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pressive test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44초

ENTEROCOCCUS FAECALIS 추출물이 다형핵 백혈구의 METALLOPROTEINASE-8 분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Sonicated Extracts of Enterococcus faecalis on the 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8 by Human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

  • 박성경;손원준;임성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2호
    • /
    • pp.138-144
    • /
    • 2005
  • Enterococcus faecalis의 추출물을 성인의 말초혈액으로부터 얻은 인간의 백혈구를 이용해 Matrix Metalloproteinase-8 (MMP-8)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Enterococcus faecalis를 배양한 뒤 초음파 분쇄를 하여 추출물을 얻어냈다. 이중 일부는 적정한 농도의 Ca(OH)_2$를 처리하였다. 이후 E. faecalis 추출물군, E. faecalis 추출물에 $Ca(OH)_2$ 를 처리한 군으로 분리하여 다형핵백혈구를 자극하여 MMP-8의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MMP-8는 처리하지 않은 PMN group에서도 나타났고, PMN을 E. coli LPS로 자극시킨 경우 증가하였다 (p < 0.05) SEF group 들에서는 MMP-8의 생성량이 SEF 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p < 0.05). 따라서 Enterococcus faecalis는 PMN의 MMP-8 생산 억제 효과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Ca(OH)_2$로 처리한 SEF 군의 경우 각기 다른 SEF 농도에서도 모두 MMP-8 생성량이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PMN 군보다 많았다 (p < 0.05) . 하지만 각 군들 사이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p > 0.05).

인삼박으로 배양된 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암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ycelia Extracts of Mushroom-Cultured Ginseng By-product on Proliferation in Cancer Cell Lines)

  • 박은미;김수정;예은주;배만종;조경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23-329
    • /
    • 2005
  • 인삼박의 가용성 추출물을 용출시킨 후 남은 잔여 묵인 인삼박에 상황버섯, 영지버섯, 운지버섯, 표고버섯 균사체를 접종ㆍ배양하여 얻어진 인삼박 균사체 추출액의 전자공여능 및 간암세포(Hep3B)와 고형암(S-180)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삼박 균사체의 전자공여능은 500-10,000ppm 범위에서 농도가 진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운지가 4종류의 균사체 추출물 중 가장 높았다. 간암세포의 형태변화 및 증식 억 제 에 미 치 는 영 향은 에 탄을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효과적이었으며, 60% 에탄을 추출물 5,000 ppm에서 상황, 영지,운지에 비해 표고가 99.1%로 가장 강한 세포증식억 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S-180 고형 암 억제효과는 대조군에 비해 운지가 65%로 가장 컸으며 영지 61%, 표고 56%, 상황 59%의 고형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인삼박을 이용하여 배양된 버섯 균사체가 간암세포와 고형암의 증식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므로써 항암물질의 자원으로서 그 활용성이 기대된다고 하겠다.

가축분 퇴비화 과정에서 부숙도 및 퇴비의 항균활성 검정 (Assays of Maturity an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 during the Animal Manure Composting Process)

  • 서명철;소규호;박원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85-294
    • /
    • 1999
  • 돈분과 왕겨 팽화왕겨를 이용한 퇴비화과정에시 각시기별로 채취한 시료를 가지고 퇴비의 이화학적 특성 및 부숙도 검정을 하였으며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퇴비화 과정중 왕겨 단독구는 31일, 왕겨와 팽화왕겨 혼합구는 21일, 팽화왕겨 단독구는 35일 동안 $50^{\circ}C$ 이상을 유지하였다. 유기물의 경우 82.2%에서 68.9%, 82.8%에서 70.5% 82.0%에서 69.7%로 각각 감소하였고 pH는 8.7. 9.1, 8.8까지 각각 증가하였다. 전질소는 3처리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탄질비, 인산, 칼륨은 특별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무우씨를 이용한 발아시험과 초기생육시험을 통한 부숙도 판정시험으로 3처리 모두 45일차와 63일차가 부숙이 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처리간에는 팽화왕겨단독구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 결과 F. oxysporum, A. Alternata, B. cinerea 에서는 3처리 모두 항균효과가 없었으나 R. solani에 대하여 왕겨 단독구에서는 30, 45, 63일차에시 효과를 나타냈으며 왕겨와 팽화왕겨 혼합구에서는 모든 시기에 억제효과가 있었으나 팽화왕겨 단독구의 경우 모든 시기에서 효과가 없었다. C. gloeosporioides에 대하여는 팽화왕겨단독구의 경우 모든 시기에서 효과가 없었으나 왕겨 단독구와 왕겨와 팽화왕겨 혼합 구에서는 63일차 이전에는 억제효과가 없었으나 63일차 이후에서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한편, 퇴비의 항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부산물 비료 67점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한 개균에만 억제효과가 있었던 것은 9점, 두 개균에 억제효과가 있었던 것은 4점, 3개균에 효과가 있었던 것은 6점, 4개균에 효과가 있었던 것은 6점, 5개균 모두에 효과가 있었던 것은 7점으로 총 32점이 공시한 식물병원균에 대한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들의 대부분은 공정규격에 부합하였으며 부숙된 퇴비로 판단되었다.

  • PDF

미생물 농약과 유기합성 살균제 혼용에 따른 고추 흰가루병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Mixed Application of Microbial and Chemical fungicides against Powdery mildew of red-pepper)

  • 홍성준;김정현;김용기;지형진;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구형진;최광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09-416
    • /
    • 2014
  • 본 연구는 고추 흰가루병 방제시 유기합성 살균제의 사용량을 감소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고추 흰가루병 방제를 위하여 3종의 미생물 농약과 6종의 살균제의 혼용처리 효과를 실내, 포트, 포장에서 확인하였다. 실내시험에서 6종의 화학농약 중 Azoxystrobin+Chlorothalonil이 고추 흰가루병에 등록된 3종의 미생물 농약(Bacillus subtilis Y1336, Bacillus subtilis DBB1501, Bacillus subtilis QST-713)의 유효미생물의 생육을 억제 시켰다. 포트검정 결과 9개의 혼용처리구 중 B. subtilis DBB1501+Trifloxystrobin, B. subtilis QST713+Trifloxystrobin 처리구 조합이 흰가루병에 대해서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B. subtilis QST713+Trifloxystrobin 혼용처리조합은 3종의 화학농약(Myclobutanil, Trifloxystrobin, Hexaconazole) 단독처리와 비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포장시험에서는 흰가루병 방제를 위하여 미생물 농약(B. subtilis DBB1501, B. subtilis QST713)과 유기합성 살균제(Trifloxystrobin)을 혼용하여 7일 간격 4회 엽면살포 시 70.3%~70.9%의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Trifloxystrobin을 단독처리 하였을 경우에는 72.7%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미생물 농약과 화학농약의 혼용은 화학농약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으로 추천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오이 검은별무늬병 방제에 효과적인 유기농업자재 선발 (Screening for Effective Organic Farming Materials for the Control of Cucumber Scab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 박소향;홍성준;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김용기
    • 식물병연구
    • /
    • 제23권2호
    • /
    • pp.159-167
    • /
    • 2017
  • 본 연구는 Cladosporium cucumerinum PT1 (KACC 48094)에 의해 발생하는 오이 검은별무늬병에 대하여 유기농업자재의 방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43품목의 유기농업 자재를 대상으로 실내에서 항균활성 검정과 온실에서 오이 유묘에 포자현탁액 접종을 통한 유묘검정을 실시하였다. 13개 품목의 유기농업자재가 균사생장을 억제하였고, 이 중 9개 품목이 미생물 제제였다. 오이 유묘를 이용한 검정에서 6품목의 유기농업자재가 90% 이상의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그 중에서 Bacillus amyloliquefaciens M27이 유효성분인 미생물 제제의 억제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그 다음으로 9개의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여 예방적 및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적용하였는데, 예방적으로 처리했을 때 9개 자재 모두 병 발생을 상당히 억제하였다. 특히, 보르도액 I과 III은 방제가가 각각 96.7%, 73.3%로 훌륭한 예방효과를 나타냈다. 이 중 백리향+고삼 추출물이 함유된 자재에서만 방제가 가 50%로 다소 낮았지만 치료적 처리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시설 내 온화하고 습한 조건에서 잘 발생하는 오이 검은별무늬병은 유기농업자재로 방제될 수 있고 예방적 처리가 더욱 중요하고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콩 불마름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 선발 (Selection of Bactericides for Controlling Soybean Bacterial Pustule)

  • 홍성준;김용기;지형진;이봉춘;윤영남;박성태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66-273
    • /
    • 2010
  •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에 의해 발병되는 콩 불마름병은 콩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중요한 세균성 병해 중 하나이다. 게다가 병원균은 강한 병원성을 가지고 한국 전역에 분포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불마름병방제를 위한 약제나 저항성 품종이 개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불마름병을 화학적 방법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콩 불마름병 병원균의 효과적인 생육억제 약제를 선발하기 위해 여러 가지 살세균제들(8개의 항생제, 2개의 구리화합물, 1개의 quinoline, 18개의 농약)을 이용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내 생장억제 효과조사 결과, tetracycline, streptomycin sulfate 처리에서 병원균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으며, 또한 oxolinic acid도 병원균의 생육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하지만 vancomycin, polymyxin B sulfate and copper compounds 등은 불마름병 병원균의 생육억제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18종의 농용약제 중에는 streptomycin sulfate + oxytetracycline(18.8 + 1.5%)WP, oxytetracycline(17%)WP, oxolinic acid(20%) 등이 실내에서 병원균의 생육억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발된 5종의 농용약제에 대하여 포장에서 방제효과 시험을 실시한 결과, streptomycin sulfate + oxytetracycline (18.8 + 1.5%) WP와 oxytetracycline(17%) WP가 자연 감염된 태광콩 포장에서 7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콩불마름병균에 대한 강한 억제효과를 가지는 이 약제들은 콩 불마름병의 화학적 방제에 실용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슈퍼자미(SuperC3GHi) 미강 발효물의 생리활성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Rice Bran from Novel Black Colored Rice Cultivar SuperC3GHi)

  • 김동주;최수민;김화영;김중학;류수노;한상준;홍성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20-426
    • /
    • 2011
  • 슈퍼자미(SuperC3GHi) 쌀 품종은 색소 성분인 cyanidine-3-glucoside(C3G)의 함량을 크게 증대시킨 품종이다. 슈퍼자미 벼품종을 활용한 새로운 기능성 소재 및 제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슈퍼자미 벼품종의 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이용하여 항염증, 항알러지, 항암 기능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1.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의 항염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ear-edema test를 수행한결과 약 35.6%의 염증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2.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의 항알러지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만세포인 RBL-2H3 세포의 hexoamidase 및 histamine 유리 활성을 조사한 결과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을 처리하였을 때 각각 약 40% 및 57%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항알러지 활성을 확인하였다. 3.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의 항암 활성을 조사한 결과 복수암 모델 및 고형암 모델에서 모두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었고, 혈액중 백혈구의 수치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이 항암 활성을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 이상의 결과에서 슈퍼자미 품종의 미강을 버섯 균사체 발효를 통해 얻어진 기능성 소재는 항염, 항알러지, 항암 활성을 통해서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진균성 식물병해 방제를 위한 항생물질 생산 길항미생물의 복합제제화 (A Multi-microbial Biofungicide for the Biological Control against Several Important Plant Pathogenic Fungi)

  • 정희경;류재천;김상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40-47
    • /
    • 2005
  • 진균성식물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미생물제제의 개발을 위하여 경북 지역의 저병해 경작지 토양에서 고추역병균 Phytophthota capsici과 시들음병균 Fusarium oxysporum에 강력한 길항능을 가지며 균주 상호간에 공생이 가능한 AY1, AY6, AB1, BB2, F4, 5종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이들의 P. capsici에 대한 길항기작은 모두 내열성 저분자의 항균성 항생물질 생산에 의한 것이었으며, 이 중 BB2균주는 항생물질 생산능뿐만 아니라 고추역병균의 세포의벽 가수분해효소인 cellulase도 생산하여 다기능 길항기작을 보유하고 있었다. 선발된 5종 균주는 Halobacterium sp. AB1, Xenorhadus sp. AY1, Bacillus sp. AY6, Bacillus sp. BB2, Zymomonas sp. F4로 각각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0.1% galactose, 0.1% $NaNO_2$, 5 mM $Na_2HPO_4$가 포함된 배지에서 pH 5.5의 조건에서 48시간 배양했을 때 길항물질 생산능이 매우 우수하였고, 이 배양액을 1톤 규모의 발효탱크에 접종하고 대량배양 후 복합 미생물제제로 생산하였으며, 생산된 시제품의 액상 미생물제제는 경북 영천지역의 농가의 시험포장에서 3일 간격으로 3회 처리 해 본 포장시험에서 오이덩굴쪼김병, 방울토마토시드름병의 방제와 시금치잘록병의 방제 및 생육촉진에 탁월한 효과가 있었다.

인동초로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항암 및 알레르기 억제효과 검증 (Effect of Mycelia Extracts from Lentinus edodes Mushroom-Cultured Lonicera japonica Thunberg on Anticancer and Antiallergy Activities)

  • 배만종;예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24-430
    • /
    • 2007
  • 인동초를 이용하여 표고균사체를 접종, 배양하여 얻어진 인동초균사체 추출액의 간암세포, 유방암세포, 자궁경부암세포 그리고 고형암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3가지 암세포의 형태변화 및 증식 억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암세포와 유방암세포에서 암세포에 대한 특이적 형태변화가 관찰되었고, 특히 간암세포에서 인동초균사체 추출물이 인동초추출물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동초균사체를 간암세포에 3mg/mL로 처리했을 때 $85.60{\pm}4.66%$의 암세포 증식억제율을 나타내어 인동초를 처리한 것보다 암세포 증식 억제율이 61.10% 높았다. 유방암세포에서는 인동초 및 인동초균사체를 처리한 것 모두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율을 보였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경부암세포에서는 인동초 및 인동초균사체를 처리한 것 모두 암세포 증식억제율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형암 억제효과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인동초균사체 추출물에서 고형암이 61% 억제되었으며, 인동초균사체가 인동초추출물보다 고형암 억제효과가 30%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히스타민 유리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compound 48/80처리군에 비해 인동초추출물은 9.07%, 인동초균사체 추출물은 43.05%의 히스타민 분비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우스 복통에 대한 한국산 봉독의 진통 효과 (Antinociceptive Efficacy of Korean Bee Venom in the Abdominal Pain of the Mouse)

  • 김중현;이혜윤;김명환;한태성;조기래;김근형;최석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0-32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의 복부 신전시험을 통해 한국산 건조 봉독의 진통 효과를 평가하였다. 한국산 봉독은 특별히 고안된 봉독 추출기를 사용하여 일벌 (Apis mellifera L.)에 전기 충격을 가하여 생봉독을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생봉독은 봉독 건조기를 이용하여 봉독을 건조하였다. 실험 동물은 수컷 ICR 마우스 (체중 30-35 g, 6주령) 56마리를 각 군당 8마리씩 4개군으로 분류하였다. 건조 봉독은 6 mg/kg 투여군, 0.6 mg/kg 투여군, 0.6 mg/kg을 투여군 및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한국산 건조 봉독은 마우스에 피하로 투여하였고, 봉독투여 30분후에는 0.9% 초산을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마우스의 복부의 신전 반사 횟수는 초산 투여 후 60분 동안 측정하였다. 초산 투여 후 3-9분에는 복부신전 반사를 보였고, 20분 후에는 가장 심한 복부신전 반사가 있었고 60분 후에는 반응이 거의 소실되었다. 한국산 건조 봉독의 복부 신전반응은 용량에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한국산 건조봉독은 통증치료에 있어 다른 약물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