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Discussion of the Family-Friendly Village Model and Important Factors  

Cha, Sung-Lan (Dept. of Child Education and Counseling, Daejeon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8, no.2, 2010 , pp. 63-7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 law facilitating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was legislated in December 2007. According to the law, projects for facilitating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consisted of a family-friendly working environment, a community environment, and the promotion of a family-friendly culture. There has been much progress in developing a family-friendly working environment through projects such as those advocating for flexible work hours, an employee support system, and child care and a family care support system. However, in terms of a fami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project, there was no noticeable advancement. H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ways to vitalize the family-friendly village project in terms of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projec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family-friendly village could be structured on the three axes of time, space, and relation. The model of the family-friendly village project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motivation, systematization, and participating & practicing. In the motivation step, integration, community, and sustainability were needed as basic ideologies for a family-friendly village. In the systematization step, providing systematic educational systems for residents taking on leadership and activist roles was stressed. In the participating & practicing step, many ways to facilitate residents' social relationships were suggested: starting the project from matters of common interests, making the resolution of families' problems a communal task of the residents, accepting the opinions of various groups associated with the matter, and taking a differentiated project process according to the geographic,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family-friendly village should be taken as a common functional scheme in everyone of eight livable village models because a key factor in a family-friendly village, family care, serves an essential function in any livable village model.
Keywords
family-friendly; community; villag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행정자치부(2006).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모델 유형화 및 공모방안 수립연구. 행정자치부.
2 정영금(2002). 여성인적자원의 활용을 위한 가족친화적 정책의 적용.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40(11), 107-118.   과학기술학회마을
3 통계청(2009). 한국의 사회동향 2009. 보도자료. http://www.kostat.go.kr
4 박종숙(2001 b). 살기좋은 우리동네 2: 부족한 문화시설, 우리 스스로 만들어요. 국토연구원. 국토, 237, 111-115.
5 송혜림(2006). 건강가정지원센터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 자원 개발의 가능성-주민조직화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2), 1-18.   과학기술학회마을
6 여성가족부(2006). 지역단위 '가족친화형' 마을 조성한다. 보도자료. 여성가족부.
7 가족친화지수 웹시스템. http://ffi.mw.go.kr
8 법률지식정보시스템. http://likms.assembly.go.kr
9 이데일리(2009). 심각한 저출산 200년후 50만명 초미니국가. 2009.10.13.
10 우윤석(2008).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수원:경기도 인재개발원.
11 다무라 아키라, 강혜정 옮김(2005). 마을만들기의 발상. 한림신서, 일본학 총서 81. 서울: 도서출판 소화.
12 http://www.edaily.co.kr/News/Economy/NewsRead.asp?sub_cd=IB11&newsid=01984406589852592&clkcode=00203&DirCode=00302&OutLnkChk=Y
13 행정자치부(2007).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성공매뉴얼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도시문제연구소. 행정자치부.
14 한표환(2007). 특집: "살기좋은지역만들기 전망과 과제; 살기 좋은 지역만들기의 총괄소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지방행정, 56(639), 16-25.
15 박종숙(2001 c). 살기좋은 우리동네 3: 공간을 디자인하는 주민들-서울시 동작구 사당 3돈 양지공원-국토연구원. 국토, 238, 89-93.
16 서철모(2009).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시범사업 우수사례. 자치발전, 15(2), 40-46.
17 홍승아 . 김혜영 . 류연규 . 소마나오코 . 조순주 . 진미정(2007). 가족친화적 지역사회 모형개발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8 최시영(2003). 살기좋은 우리동네 21: 오고 싶고, 머물고 싶고, 살고 싶은 녹색마을 만들기 - 충북 청주시 용암동. 국토연구원. 국토, 256, 102-108.
19 박영숙(2003). 작은 도서관에서 마을 공동체 문화를 일구는 사람들. 국토연구원. 국토, 260, 132-137.
20 박종숙(2001 a). 살기좋은 우리동네 1: 내집 마당에서 골목으로, 동네로, 지역으로-대구 삼덕동 골목공동체. 국토연구원. 국토, 236, 104-108.
21 차성란(2009).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공동육아품앗이 실천사례. 한국가정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2 한지숙 . 유계숙(2007). 기혼근로자의 성역할 태도와 일-가족 지향성이 일-가족 갈등/촉진 및 가족친화제도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143-166.   과학기술학회마을
23 최성일 . 유계숙(2006). 일-가족 조화를 위한 가족친화적 기업 정책의 발달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4), 51-73.   과학기술학회마을
24 류중석 . 송미령 . 이성은 . 이왕건 . 이재준(2007).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건설교통부 . 행정자치부 . 농림부.
25 마상열(2007).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세부추진전략 수립. 경남발전연구원.
26 마이어, J. 외 지음. 박영한 . 안영진 옮김(1998). 사회지리학. 법문사.
27 최성일 . 유계숙 (2007). 가족친화적 기업정책이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 인적자원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경로모형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1-26.
28 차미숙(2007). 살기좋은 도시의 측정지표와 적용: 미국 331개 도시권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국토, 303, 96-108.
29 김은희(2005). 살기좋은 우리동네 43: 나, 너 그리고 우리가 함께 만드는 살기좋은 동네. 국토연구원, 국토, 279, 122-127.
30 김성훈(2003). 살기좋은 우리동네 24:주민과 함께 일군 "우리병원"-대전민들레의료생협. 국토연구원. 국토, 259, 116-121.
31 김종경(2002). 좋은 마을을 만들기 위한 작은 실험-춘천시 우두마을. 국토연구원. 국토, 249, 56-60.
32 김선기 . 이소영(2007). 주민주도형 지역 만들기 추진 모형.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3 최병두(2006). 살기좋은 도시를 위한 지역공동체 복원방안. 지리학 연구, 4(4), 513-528.
34 최봉익(2001). 살기좋은 우리동네 9: 좋은 동네는 좋은 가정에서 출발합니다-광주 YMCA 좋은동네만드는사람들. 국토연구원. 국토, 244호, 57-63.
35 김경화(2004). 살기좋은 우리동네 37:자연과 사람의 상생전략 실현중-경남 산청군 안솔기마을. 국토연구원. 국토, 272, 101-105.
36 김경희(2004). 살기좋은 우리동네 39: 맹산에서 꽃핀 지역사랑 환경사랑-성남시 분당구 '맹산 반딧불이 자연학교' 사례. 국토연구원. 국토, 274, 140-145.
37 김미영(2004). 살기좋은 우리동네 33:우리가 꿈꾸는 녹색마을, 우리 손으로 만들어요-고양시 일산구 후곡마을. 국토연구원. 국토, 268, 124-127.
38 조재성(1996). 현대 근린주구이론의 개척자 페리 . 스타인 . 라이트. 국토연구원. 국토, 176, 80-87.
39 정의춘(2007). 마을만들기 운동의 지속화를 위한 광주시의 동 단위 네트워크 구성과 주민교육 사례. 도시와 빈곤, 84호, 47-54.
40 조득환, 임성호(2003). 대구시 담장허물기운동의 확대방안. 대구경북개발연구원.
41 유계숙 . 전혜정(2007). 가족친화기업 인증제 도입을 위한 지표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45(9), 113-130.   과학기술학회마을
42 강찬호(2004). 광명시의 마을만들기는 '현재 진행형'. 국토연구원. 국토, 269, 120-125.
43 장희정 . 이기숙(2008). 가족친화제도에 대한 기혼 남성의 요구도 실태조사. 한국가족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3(4), 103-121.
44 정민자(2006). 지역사회네트워크와 건강가정사업. 제 3기 건강 가정사 양성교육 자료집, 391-412.
45 광주 YWCA 좋은동네만드는사람들(엮음)(2001). 좋은동네 만들기:왜 공동체인가?. 광주:새날출판사.
46 구자인(2007). 기획특집:살기좋은 지역만들기;주민주도 상향식의 농촌마을만들기-전라북도 진안군의 경험. 한국도시연구소. 도시와 빈곤, 84(0), 55-68.
47 유홍번(2003). 살기좋은 우리동네 27:시민단체 . 행정 . 주민이 함께 한 안산마을만들기운동. 국토연구원. 국토, 262, 92-100.
48 이명규(2006). 한국의 살기좋은 도시만들기 사례.
49 강지원(2004). 살기좋은 우리동네 36:안전한 거리조성, 주민 모두 한마음-부천시 고강본동 '차없는 거리 조성사업'. 국토연구원. 국토, 273, 105-111.
50 이세인 . 이숙현 . 권영인(2007). 가족의 지원 및 가족친화적 조직 문화가 사무직 취업모의 일-가족 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3), 29-57.
51 유계숙. 장혜경 . 전혜정 . 김윤정 . 민성혜 . 박은미 . 안재희 . 장보현 . 한지숙(2008). 가족정책론. 서울:시그마프레스.
52 유계숙(2008 b). 가족친화제도의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특징.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1), 249-270.
53 유계숙(2008 a).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근로자의 일-가족조화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27-37.   과학기술학회마을
54 강인남(2004). 희망을 나누며 하나되는 우리 동네 서울시 관악구 임대아파트 마을만들기 사례. 국토연구원. 국토, 273, 119-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