세영 (2009). 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3), 557-570. https://doi.org/10.5934/KJHE.2009.18.3.557
- 김영연 (2008). 유아교사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25(2), 217-238.
- 김현수, 조수현 (2012). 미술중심 통합문화예술교육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145-173.
- 김형재, 구성수, 이경철 (2015).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3), 1844-1852. https://doi.org/10.5762/KAIS.2015.16.3.1844
- 문미옥 (1999).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평정척도 개발연구. 아동학회지, 20(4), 25-42.
- 문미옥, 이용주 (2000).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평정척도 개발연구. 아동학회지, 20(2), 223-242.
- 문정화, 하종덕 (1999).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서울: 학지사.
- 박상선, 서현아 (2014). 유아의 놀이성 및 창의적 성격 특성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119-132.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4.119
- 박상희, 김경의, 이효숙 (2005).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165-185.
- 박숙희 (2008).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유아의 창의성. 한국영유아보육학, 55(1), 151-170.
- 박숙희 (2010). 유아 교사의 학력에 따른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9(3), 59-77.
- 보건복지부, 중앙보육정보센터 (2012). 표준보육과정. 서울: 보건복지부.
- 성태제 (2014).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2판). 서울: 학지사.
- 신정숙, 이현림 (2006). 무용치료 프로그램이 취학 전 유아의 창의성과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6(1), 297-307.
- 안경숙 (2011). 유아예술교육 활동과 연계된 창의적 극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5(6), 145-166.
- 양재혁 (2005). 학교생활적응과 창의적 인성 함량을 위한 사회극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이정화, 정선아, 이명조 (2003). 사립유치원의 특별활동 실태와 문제점.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2), 85-118.
- 임부연, 김영란, 이정금, 최남정 (2007). 유치원 교육과정과 연계한 예비유아교사의 심미감 인식에 관한 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6(1), 19-43.
- 임부연, 전경미, 김성숙 (2014). 유아예술교육의 비평적 이해: 유아교사의 예술 및 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9(1), 127-149.
- 임부연, 정문옥, 오정희 (2015).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에 대한 유아교사의 운영 실태. 아동교육, 24(1), 263-283.
- 장기범 (2010). 배경과 실천에 기초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정체성. 음악교육공학, 11, 25-40.
- 장영숙 (2008).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창의적 인성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2), 135-159.
- 장영숙, 조정화 (2010). 부모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16(2), 309-336.
- 전경원 (2000).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서울: 학문사.
- 정민자 (2005).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창의적 특성변인 간의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조용기 (2005). 교육의 쓸모. 서울: 교육과학사.
- 채지영 (2014). 어머니의 놀이성과 정서표현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태진미 (2010). 영재를 위한 문화예술 통합 교육의 필요성 및 적용 방안.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6, 241-273.
- 하주현 (2000).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2), 187-210.
- 한지혜 (2007). 유치원의 문화예술교육 및 교사연수에 대한 실태 및 요구도.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363-386.
- 한지혜 (2008). 어린이집의 문화예술교육 및 교사연수에 대한 실태, 인식, 및 요구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195-228.
- Bamford, A. (2010).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국내행사 창의인성교육 학술대회자료집(5월), 13-24.
-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 Cheung, R. H., & Mok, M. M. (2013). A stud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ions of creativity at Hong Kong. Educational Psychology, 33, 119-133. https://doi.org/10.1080/01443410.2012.735645
- Demirel, I N. (2011). Contributions provided by visual arts lesson for students at secondary stage in elementary education.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5, 1972-1976. https://doi.org/10.1016/j.sbspro.2011.04.037
- Feist, G. J. (1999).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on artistic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Handbook of Creativity(pp. 273-296),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Fox, J. E., & Schirrmacher, R. (2012).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7th ed). Belmont, CA: Wadsworth.
- Fromberg, D. P (1995). The full-day kindergarten: Planning and practices a dynamic. NY: University of Columbia Press.
- Gallahue, D. L., & Ozmun, J. (1997). The play approach to learning in the context of families and schools: An alternative paradigm for nutrition and fitness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95(10), 11-21.
- Haword Gardner. (2011). Multiple intelligence: New Horizons. 다중지능이론(문용린, 유경재 옮김). 서울: 웅진지식하우스(원판 2006).
- Hui, A., He, M., & Ye, S. (2014). Arts education and creativity enhancement in young children in Hong Kong. Educational Psychology, 1-13.
- Jalongao, M. R., & Stamp, L. N. (1997). The arts in children's lives: Aesthet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oston, MA: Allyn and Bacon.
- Kiser, D. C. (1996). Integrating music with whole language through the Orff-Schulweek process. Young Children, 51, 15-21.
- Lobo, Y. B., & Winsler. A. (2006). The effects of a creative dance and movement program on the social competence of Head Start preschoolers. Social Development, 15, 501-519. https://doi.org/10.1111/j.1467-9507.2006.00353.x
- Mark, A. R., & Robert, S. A. (1990). Theories of creativity(eds.). Newbury Park, CA: Sage Pub.
- Moga, E., Burger, K., Hetland, L., & Winner, E. (2000). Does studying the arts engender reactive thinking? Evidence for near but not far transfer. Journal of Aesthetic education, 34(3/4), 91-104. https://doi.org/10.2307/3333639
- Moran, J. D., Milgram, R. M., Sawyers, J. K., & Fu, V. R. (1983). Original thinking in pre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54, 921-926. https://doi.org/10.1111/j.1467-8624.1983.tb00513.x
- Rimm, S. (1983). Preschool and kindergarten interests descriptor. Watertown, WI: Educational Assessment Service Inc.
- Russell-Bowie, D. (2009). Learning to teach the creative arts in primary schools through community eng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20(2), 298-306.
- Strickland, D. S., Galda, L., & Cullinan, B. E. (2004). Language arts: Learning and teaching. Belmont, CA: Wadsworth.
- Torrance, E. P. (1974).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 Wilson, A. (Ed.) (2005). Creativity in primary education. Exeter: Learning Matters.
- Zimmerman, E. (2009). Reconceptualizing the role of creativity in art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s. Studies in Art Education, 50(4), 382-399. https://doi.org/10.1080/00393541.2009.11518783
Cited by
- Influence of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on creative personality in preschoolers vol.36, pp.5, 2015,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5.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