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stematization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4초

영상인식을 이용한 이동기기 정 중심확인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enter position control system for travelling machines using image processing)

  • 최일섭;전종학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포항공과대학교, 포항; 24-26 Oct. 1996
    • /
    • pp.1484-1487
    • /
    • 1996
  • An Automatic coking control system was developed to achieved substantial energy and labor savings through the stabilization and optimization of coke oven operation. With the aim of saving energy and labor, the coke department has been advanced automation and systematization. A typical examples of automation is Center Position Control System(CPCS) for coke oven. This system is proved effective in improvement of center position accuracy.

  • PDF

한 가지 수학 문제의 교육적 분석 및 관련된 문제의 체계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Analysis of a Mathematical Problem and Systematization of Related Problems)

  • 한인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1호
    • /
    • pp.57-67
    • /
    • 2003
  • In this paper we analyze educational aspects of a mathematical probl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extract five meaningful mathematical knowledge and ideas. Corresponding with these we suggest some chains of mathematical problems that are expected to activate student's self-oriented mathematical investigation.

  • PDF

전통적 연극무대디자인의 재매개 (Remediation in Tradition Theatrical Stage Design)

  • 정민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207-213
    • /
    • 2008
  • 수십 년 동안 우리는 테마파크, 쇼핑몰, 길거리 등에 이를 보완하는 미디어나 이와 경쟁하는 미디어들을 채워왔다. 이런 공간들은 신문과 잡지, 라디오, 텔레비전, 영화를 재매개(remediation)하거나 이것들의 재매개(remediation) 대상이 되어왔다.[5] 하지만, 전통적 연극무대디자인은 재매개(remediation)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로인해서 관람자에게 현전감(sense of presence)을 느끼게 할 수 없는 많은 문제점들을 수반하고 있다. 전통적 연극무대디자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재매개(remediation)의 체계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전통적 연극무대디자인을 재매개(remediation)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광범위하고 다양한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시각효과(Visual Effects)분야와 연극무대디자인분야의 협업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시각효과(Visual Effects)를 활용한 전통적 연극 무대디자인의 재매개(remediation) 제안은 두 학문 간의 긴밀한 협업의 체계화를 통한 경제적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이다. 또한 두 학문 분야의 협업의 체계화는 전통적 연극 무대디자인분야에서 관객들이 경험할 수 없었던 또 다른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경영학과 비영리부문의 교과과정 분석: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Curriculums in the Nonprofit Sector of th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Focused on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 노미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846-2856
    • /
    • 2009
  • 경영학에서 비영리 분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며, 대부분의 연구들은 조직측면에서 진행되어 왔으므로, 비영리 부문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주요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경영학부 및 석사과정에서 비영리 관련 과목의 개설 정도를 조사하고 분석한 후, 국내 대학교의 비영리 관련 과목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Wish & Mirabella(1998)의 연구를 기반으로 비영리 분야를 제도화 수준, 교육수준, 커리큘럼 수준으로 분류하였으며, 한국과 미국의 경영학부 및 석사과정에 개설되어 있는 비영리 관련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 대학교에 비해 국내 대학교의 비영리 분야에 대한 제도화 수준, 교육수준, 커리큘럼 수준은 낮은 편이였다. 국내 대학교의 비영리 분야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비영리 분야의 연구소 및 학위 과정 개설, 전문가 육성, 교과과정 개설 등이 필요하다.

"의림(醫林)"지(誌)를 통해 살펴본 1950년대 동서의학 논쟁 (The Medical Dispute between Korean and Western Medicine in 1950s Examined through "EE LIM")

  • 이태형;김태우;김남일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7-78
    • /
    • 2012
  • Objective: Although the government acknowledged Korean Medical Doctors as official health care providers since 1951, criticism regarding its modernity persisted. This paper focuses on the medical dispute between Korean and Western Medicine in 1950s risen from the problem of modernization of Korean Medicine. Method: This paper looked into the medical dispute between Korean and Western Medicine in 1950s through "EE LIM". "EE LIM" is a scholarly journal published by Korean Medical doctor Bae Won-Sik. Articles regarding the medical dispute between Korean and Western Medicine were selected, categorized and analyzed. Result: The main questions against Korean Medicine were: whether it was scientific or not, and whether there was a possibility of systematization. Several opinions were brought up on these issues. 1) Some people criticized Korean Medicine as being unscientific based on modern science. 2) Others emphasized the identity of Korean Medicine against the critics. 3) Another group of people wanted to study Korean Medicine using modern methods and obtain merits from both sides. Conclusion: The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term 'science' led to diverse discussions on the direction of Korean Medicine's progression. The narrow meaning of science only considers Korean Medicine as an object of modern scientific and medical study. But if the meaning is broadened, containing empirical aspects, Korean Medicine can be included as a category of science based on its clinical utility.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모델 및 핵심 요소 (A Discussion of the Family-Friendly Village Model and Important Factors)

  • 차성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2호
    • /
    • pp.63-76
    • /
    • 2010
  • A law facilitating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was legislated in December 2007. According to the law, projects for facilitating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consisted of a family-friendly working environment, a community environment, and the promotion of a family-friendly culture. There has been much progress in developing a family-friendly working environment through projects such as those advocating for flexible work hours, an employee support system, and child care and a family care support system. However, in terms of a fami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project, there was no noticeable advancement. H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ways to vitalize the family-friendly village project in terms of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projec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family-friendly village could be structured on the three axes of time, space, and relation. The model of the family-friendly village project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motivation, systematization, and participating & practicing. In the motivation step, integration, community, and sustainability were needed as basic ideologies for a family-friendly village. In the systematization step, providing systematic educational systems for residents taking on leadership and activist roles was stressed. In the participating & practicing step, many ways to facilitate residents' social relationships were suggested: starting the project from matters of common interests, making the resolution of families' problems a communal task of the residents, accepting the opinions of various groups associated with the matter, and taking a differentiated project process according to the geographic,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family-friendly village should be taken as a common functional scheme in everyone of eight livable village models because a key factor in a family-friendly village, family care, serves an essential function in any livable village model.

연예매니지먼트 기업성과에 관한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ystematization of Entertainment Company)

  • 박정배;신필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411-5416
    • /
    • 2013
  • 연예매니지먼트 시스템의 기업성과 등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위해 크론바하 알파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크론바하 알파 계수가 0.7이상으로 나타나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는 양호하였다. 또한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인분석 결과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성은 확보되었다. 가설인 연예매니지먼트 시스템의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이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두 개의 소 가설을 설정하여 분석하여 모두 유의한 영향요소가 있음으로 채택하였다. 이는 논자가 인식하고 있던 이론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성하여 연구에 대한 어느 정도의 성과는 예측되었다. 하지만 연구물이 부족한 분야에 뜻하지 않게 상의한 결과에 대해서는 후속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연예매니지먼트의 이론적 확립이 필요하며, 유사한 학문과의 학문적 교류를 통한 재정립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제품디자인 방법에서의 정보 처리 모델 연구 (Study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in a way of product design method)

  • 조성근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289-296
    • /
    • 2003
  • 본 논고는 제품디자인 방법에서의 정보수집과 조직화 과정에 대한 정보처리모델을 개념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과거의 디자인은 디자이너가 직접 손으로 소재를 다듬어 제품을 만들었으나, 소재가 정보로 전환된 오늘날의 제품디자인은 본질적으로 정보의 수집과 조직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제품디자인이 정보 처리과정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정보 이론의 양적인 변환이 아니라, 주로 정보의 질적인 변환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초점은 제품디자인에서 소재가 아닌, 용도를 지향할 때 다루어지는 대상을 정보로 전환, 처리되는 모델을 개념화하는데 있다. 기존에는 합리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제품디자인 방법의 논의는 <분석-종합-평가>의 프로세스 모델을 기본으로 한 정량적, 정성적, 유기적 방법들과 수단으로서의 모델링에 관한 주로 형식론적인 것이었다면, 제품디자인에서 정보처리방법은 물질을 형태화하기에 앞서, 대상물의 소재를 추상화, 구조화하여 디자인 지향의 정보로 모델링해야 한다. 디지털 환경의 기반 하에서 제품디자인의 성패는 과거 소재에 직접 가공하던 것과는 달리,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결정하기 위해 정보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달려 있다.

  • PDF

전산응용설계 시스템을 이용한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설계기법 고찰 (A Study on the Design Technique of Linear Actuator by using CAE System)

  • 이권헌;조제황;조경재;오금곤;김영동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11권1호
    • /
    • pp.106-113
    • /
    • 1997
  • 기계기구의 설계나 개발시 개발제품의 표준화 및 양호환 호환성, 공작상 공기의 단축, 가격 저하 등의 장점을 갖는 계열화 설계기법으로 CAE에 의한 방법을 소개했다. 특히 대형기기에서부터 초정밀 기기 등에 대한 설계나 개발시 표본 모델을 선정하고 그로부터 물리적이고 기술적인 부분의 면밀한 분석을 통해서 고유한 특징을 추출하고 이에 대한 유추론적 수학의 해석으로서 추구하고자 하는 크기에 대한 특성 실험을 예측할 수 있고 최적 설계상의 데이터를 사전에 검증하므로서 수요자가 요구하는 설계 표본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자가 계산기를 이용한 계열화 설계에 있어서의 유츄론적 알고리즘과 설계정수 및 제한요소들의 처리 방법을 제시하고 각종 임의의 계열화 기기에 대한 단계별 기능 및 기술적인 데이터의 유도 과정을 액츄에이터를 모델로 선정하여 분석했다.

  • PDF

한국 전문간호사의 분야 체계화 관련 연구 (Study on Systematization of Advanced Practice Nursing in Korea)

  • 김민영;최수정;전미경;김정혜;김희영;임초선
    • 임상간호연구
    • /
    • 제26권2호
    • /
    • pp.240-253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ystematization of 13 areas related to Advanced Practice Nurses (APN). Methods: The three-phas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1) review of APN system and curriculum, 2)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9 APNs, 6 physicians, and 3 nursing professors on the APN system, 3) analysis of clinical practice of the 13 APN areas, and of the accredit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for APNs, medical board, and medical subspecialty board. Based on the above data, a systematic plan was drawn. Results: The 13 APN areas could be divided into 7 groups based on a review of the APN system and curriculum for the 13 areas. Analysis based on clinical practice showed that the 13 APN areas could be divided into 4 groups. Two themes and seven categories emerged in FGI. The two themes were 1) 13 APN areas that need to be discussed, 2) improving the curriculum for APN. Considering these themes from FGI and the system of the medical subspecialty board, results could be integrated into 2 groups - clinical area and non-clinical area. Conclusion: The 13 APN areas need to be integrated in order to activate the APN system. For that, further discussions on improvements and a standard curriculum according to legislation related to APN should be carried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